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기교육에 대한 욕구
A Study on Needs for the Elderly Educa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1, 2014년, pp.585 - 595  

양희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한정란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기교육에 대한 참여의향 및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향후 베이비붐 세대에게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노년기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룰 위하여 1955년생부터 1974년생까지의 베이비붐 세대 261명을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응답자의 67.4%가 평생교육의 경험이 없었으며 그중 가장 큰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이다. 둘째, 향후 노년기교육의 참여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참가하겠다는 응답이 64.3%로 높았으며,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변화에 대응에 관한 지식 필요해서 이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기교육 욕구를 살펴보면 사회복지기관을 통해 실습하며 건강 및 건강관련 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높은 교육, 문화적, 경제적 수준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의 욕구에 부응하는 건강에 관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에 힘써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by Boom Generation'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and needs on the elderly education.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261 participants who were born in 1955 through 1974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67.4% of the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need for the elderly educa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an effective and desirable elderly education program for them.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and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of senescence life for the baby boom generation by identifying their intention for participation and requirements as to the education of senescence life.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us,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have education to allow the baby boomers to fill and manage their prolonged senescence life more creatively and efficiently by themselves[13].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and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of senescence life for the baby boom generation by identifying their intention forparticipation and requirements as to the education of senescence lif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Stastics, 2010 Stastistics for population Census. 

  2. Han, J.R,. "The church's tasks for Baby Boomers' successful adaptation to later lives", The 7thSimposium proceeding of Shalom Welfare Center, pp.1-23, 2011. 

  3. Park, M.J., "Analysis of the Middle Generation's Awareness of and Demands for Educational Gerontology and Intergenerational Education: Centered on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10. 

  4. Kim, J.Y., Lee, J. M.., "An Analysis on Elderly's Educational Need: Focus on the Difference of Age",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18, no.1, pp.75-101, 2010. 

  5. Kim, H.S., "Research on Senior Education Demands",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08. 

  6. Lee, C.Y.,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s and Needs of Older Persons in the Senior Center-Focusing on Daejeon City", The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05. 

  7. Bae, J.Y.,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 Assessment of the Senior Citizens's welfare Center in Taejon", The Graduate School, Taejon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00. 

  8. Kim, K.J.,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Elderly Education: based on Chungcheongnam-do",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A Doctoral thesis, Korea, 2010. 

  9. Cha, K.M., "A research of present condition and activation plan for elder education-The university(college) construction whole life-long(society) education center-",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06. 

  10. Yoo, S.J., "A Study of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or the Aged and its Improvement"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Incheon, A Master Thesis, Korea, 2002. 

  11. Jang, J.W., "A Study on policy execution of the elderly education : Center in Chungbuk provinc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h Sangmung, A Doctoral Thesis, Korea, 2008. 

  12. Lee, J.Y., "An investigation on characeristics of the baby boom generation's welfare needs for the aged", Th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A Master Thesis, Korea, 2007. 

  13. Han, J.R., "Educational gerontology" Seoul, Hakjisa, 2005. 

  14. Han, J.R., Won, Y.H., Park, S.H., & Choi, I.S. "Needs for aging education of the middle aged and the older adults", Journal of Lifelonf Education, Vol. 15, No. 4, pp.13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