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를 이용한 기능성 원료 지표성분으로서 장수 오미자 분말 중 Schizandrin의 분석법 개발
Confirmation of Schizandrin as a Marker Compound in Jangsu Omij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244 - 248  

김윤정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하나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한송희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전지영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황민호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임용진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이선영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채수완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김민걸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서 오미자의 지표성분인 schizandrin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에 대한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오미자추출액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0 이상으로 높은 유의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검출한계는 0.2 ${\mu}g/mL$, 정량한계는 0.5 ${\mu}g/mL$로 설정되었다. 일내, 일간분석에서 정밀도를 나타내는 변동계수(CV, coefficient variation)는 표준용액에서 각각 0.06~0.66%, 0.13~1.19%로 나타내었고 정확성(accuracy)은 각각 98.35~103.30%, 98.35~103.00%로 나타내어 오미자의 지표성분인 schizandrin의 분석법이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분석법에 따라 장수오미자분말에서 schizandrin을 분석한 결과 대한약전의 분석법보다 빠르며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분석 가능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원료 표준화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development of schizandrin as a marker compound in Jangsu Omija. Schizandrin was validated for its LOD (limit of detection), LOQ (limit of quantitation),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y by HPLC relative to Omija powder.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별인정형 원료로서 오미자의 표준화를 위해 schizandr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여 HPLC를 이용한 schizandrin의 분석법을 확립하며 그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정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서 오미자의 지표성분인 schizandrin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에 대한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오미자추출액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기능성을 표준화되게 관리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지표가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이다(15).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성분 중 함량이 높고 특이성분인 schizandrin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였으며(9,16), HPLC를 이용하여 schizandrin의 분석법을 확립고자 하였다. 분석법의 타당성은 분석에 사용하는 시험법이 시험목적에 적합하고 시험법의 오차가 허용되는 정도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선정된 분석법이 재현성이 있고 의도한 목적에 부합되는 신뢰성이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란? ) Baill.)는 오미자과 (Schizand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목본인 덩굴식물이며 붉은 색의 과실을 생약재 및 식품원료로 이용하는 주요 약용식물이다(1). 오미자나무과에는 2속 3종이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데, 오미자나무속(Schizandrae)에는 주로 약용으로 쓰이는 오미자(S.
오미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nigra)가 있다(2). 오미자의 효능으로는 혈압강하작용 및 알콜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암 예방 활성(3,4), 노화 억제 활성(5), 면역 조절 작용및 항균활성(6)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천연 오미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7), 오미자 추출물의 생리활성(8) 등 여러 가지 오미자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미자의 과실에 함유된 성분은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등 주로 리그난 화합물로 각 리그난의 평균 함량은 schizandrin 0.
schizandrin이 간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 1)은 혈당저하작용, 항 궤양작용, 만성간염치료효과, 중추신경흥분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간손상을 유도하는 사염화탄소(CCl4- )로부터 보호한다고 보고되었다(13). 그리고 부교감신경시스템의 활성화 또는 글루타민산염 수송체를 조절하고 세포 밖의 글루타민산염의 정도를 줄여 중추신경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 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CB, Kim YS, Kim JS, Lee JS. 1989. Taxonomy of the Plants. Hyangmunsa, Seoul, Korea. p 209. 

  2. Lee CB. 1989.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Hyangmunsa, Seoul, Korea. p 375. 

  3. Nomura M, Nakachiyama M, Hida T, Ohtaki Y, Sudo K, Aizawa T, Aburada M, Miyamoto KI. 1994.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ora fruits, inhibits development of preneoplastic lesions in rat liver by 3'-methyl-4-dimethylamino-azobenzene. Cancer Lett 76: 11-18. 

  4. Ohtaki Y, Hida T, Hiramatsu K, Kanitani M, Ohshima T, Nomura M, Wakita H, Aburada M, Miyamoto KI. 1996. Deoxycholic acid as an endogenous risk factor for hepatocarcinogenesis and effects of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a fruits. Anticancer Res 16: 751-755. 

  5. Nishiyama N, Chu PJ, Saito H. 1996. An herbal prescription, S-113m, consisting of biota, ginseng and schizandra, improves learning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Biol Pharm Bull 19: 388-393. 

  6. Li XJ, Zhao BL, Liu GT, Xin WJ. 1990.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radicals by schizandrin with different stuctures and configurations. Free Radic Biol Med 9: 99-104. 

  7. Sung KC. 2011.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8: 290-298. 

  8.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9. Kim KS, Kang SS, Ryu SN.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from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Kor J Pharmacogn 33: 272-276. 

  10. Tang W, Eisenbrand G. 1992.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 903-917. 

  11. Kim OC, Jang HJ. 1994.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gric Chem Biotechnol 39: 30-36. 

  12. Moon KS. 1984. Components and advantages of the medical herb. In Science encyclopedia. Ilwolseokak, Seoul, Korea. p 205-208. 

  13. Zhang MH, Chen H, Li LZ, Song YF, Xu YF. 2002. Deoxyschizandrin and schizandrin protect liver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damage. Med J Chin People's Armed Police Force 13: 395-396. 

  14. Li HT, Gang HU. 2004.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zandrin on 6-OHDA-induced apoptosis of cultured PC12 cells. J Nanjing University TCM 20: 96-98 

  15. KFDA. 2008. Guideline for standard of health functional foo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p 1-3. 

  16. Koo DC, Suh WS, Baek SY, Shim SH. 201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ignans from Schizandra chinensis by HPLC. Kor J Phamacogn 42: 233-239. 

  17. KFDA. 2008. Guideline of standard of functional ingredient for health functional food development.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p 53-59. 

  18. KFDA. 2012. The Korean Pharmacopoei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p 7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