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미디어 환경과 언론인 직업 규범의 변화: 리영희 언론정신을 통한 탐색연구
The Change of Media and Emerging Journalistic Norm and Value: An exploration Based on the Young-hee Rhee's Idea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59 = no.59, 2012년, pp.31 - 49  

이봉현 (한겨레경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미디어 기술 발달에 따라 언론인의 직업 규범과 가치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 지를 탐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19세기 말 이래 확립된 객관주의, 전문직주의 언론 규범이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에서 어떤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를 파악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직업 언론인의 직무 수행에 $\triangle$ 인식론 측면 $\triangle$ 전문직 정체성의 측면 $\triangle$ 독자와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변화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돼 공유되고 있는 언론 규범에 이런 일반적인 변화가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중견 언론인들을 심층 인터뷰 해 조사했다. 인터뷰에 앞서 언론인들로 부터 '기자 정신'의 역할 모델로 인정받는 리영희 선생(1929~2010)의 언론사상을 도출해 비교의 준거로 활용했다. 즉, 이 연구는 $\triangle$실증적 글쓰기를 통한 실체적 진실 추구 $\triangle$전문성에의 열정 $\triangle$독자(민중) 와의 상호교육 등 리영희의 언론 정신으로 상징되는 한국적 언론 규범이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미디어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언론인들은 실체적 진실추구, 전문성 추구, 심층 탐사보도 등 리영희의 언론정신으로 상징되는 전통 저널리즘의 규범과 가치가 직무 수행에서 여전히 중요한 지침이 된다고 보았다. 또 이런 정신이 현재 한국 저널리즘이 봉착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도 긴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언론인들은 디지털 시대에는 이런 저널리즘의 가치를 열린 자세로 수용자와 밀접히 상호작용 함으로써 성취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진실을 가려 내 제시하는 '판별자'의 역할, 시민저널리스트와 전문가 블로거의 자원을 폭넓게 활용해 뉴스를 생산하는 '네트워크 연결점', 수많은 정보를 엮고 정리하는 '뉴스 코디네이터' 등으로 역할을 확장하는 등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제공하는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normative role model of the journalists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 Firstly, this article explores what pressure the new media environment gives to the journalists in their routine of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se are stated from the angle of epistemological, p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널리즘은 1900년대 초부터 확립된 언론의 어떤 규범과 가치에 의해 지탱되어 왔는가? 특히 공중(public)의 성장과 함께 신문 저널리즘은 공적지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정치적 숙의의 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 왔다. 이런 제도로서의 저널리즘은 ‘객관성, 중립성, 책임성’ 등 1900년대 초부터 확립된 언론의 ‘전문주의’ (professionalism) 규범과 가치에 의해 지탱되어 왔다.
생산자를 겸하는 능동적 수용자의 등장으로 인해 전통매체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생산자를 겸하는 능동적 수용자가 등장했으며 뉴스의 소비양식이 변했다. 이에 따라 신문, 방송 등 전통 매체가 뉴스 생산 및 유통에서 누리던 독점권이 약해졌고, 이런 독점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던 언론의 신뢰성 역시 하락하고 있다. 즉, 디지털화로 뉴스가 생산, 유통, 소비되는 저널리즘의 생태계가 크게 변했고, 이런 변화는 동일 공간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의 “가치와 규범”의 변화를 가져왔다 (김성해ㆍ반현 2012, 34쪽).
신문 저널리즘은 무엇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 왔는가? 뉴스는 공동체가 생존하고 발전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공적지식(public knowledge)로 발전했다. 특히 공중(public)의 성장과 함께 신문 저널리즘은 공적지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정치적 숙의의 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 왔다. 이런 제도로서의 저널리즘은 ‘객관성, 중립성, 책임성’ 등 1900년대 초부터 확립된 언론의 ‘전문주의’ (professionalism) 규범과 가치에 의해 지탱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