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 2013년, pp.135 - 142  

강종수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은미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조직문화는 Kimberly and Quinn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바탕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만족은 모두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고, 회귀분석 결과에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모두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무만족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수준에서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문화 수준이 낮더라도 직무만족 수준을 증진시킨다면 조직시민행동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조직을 위해 자발적으로 헌신하도록 하기 위해 직무만족 향상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al culture was measured by Kimberly & Quinn's competing value model. This study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핵심인 사회복지기관이 어떤 유형의 조직문화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역할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 간에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된 것으로, 이를 통해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해 가장 적합한 조직문화 유형을 살펴보고 또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의 인적자원관리에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는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조직 내에서 구성원을 돕는 행동은 자발적으로 행하여진다. 셋째, 타인을 돕는 행동에 직접적인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다. 넷째, 타인을 돕는 행동은 규정된 직무의 일부도 아니고 공식적인 신뢰감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조직효율성을 증진하는데 공헌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6,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가 조직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조직문화는 조직의 성패를 결정하는 전략의 수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조직을 이끄는 중요한 동인이라 할 수 있다.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의 바탕이 되는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을 결합시키고 그들의 직장생활에 의미와 목적을 부여해 주면서 그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조직문화는 강하든 약하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조직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5].
자발적인 활동인 조직시민행동은 어떤 효과를 이루어 내는가? 조직연구자들은 조직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직무기술서나 업무분장표에 공식적으로 명시된 역할뿐만 아니라 공식적 역할 이외의 자발적인 활동인 조직시민행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2,3]. 조직은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통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게 되는데, 이는 조직시민행동이 조직 내에서 다른 동료들을 배려하고, 돕고, 협력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조직 내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조직문화에서 구성원들은 어떤 것을 배워 나가는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핵심인 사회복지기관은 저마다 고유의 특성과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직문화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통해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구성원들은 조직에서 어떻게 타인에게 반응을 하며, 어떤 행위가 보상을 받게 되고 어떤 행위가 벌을 받게 되는가를 배워 나간다. 조직문화와 합치되는 행위를 할 때 사회적 보상을 받게 된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 Katz,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ehavioral Science, 9, pp. 131-146, 1964. DOI: http://dx.doi.org/10.1002/bs.3830090206 

  2.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8. 

  3. I. D. Suh, and J. W. Doh, and K. S. Ju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uman Resource Management Studies, 16, pp. 213-234, 2009. 

  4. C. A. O'Reilley, and D. R. Caldwell, "The Impact at Normative Social Influence and Cohesiveness on Task Perception and Attitudes: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 pp. 193-206, 1985. DOI: http://dx.doi.org/10.1111/j.2044-8325.1985.tb00195.x 

  5. R. A. Ju, The Effects of Employee's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e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2009. 

  6. H. G. Kang, A study on the quality of medical social work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culture of hospital,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01. 

  7. Y. S. Cha, "A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5) pp. 2054-2062, 2012. 

  8. J. P. Kimberly and R, E. Quinn.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Illinois: Irwin, 1984. 

  9. J. S. Choi and J. A. Choi and S. Y. Ju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munity-Centered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1), pp. 5-32, 2009. 

  10. B. Leisen, B. Lilly, and R. D. Winsor.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ket Orient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c Marketing Alliance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6(3), pp. 201-222. 2002. DOI: http://dx.doi.org/10.1108/08876040210427209 

  11. A. Dastmalchian, S. Lee, and I. Ng, "The Interplay between Organizational and National cultures: A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Practices in Canada and South Korea using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1(2), April, pp. 388-412. 2000. DOI: http://dx.doi.org/10.1080/095851900339927 

  12. E. H. Kim,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Korea Administrative journal, 23(1), pp. 371-399, 2011. 

  13. H. Y. Kim and Y. M. Kim, "A Study on Effect of Perception of Ethics and Expertism of Korean Social",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58, pp. 209-232, 2011. 

  14. Y. S. Kang, "A Study on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upon Self-Efficacy of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Policy, 26, pp. 123-148, 2006. 

  15. H. J, Park, The Influence of Conflic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2011. 

  16. A. P. Brief, and S. J. Motowidlo, "Prosocial Organization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pp. 710-725. 1986. DOI: http://dx.doi.org/10.2307/258391 

  17. Y. K, Park,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anager'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aegu University, 2008. 

  18. S. Y. Choi, "A Study on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ing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3), pp. 389-413, 2005. 

  19. C. G. Lee,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Organization Identity Ties on Employee's Behaviour, Organization & Personnel management studies, 27(1), pp. 159-187, 2003. 

  20. S. H. Choi and D. Y. Cho and T. H. H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s", Human Resource Management Studies, 13(4) pp. 191-207, 2006. 

  21. J. Y. Kim, An Effect of Job Factors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009. 

  22. B. C. Lee and C. E.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Local Officers", Local Government Studies, 13(3), pp. 67-85, 2009. 

  23. B. J. Ha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Styl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24. J. S. Kang, A Study on the Multiple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02. 

  25. J. Hackman and E. E, Lawler.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5, pp. 259-286. 1971. DOI: http://dx.doi.org/10.1037/h0031152 

  26. S. Y. Nam, S. K. Nam and M. A. Nam, "Effects of Self-Efficacy and Facet Job Satisfaction on Global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3), pp. 195-221, 2006. 

  27. J. S. Song and P. S. Yang,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uman Resource Management Studies, 16, pp. 111-130, 2009. 

  28. S. H. Hwang, "Organizational Cultures and Social Workers' Empower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9, pp. 113-13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