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영희 비판과 반비판의 논리적 비판: '북한맹.시장맹' 논쟁을 중심으로
A Logical Critique of Criticism and Anticriticism of Lee Yeung-Hi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61 = no.61, 2013년, pp.118 - 133  

손석춘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리영희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의 한 사람이다. 철학자와 정치학자들이 리영희에 대한 논문을 써왔지만, 언론학계에선 이제 비로소 논문이 나오고 있다. 리영희에 대한 평가는 '사상의 은사' 또는 '의식화의 원흉'으로 평행선을 그어왔다. 본 논문은 상반된 평가들 사이에 소통을 위해, 양쪽의 논리를 비교하고 두 논리가 놓치고 있는 지점을 짚음으로써 리영희의 현재적 의미를 분석했다. 먼저 리영희가 '시장과 북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초래했다'는 비판과 반비판론자들의 논리가 각각 '허수아비 논증의 오류'(fallacy of straw man)와 '논점 회피의 오류'(fallacy of question-begging)를 범하고 있음을 리영희의 글을 통해 밝혔다. 이어 '진실 추구의 고투'를 리영희가 언제나 강조한 사실에 주목했다. 상찬과 매도로 평행선을 그려온 두 논리 사이에 소통의 필요성은 리영희가 보수와 진보 어느 한쪽에서만 높이 평가해도 좋을 만큼 한국의 언론 상황이 여유롭지 않은 데 있다. 언론이 정파주의에 점점 더 매몰되어가고 있기에 리영희가 강조한 '진실 추구의 고투'에 담긴 현재적 의미는 더 크고 깊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e Yeung-Hi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journalist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Nevertheless, the judgement about him has been parallelized by opposite sides. He is called 'the Master of ideology', while the other calls him 'the culprit of theorization'. This thesis deduced the contemporary 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영희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철학자와 정치학자들이 리영희에 대한 논문을 써왔지만, 언론학계에선 이제 비로소 논문이 나오고 있다. 리영희에 대한 평가는 '사상의 은사' 또는 '의식화의 원흉'으로 평행선을 그어왔다. 본 논문은 상반된 평가들 사이에 소통을 위해, 양쪽의 논리를 비교하고 두 논리가 놓치고 있는 지점을 짚음으로써 리영희의 현재적 의미를 분석했다.
정파적 언론의 문제점은 어디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는가? 한국 언론의 ‘정파주의’1)가 깊어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언론계는 물론 학계에서 커지고 있다. 정파적 언론의 문제점은 언론계가 함께 기려야 할 언론인을 두고도 평가가 엇갈리는 모습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한국기자협회가 2006년 제정한 ‘기자의 혼’ 상 첫 수상자인 리영희를 바라보는 시선이 바로 그것이다.
평행선을 이루는 평가들에 소통을 시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이미 고인이 된 리영희를 두고서도 생존 때와 다름없이 언론계 안팎에서 논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조선일보가 리영희를 일러 ‘비겁한 지조’로 몰아세우는 대학교수의 칼럼을 게재하는 것이 그런 대표적 사례다.3) 리영희를 둘러싼 학계와 언론계의 비판이 끊어지지 않는 모습은 그만큼 리영희의 글이 큰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입증해주지만 학자들과 언론인들이 틈날 때 마다 제기하는 비판들4)에 문제점이 있다면 그 오류가 더는 여론을 오도하지 않도록 엄밀한 학문적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근본적으로 리영희는 정파적 언론 질서에서 어느 한쪽에서만 높이 평가하고 다른 쪽은 낮춰 평가해도 좋을 언론인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리영희는 갈수록 정파주의에 물들어가는 한국 언론이 저널리즘의 본령을 되찾는 과정에서 중시해야 할 언론인이다. 리영희를 대립되는 정파의 어느 한편만 추앙하는 ‘사상의 은사’로 기리는 데서 더 나아가야 한다는 게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리영희가“언론을 망치는 것도 언론인 자신이고 언론을 일으켜 세우는 것도 언론인 자신의 이념과 생활의 자세”(리영희, 1977, 308쪽)라고 강조한 사실에 주목한 이유가 여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