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봉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제빵 특성과 소비자 검사
Quality and Consumer Perception of White Bread Baked with Hallabong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306 - 312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봉 분말 2%, 4%, 6% 및 8%를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고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빵 반죽의 pH는 대조군이 5.65를 나타내었고 한라봉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총산도는 이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실험군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발효 팽창력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p<0.05), 60분에서 대조군이 98.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빵의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식빵의 수분함량은 실험군이 40.61~41.83%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수분활성도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식빵 crust의 명도는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황색도는 2% 대체군이 가장 높은값을 나타냈다. Crumb의 명도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조직감 측정에서는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5). 관능검사 결과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귤향, 쓴맛, 떫은맛이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색, 향,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2%와 4% 대체군은 보통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실험 결과, 한라봉 분말을 첨가한 식빵 제조 시 2~4%로 대체가 최적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nd added 2%, 4%, 6%, or 8% Hallabong powder. Dough pH of the control group was 5.65, and it decreased as increasing amounts of Hallabong powder were added. Also, total titratable acidity of do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관한 연구로는 손바닥선인장 열매 분말(9), 곤달비 분말(10), 청국장 가루(11), 자일리톨(12), 백복령(13), 가지 분말(14), 함초분말(15), 크랜베리(16)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라봉 분말을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여 이의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통해 한라봉 식빵의 최적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라봉은 무엇의 교잡종인가? 한라봉(Hallabong tangor)은 청견(citrus kiyomi)과 ponkan(C. reticulata)의 교잡종으로 국내로 들어와 부지화(不知和)로 불리었으나 1998년에 한라봉으로 명명되었다(1). 한라봉은 과경부에 혹이 있고 과피는 손으로 쉽게 벗길 수 있으며 속은 부드럽고 과육이 풍부하여 맛이 좋으며, 과산화물 생성 억제와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여 천연 항산화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식빵에 부재료로서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어떤 연구가 있는가? 또한 부재료로서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관한 연구로는 손바닥선인장 열매 분말(9), 곤달비 분말(10), 청국장 가루(11), 자일리톨(12), 백복령(13), 가지 분말(14), 함초분말(15), 크랜베리(16)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라봉 분말을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여 이의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통해 한라봉 식빵의 최적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제주지역에서만 생산되었던 한라봉이 어느 지역에서도 재배되는가? 한라봉은 과경부에 혹이 있고 과피는 손으로 쉽게 벗길 수 있으며 속은 부드럽고 과육이 풍부하여 맛이 좋으며, 과산화물 생성 억제와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여 천연 항산화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근래에는 온난화의 영향으로 제주지역에서만 생산되었던 한라봉이 고흥, 거제에 이어 나주, 진도 등 남해안 일대까지 재배 지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3). 한라봉에 대한 연구로는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기기분석 및 관능평가에 의한 향기 특성(4), 생육단계와 온도처리에 따른 한라봉 감귤의 품질 변화(5), 가온 재배한 한라봉 감귤의 품질특성(6), 포장재 처리에 따른 한라봉 감귤의 저장 중 품질 변화(7) 등으로 한라봉에 관한 저장성과 품질 유지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으나 한라봉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HS, Lee SH, Koh JS.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 611-615. 

  2. Song H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juices and peel extracts from Hallabong (Citrus kiyomi ${\times}$ C. ponkan) and Yuza (Citrus junos Tanaka). Journal of Kwangju Health College 29: 129-138. 

  3.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70493. 10. 21, 2009. 

  4. Song HS, Park YH, Moon DG. 2005.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39-1245. 

  5. Lee SH, Kim JH, Jeong HC, Koh JS. 2007. Changes in the quality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with growth stage and temperature pre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4: 565-570. 

  6. Lee SH, Kim HS, Cho SW, Lee JS, Koh JS. 2006. Quality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 538-542. 

  7. Lee SH, Kim JH, Jeong HC, Koh JS. 2008. Changes in fruit quality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by film packagi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5: 185-190. 

  8. Lee HJ, Jung SI, Hwang YI. 2009.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the plain bread added with onion juice. J Life Science 19: 781-786. 

  9. Shin DH, Lee Y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powder. Korean J Food & Nutr 18: 341-348. 

  10.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bread supplemented with Ligularia stenocephala leaf powder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urvey panel members. Korean J Food & Nutr 19: 207-218. 

  11. Moon SW, Park S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33-639. 

  12. Lee SJ, Pai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 Nutr 21: 56-63. 

  13. Shin GM, Park JY. 2008.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 231-235. 

  14. Kim JS, Jeong SH. 2009. Effects of the amounts of Terminalia chebula Retz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30-436. 

  15. Lee YS, Hong GJ, Kim WM, Shin MK.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saltwort powder (Salicornia herbacea 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06-712. 

  16. An HL,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by the addition of cran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697-705. 

  17.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 e.V. 1994. Standard- Methoden fur Getreide, Mehl und Brot. 7th ed. Verlag Moritz Schaafer, Detmold, Germany. p 283-287. 

  18. He H, Hoseney RC. 1991. Gas retention of different cereal flours. Cereal Chem 68: 334-336. 

  19. Kim YS, Chun SS, Tae JS, Kim RY. 2002. Effects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ough.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73-578. 

  20. Kim YS, Park ID, Lee HJ, Jeon ER, Kim SH. 2002. Bakery product. Shinkwang, Seoul, Korea. p 92. 

  21.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57-765. 

  22. Shin SR, Shin S,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pomegranate with added pomegranate powder. Korean J Food & Nutr 21: 492-498. 

  23. Lee MK, Lee JH, Lee SK. 2009.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flour ferments by seed mash and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46-351. 

  24. Edit. Monthly Bakery product. 1999. Special lecture of bakery product. B&C WORLD, Seoul, Korea. p 45-46. 

  25. Sarah RL, Priscilla M, Damme EV, Tenbergen K. 2005. On baking: A Textbook of Baking and Pastry Fundamentals. Pearson-Prentice Hall, Saddle river, NJ, USA. p 50-52, 150. 

  26. Hwang YK, Hyun YH, Lee YS. 200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jasmin tea powder. Korean J Food & Nutr 17: 41-46. 

  27. Pomeranz Y, Shogrem MD, Finney KF, Bechter DB. 1977. Fiber in bread making 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28.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the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29. Han IJ, Kim RY, Kim YM, Ahn CB, Kim DW, Park KT, Chun S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242-249. 

  30. Shin DH, Lee YW. 2002.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Korean J Food & Nutr 15: 314-320. 

  31. Hong SY,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 Nutr 21: 485-491. 

  32. Kwon KS, Kim YS, Song GS, Hong SP.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ubi Fructus (Rubus coreanus Miquel) juice. Korean J Food & Nutr 17: 272-277. 

  33.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24-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