$\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2, 2013년, pp.241 - 265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박희진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

초록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lated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digit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활용능력이란? 각각의 개념들은 정보활용능력을 모든 개념의 핵심으로 하며, 정보활용능력의 한 부분으로서 정보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디지털 활용능력이란 디지털화된 정보와 테크놀로지를 숙지하고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여 문제 해결,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지식 창출을 위해 신뢰성 있는 정보원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 수집된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며, 이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7)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말하는 정보활용교육의 변천 5가지는 무엇인가? 정보활용능력의 정의는 최근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보활용능력의 범위가 변화 또는 확대되어 정의되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정보활용교육의 변천을 5가지로 들어, 컴퓨터 활용능력,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정보통신 활용능력, 미디어 활용능력, 디지털 활용능력으로 설명하였다. 각각의 개념들은 정보활용능력을 모든 개념의 핵심으로 하며, 정보활용능력의 한 부분으로서 정보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운영 담당자 조사에서 어떤 설문내용으로 구성되어있는가? ① 향후 귀 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확대할 계획이 있습니까? ② 새로운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중에 있다면 그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입니까? ③ 이용자들이 가장 원하는 정보활용교육의 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④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정보활용교육 관련 동영상을 제작하여 제공한다면 어떤 주제의 동영상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UCC 제작교육, 전자책 제작 교육, SNS 활용 교육, 스마트폰 활용하기, 웹 정보검색 교육 등) ⑤ 만약 국립중앙도서관 등 국가 대표도서관이나 관할 지자체에서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하거나, 지원한다면 어떤 내용의 연계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고영만.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 21권, 제4호 (2004), pp.67-88. Young-Man Ko.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21, No.4(2004), pp.67-88. 

  2. 권성호, 김성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미디어와 교육, 제 1권, 제1호 (2011), pp.65-82. Sungho Kwon and Sungmi Kim. "Reconceptualizing Digital literacy in the Social Media Era: based on 'Convergence' and 'Participatory culture' of Jenkins." Journal of Media and Education, Vol.1, No.1(2011), pp.65-82. 

  3. 김성은, 이명희.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2호(2006), pp.177-200. Sueng-Eun Kim and Myeong-Hee Lee. "A Study on the Learning-Instuc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 No.2(2006), pp.177-200. 

  4. 김성은, 이명희.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2007), pp.91-115. Sueng-Eun Kim and Myeong-Hee Le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8, No.3(2007), pp.91-115. 

  5. 김태경.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7), pp.387-412. Tae-Kyung Kim. "A Study on the Curricular Model Development for Information User Instruction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1, No.2(2007), pp.387-412. 

  6. 배경재. "대학생의 과제 중심 정보문제 해결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2012), pp.215-234. Kyung-Jae Bae.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eam Project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29, No.3(2012), pp.215-234. 

  7. 이제환.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2011), pp.3-27. Jae-Whoan Lee.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0, No.1(2011), pp.3-27. 

  8. 이현실.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4), pp.303-322; Hyun-Sil Lee.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with Delphi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8, No.1(2004), pp.303-322. 

  9. 장덕현, 최고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9권, 제1호(2008), pp.37-60. Durk-Hyun Chang and Go-Un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9, No.1(2008), pp.37-60. 

  10. 정영미.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09), pp.65-280. Young-Mi Jung.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act of Self Awareness on Information Literarcy and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3, No.4(2009), pp.265-280.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1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리시 지수 개발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6.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 Study on Develop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Index-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12. ALA. Digital Literacy, Libraries, and Public Policy. Report of the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s Digital Literacy Task Force(2013). http://www.districtdispatch.org/wp-content/uploads/2013/01/2012_OITP_digilitreport_1_22_13.pdf 

  13. Buschman, J. "Information literacy, 'new' literacies, and literacy." Library Quarterly, Vol.79, No.1(2009), pp.95-118. . [cited 2013. 5. 20]. 

  14. Fitzgerald, M. A. "Evaluating information: An information literacy challenge."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2, July(1999), [cited 2013. 5. 20]. 

  15. Horland, B.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Prisma.com, Vol.7. (2008), pp.4-15. 

  16. IFLA. Guidelin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Lifelong Learning(2006), [cited 2013. 5. 20]. 

  17. Karklins, J. "Toward Digital Literacy: What Libraries Can Do?" 77th IFLA General Conference and Assembly Keynote Speech(2011), . [cited 2013. 5. 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