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2, 2013년, pp.655 - 664  

김종인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김윤정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한 강현정(2012)의 데이터 11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회참여는 경제활동 77.7%,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활동 79.3%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노후 사회참여 의향은 경제활동 80.9%, 자원봉사활동 76.7%, 여가활동 82.2%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현재 사회참여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에도 사회참여를 하려는 의향이 높았다. 그런데 현재는 사회참여를 하지 않으나 노후에는 사회참여를 하고자 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활동의 경우에는 55.8%, 자원봉사활동의 경우에는 70.6%,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66.5%였다. 셋째, 현재 사회참여여부가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노후 삶의 만족도에 중요 변수로 알려진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For this purpose, I utilized Hyun-Jung Kang(2012)'s data whose 1,115 sample were collected based on residential area and gende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77.7% of baby boomers are actual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겠다.
  •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3년생을 대상으로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의 사회참여 실태 및 노후 사회참여 의향을 파악하고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의 사회참여실태와 노후 사회참여 의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노후의 사회참여를 2인 이상의 공식적·비공식적 단체에서의 참여활동으로, 경제활동, 자원봉사, 여가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3년생을 대상으로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의 사회참여 실태 및 노후 사회참여 의향을 파악하고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의 사회참여실태와 노후 사회참여 의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 사회참여와 노후 사회참여 의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수로서 현재 사회참여여부라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베이비붐 세대와 그들의 노후의 삶을 위한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 측면을 강조하여 연구를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참여에 관한 지속이론에서는 개인의 성향과 중년기에 수행했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중년기와 비슷한 역할을 노년기에도 지속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노년기 사회활동이라고 보았다[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 세대란?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 간 태어난 인구집단으로 2010년 현재 총인구 대비 14.6%(약 721.
베이비붐 세대가 2010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 간 태어난 인구집단으로 2010년 현재 총인구 대비 14.6%(약 721.5만명)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모두 노년기에 접어드는 2030년에는 노인인구가 24.
퇴직 이후에 대한 베이비붐 세대의 생각은 어떠한가? 베이비붐 세대는 퇴직 이후의 인생 또는 노년기의 의미를 지금의 노인과는 달리 생각한다[2,3].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생활을 위한 경제적 여건이 어느 정도 마련되어있고, 교육수준도 높아 퇴직 후에도 자신의 재능을 계속 활용하기를 원하는 세대이다. 이에 따라 노년기 여가생활, 문화생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Statistics Korea. Model Life Talble for Developing 2010. Statistics Korea. 2011. 

  2. Easterlin, R. A. Birth and Fortune: The impact of Numbers on Personal Welfare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 H. K. Choi, A Study on Leisure-tim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Keimyung University. 2009. 

  4. C. Y. Jo, "The study on the leisure practical use and part in society for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2, pp.7-34. 2003. 

  5. Y. J. Lee, (The) Study of Activation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Lifelong Education Preparing for Super-aged Society. Kangwon University. 2011. 

  6. H. J. Kwon,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Kangnam University. 2007. 

  7. J, W. Yoo, "Social Capital and Voluntary Association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 9, No.3, p.243-259, 2000. 

  8. M. R. Jang, A Study on the Activation Scheme on Society Participation of the Aged : Focused on Guri Area. KONKUK University. 2010. 

  9. G. J. Tak, Factors effecting on the life satisfation by leisure activity of the aged people. University of seoul. 2010. 

  10. K. S. Baek, Y. S. Kwon, "Effects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35, pp87-105, 2007. 

  11. Lennartsson, C. Silverstein, M. "Does engagement with life enhance survival of elderly people in Sweden? The role of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ety Science, Vol.25, pp335-342, 2001.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6.6.S335 

  12.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J. Ryan, R. M. "Daily well-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Bull, Vol.26,No.4, pp419-435. 2000. DOI: http://dx.doi.org/10.1177/0146167200266002 

  13. Cantor, N. Sanderson, C. A. Life task participation and wellbeing: the importance of taking part in daily life. In: Kahneman D, Diener E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Russell Sage Foundation, New York, pp 230-243, 1999. 

  14. Maier, H. Klumb, P.L. "Social participation and survival at older ages: is the effect driven by activity content or context?" Euroupe Journal of Ageing, Vol.2, pp.31-39. 2005. DOI: http://dx.doi.org/10.1007/s10433-005-0018-5 

  15. Rowe, J. Kahn, R.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1998. 

  16. Cleaver, M., Green, B. C. Muller, T. "Using consumer behavior research to understand the babyboomer touris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Research, Vol.24, No.2, pp.274-287. 2000. DOI: http://dx.doi.org/10.1177/109634800002400210 

  17. Glass, J. C. Kilpatrick, B. B.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 An imperative for baby boomer women" Educational Gerontology, Vol.24, No.6, 595-617. 1998. DOI: http://dx.doi.org/10.1080/0360127980240606 

