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드밀 운동학습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Motor Learning training with Treadmil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2, 2013년, pp.804 - 810  

최현진 (순천평화병원 재활센터) ,  이동엽 (선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윤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동작기능분류체계(GMFCS) 제 III, IV 단계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운동학습훈련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무작위로 8명씩 분류하여, 대조군은 주 4회 근력강화운동을 30분/1회 적용하였고, 운동학습훈련군은 근력강화운동과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훈련을 주 4회 15분/1회 적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은 대동작기능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good balance system(Meitur Ltd., Finland)의 전산화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용방법에 따른 운동학습훈련군과 대조군의 전 후 유의성 검증은 Wilcox Signed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학습훈련군은 훈련 적용 후 운동기능과 균형이 유의하게 항상되었고(p<.05), 대조군에 비해 운동학습훈련군에서 훈련 적용 후 운동기능과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훈련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소아치료 중재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readmill training through motor learning to cerebral palsy children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motor Functions and bal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spastic diplegia children who had difficulty in independent gait, and GMFCS level III, IV.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인 보행의 경험이 없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반복적인 동적 보행훈련을 시킬 수 있는 운동학습훈련을 주기적으로 시도하여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아물리치료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운동기능은 대동작 기능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good balance system의 전산화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이 연구는 경직성 뇌성마비에게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훈련을 적용하여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은 어떤 어려움을 갖게 되는가? 자세나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는 뇌성마비 아동은 관절의 변형과 근육의 단축, 고유수용감각, 시각 등의 장애로 인하여 균형수행에 어려움을 일으켜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유발하는 움직임과 체간에서의 불안정성 및 자세유지가 어렵다[3]. 또한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어려움을 갖게 된다[4].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뇌가 미성숙하여 움직임과 자세조절에 장애를 가지는 비진행성 증후군으로서 인지, 의사소통, 감각기능, 지각, 운동, 경기 등과 연관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1].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양상은 몸통부위의 낮은 근긴장으로 몸통의 안정성과 하지의 운동성부족이 발생하며, 또한 움직임의 발달이 지연되고, 걷는 속도가 느리고 보행하는 동안의 지구력이 낮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은, 뇌성마비아동들의 침범된 부위의 심각한 기능적인 제한을 유발한다[2].
뇌성마비는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가? 뇌성마비는 뇌가 미성숙하여 움직임과 자세조절에 장애를 가지는 비진행성 증후군으로서 인지, 의사소통, 감각기능, 지각, 운동, 경기 등과 연관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1].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양상은 몸통부위의 낮은 근긴장으로 몸통의 안정성과 하지의 운동성부족이 발생하며, 또한 움직임의 발달이 지연되고, 걷는 속도가 느리고 보행하는 동안의 지구력이 낮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은, 뇌성마비아동들의 침범된 부위의 심각한 기능적인 제한을 유발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 Bax, M. Goldstein et al.,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cfication of cerebral palsy", Dve Med Child Neurol, 47(8), pp. 571-576, 2005. DOI: http://dx.doi.org/10.1017/S001216220500112X 

  2. C. Duffy, A. Hill, et al., "Energy consumption in children with spina bifida and cerebral palsy: a comparative study", Dev Med Child Neurol, 38(5), pp. 238-243, 1996. 

  3. S. S. Kim, C. J. Song, "Trunk muscle activity of standing and sitting postur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of Korean soc. of Phy Ther, 16(2), pp. 363-372, 2004. 

  4. Y. J. Lee, "Correlation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Gait Speed, and Timed Up &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4. 

  5. C. Lepage, L. Noreau, et al.,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locomotion and accomplishment of life habi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78(5), pp. 458-479, 1998. 

  6. K. J. Dodd, N. F. Taylor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training programs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3(8), pp. 1157-1164, 2002.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2.34286 

  7. H. F. Liao, S. F. Jeny et al., "The relation between standing balance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9(2), pp. 106-112, 1997. DOI: http://dx.doi.org/10.1111/j.1469-8749.1997.tb07392.x 

  8. R. J. Cheng, C. F. Liu et al.,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on gait and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m & Phys Med Rehabil, 86, pp. 548-555, 2007. DOI: http://dx.doi.org/10.1097/PHM.0b013e31806dc302 

  9. R. S. Martin, F. Claudia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weight support in nonambulator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1(3), pp. 301-306,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00)90075-3 

  10. D. M. Begnoche and K. H. Pitett, "Effects of traditional treatment and partial body weight treadmill training on the motor skill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Pediatr Phys Ther, 19(1), pp. 11-19, 2007. DOI: http://dx.doi.org/10.1097/01.pep.0000250023.06672.b6 

  11. P. S. Fardy, J. L. Bennet et al., "Cadiac rehabilitaion: implications for the nurse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ST Louis, MO: CV Mosby Co. 1980. 

  12. S. Hesse, M. Konrad et al., "Treadmill walk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versus floor walking in hemiparet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80(4), pp. 421-427,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99)90279-4 

  13. M. Suteerawattananon, B. MacNeil et al.,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for gait and balance in a patient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hys Ther, 82(5), pp. 485-495, 2002. 

  14. J. H. Han, J. Y. Ko, "Evaluation of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with Electronic Games",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6), pp. 480-488, 2010. 

  15. H. Y. Kwon, "Effect of walking performance in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8. 

  16. D. J. Russel, P. L. Rosenbaum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Toronto; McMaster University, 1989. 

  17. D. L. Damiano and F. F. Abel,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8(5), pp. 389-396, 1996. DOI: http://dx.doi.org/10.1111/j.1469-8749.1996.tb15097.x 

  18. M. Piirtola and P. Era, "Force platform measurements as predictors of falls among older people - a review", gerontology, 52(1), pp. 1-16, 2006. 

  19. Y. H. Kim, J. H. Park et al., "Effect of Hip Abductor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Static Balance", Korean J Orthop Manu Ther, 15(1), 49-57, 2009. 

  20. J. A. Day, E. J. Fox et al., "Locomotor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on a treadmill in a nonambulatory child with spastic tetraplegic cerebral palsy" a case report. Pediatr Phys Ther, 16(2), pp. 106-113, 2004. DOI: http://dx.doi.org/10.1097/01.PEP.0000127569.83372.C8 

  21. M. R. Schindl, C. Forstner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weigt suppor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4(9), pp. E2, 2000. 

  22. D. Begnoche, E. Sanders et al., "Effect of an Intensive Physical therapy Program with partial body weight treadmill training on a 2year-old child with spastic quadriplegic cerebral palsy", Pediatr Phys Ther, 17(1), pp. 73, 2005. 

  23. E. K. Shin,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Program on Motor Function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007. 

  24. S. A. Ross and J. R. Engsberg, "Relationships between spasticity, strength, gait, and the GMFM-66 in persons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8(9), pp. 1114-1120, 2007.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7.06.011 

  25. S. K. Lim, "Changes in gait parameter's and foot contact area, and center of pressure of foot after mobile weight bearing exercise and range of motion exercise i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BOBATH Assoc, 5(1), pp. 25-4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