  18. Coleman, L. J. Hladikova, M. Savelyeva, M. "The babyboomer market" Journal of Targeting, Measurment and Analysis for Marketing, Vol.14,No.3, pp.191-209. 2007. DOI: http://dx.doi.org/10.1057/palgrave.jt.5740181 

  19. Quine, S. Carter, S. "Austrian baby boomers' expectations and plan for their old age" Austrian Journal on Ageing, Vol.25 ,No1, pp.3-8.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741-6612.2006.00147.x 

  20. Lusardi, A. Mitchell, O. S. "Baby boomer retirement security : The role of planning, financial literacy and housing wealth"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54, No.1. pp.205-224.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moneco.2006.12.001 

  21. H. N. Bang, D. G. Shin, S. G. Lee, J. Han, J. K Kim, I. C. Shin, Study on Korea Baby boomer lifestyle. Korea Labor Institute. 2010 

  22. S. H. Nam, Assets and Implications of Korea Babyboom Generation, Issue & Forcus, Vol.115, pp.1-8. 2011. 

  23. Y. J. Jung, A Study on the City of Ulsan's Baby Boomer's Retirement Plan for Productive Activities and Well-Aging. University of Ulsan. 2011. 

  24. G. H. Han, H. J. Choi, K. S. Eun, J. H. Lee, S. H. Joo, J. H. Kim, Korean Baby Boomers in Transition. Snu Institute on Aging. 2011. 

  25. Hooyman, N.R Kiyak, H.A. Social Gerontology;A multi야sciplinary perspective, 8th edition, ALLYN AND BACON. 2008, 

  26. Atchley, R.C. Barusch, A.S. Social forces &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10th edition. Thomson : Wadsworth. 2004. 

  27. Bengston, V. L. Beyond the nuclear family: The inceresing importance of multigenerational bonds, The 1998 Burgess Award Lectur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3, pp.1-15, 2001. DOI: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1.00001.x 

  28. S. D. Bark, Elderly Welfare, Yangseowon. 2008. 

  29. M. R. Kim,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babyboom, X and pre-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1, pp.7-34. 2011. 

  30. K. W. Sung, Y. S. Lee, Y. J. Chang. "Present and Future Needs for Leisure Activities of the Pre-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25, No.4, pp131-146, 2005. 

  31. KIHASA. Baby Boomer'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KIHASA. 2010. 

  32. H. K. Shin, J. L Lee, "A Study on the Change of Need about Leisure of Middle-Aged for Planning Elderly Leisure"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Vol.19, pp.1-1.7 2008. 

  33.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http://www.kli.re.kr/klosa/ko/main/main.jsp (accessed Des. 3, 2011) 

  34. S. C. Le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Older Persons" Korean journal population studies, Vol.32, No.1, pp.71-91,2009. 

  35. Y. J. Lee, (The) Study of Activation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Lifelong Education Preparing for Super-aged Society. Kangwon University. 2011. 

  36. S. Y. Kim, M. S. Park, "A Study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18, No.1, pp.67-84. 2000. 

  37. Ministry of Culture, Sports, Tourism.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20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2011. 

  38. H. J. Kang,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integration to whether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baby boo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7, pp.429-448. 2012. 

  39. Y. M. Son, C. H. Kim, Study of Job Creation and Support for Baby boomers. KRIVET, 2011. 

  40. KIHASA. Baby Boomer' Demographic Profiles. KIHASA. 2012. 

  41. Statistics Korea. Social Research 2010. Statistics Korea. 2011. 

  42. Y. S. Kwak, A Study on Pro-Senior people's Needs for Economic Activities. University of Seoul. 2011. 

  43. Longman, P. Born to Pay. Boston, MA: Houghton Mifflin. 1987. 

  44. Peterson, P, HOWE, N. On Borrowed Time. New York: Touch Stone Books. 1988. 

  45. S. Y. Lee, A Study on Enhancement of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Services, KYUNG HEE University. 2004. 

  46. Herzog, A.R., Kahn, R.L., Morgan, J.S., Jackson, J.S. Antonnucci, T.C,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44, No.4, pp.129-138, 1989. 

  47. M. A. Kwon, T. H. Kim,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for the Elderly -Comparison Study of volunteer work group and economic activities group"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Vol.28, No.4, pp.1089-1111, 2008. 

  48. G. U. Jo, J. S. Lee, S. G. Bark, The entry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 policy paradigm shift is needed.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011. 

  49. S. B. Kim,. "Consumption Pattern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ge friendly Business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74, pp.28-37, 2011. 

  50. S. C. Le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 

  51. M. H. Y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Ewha University. 2008. 

  52. Atchley, R .C. The process of retirement: Comparing women and men. n M. Szinovarz, Women's Retirement. Beverly Hills, CA: Sage. 1982. 

  53. G. M. Ku. U. S. Lee, "The Influence of Past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n Present Leisure Deepening of the Old" Korea sport research, Vol.6, pp.326-33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