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효소음료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rmented Vegetable Beverage by Gen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318 - 323  

배현수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효소음료의 인지도를 연구하여 웰빙 시대에 있는 현대인들의 건강관련사항과 더불어 앞으로의 음료시장에서 효소음료에 대한 새로운 제품개발에 따른 기초 연구 자료와 마케팅방안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성별에 따라 가계소득, 직업, 교육수준, 결혼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자신의 건강정도, 규칙적인 운동, 수면여부에서 나타났으며, 남자(3.31)가 여자(3.08)보다 자신 스스로가 건강하고 생각하고 있었고, 또한 남자(2.77)가 여자(2.39)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으나 수면 여부는 남자(2.76)보다 여자(2.97)가 더 수면을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에서는 남자 16.6%, 여자 17.0% 모두 식습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은 남자 42.0%, 여자 41.3%로 모두 대중매체를 통하여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 동안 건강식품 및 영양제 복용여부를 나타낸 결과에서 유의성(p<0.05)이 나타났다. 효소음료를 마셔본 적이 있는가의 물음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효소음료를 접해본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음료를 마셔본 계기의 물음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자(20.4%), 여자(15.0%) 모두 가족, 친지에 의해서의 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음료를 이용하는 때의 물음에서는 남자(6.3%), 여자(7.9%) 모두 물 대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음료를 마셔본 적이 없는 이유에서 남자(5.9%), 여자(6.6%) 모두 주변사람이 섭취를 안해서가 가장 많았다. 효소음료에 대한 인식도에서 공복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항목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다. 향후 음료시장에서 효소음료가 자리 잡기 위해서는 여자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제품개발로 건강증진 효과를 주는 기능성식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기호식품으로서 공복감 해소에 대한 기대감도 크므로 더 나아가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하게 하여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향 설정 및 음료시장 마케팅에 이용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다양한 재료의 효소를 가지고 음료를 개발하여 직장인 남성뿐만 아니라, 영유아, 청소년 등 소비자 각 계층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향설정에 이용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wareness of fermented vegetable beverages according to consumers' gender.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leted randomly by 441 respondent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t-tests, ANOVA, X-square tests, multiple regress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효소음료의 인지도를 연구하여 웰빙 시대에 있는 현대인들의 건강관련사항과 더불어 앞으로의 음료시장에서 효소음료에 대한 새로운 제품개발에 따른 기초 연구 자료와 마케팅방안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료의 기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음료는 대부분의 사람이 매일 소비하는 식품 중 하나로 인간이 마실 수 있는 모든 액체류를 총칭한다(1,2). 특히 음료는 대표적인 기호식품 중 하나로 갈증해소, 심리적 만족감, 기호 충족, 원활한 분위기 조성, 건강 보조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3,4). 이와 같은 음료류의 종류로는 과일·채소류 음료, 탄산음료류, 두유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 기타 음료 등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다만 주류, 다류, 무지유고형성분이 3% 이상인 음료는 제외)이 있다(5).
카페인은 인체에 어떤 생리적, 약리적 영향을 주는가? 커피, 녹차, 코코아, 홍차 등 일반적 음료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페인은 인체에 여러 가지 생리적, 약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카페인은 순환기 계통의 활동을 늘리고, 이뇨작용을 유발하며 기관지 확장, 담낭 수축, 위장과 운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뇌에 영향을 미쳐 각성 효과를 나타내며,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 박동수를 증가시킨다(12)
효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여기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청’이라는 것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이란 것은 어떠한 재료에 당분을 첨가해 삼투압작용으로 그 재료의 영양분을 액체로 만드는 것으로, 이것을 1년 정도 액체만 따로 항아리에서 자연발효를 시키면 그것이 바로 ‘효소’가 된다. 효소란 동물, 식물 및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생명 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존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in SY, Chung L. 2007.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beverages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Korea J Food Culture 22: 420-433. 

  2. Kim EM. 2011. Formu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i beverages mixed with red ginseng, Rubus coreanus and pomegranate extracts. Korea J Culinary Research 17: 259-269. 

  3. Park M.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501-513. 

  4. Her ES, Lee KH, Bea EY, Lyu ES. 2008. Internationals among beverage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 J Community Nutrition 13: 189-198. 

  5. Korea Food & Durg Administration. 1999. Korean food standards codex. Seoul, Korea. 

  6. Lee KY. 1990.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Korea. 

  7. Park KH, Chung JH, Ki MJ, Eun JB. 1996. A survey on Korean consumer attitude toward green tea. J Kor Tea Soc 2: 129-146. 

  8. Kim MH, Kim YR, Lee JW, Park BK, Kim MK, Choi MK, Kim AJ. 2008. The effects of caffeine on lipid and mineral content in the serum of rats. Korean J Food & Nutr 21: 336-343. 

  9. Lee HJ. 2001. A social-cultural investigation of beverage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beverage consumption.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Team. 2002. Intakes of caffeinated beverages second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Korea. 

  11. Kim HK. 2002. Caffeine knowledge, attitude and consumption of young women. Journal of Human Ecology (University of Ulsan) 3: 57-63. 

  12. Hwang JH, Oh KH, Ryu MH, Kim JY, Jang HJ. 2009. Coffee & tea. Powerbook. Seoul, Korea. p 8-10. 

  13. Seo JS. 2005. A study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marketing traditional drink.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63-67. 

  14. Park EY. 2006. The plans to market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84-86. 

  15. Lee YJ, Byeon KI.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Korean J Food Culture 21: 8-16. 

  16. Choe YS. 2005. Native grasses to create enzyme fermentation broth 1. Hanam Publisher, Seoul, Korea. p 24-30. 

  17. Jung HK, Lee JH, Jo MS. 1999. The study on the health control of food by adults in Seoul. Papers Collection of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7: 525. 

  18. Kim MK, Choi BY, Lee SS. 1992. A study on the nutrient supplements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Korea. Korean J Nutr 25: 264-274. 

  19. Park IH, Kim SH, Mo SM. 1979. Nutrition fundamentals and diet therapy. 2nd ed. Publisher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Vol 8, p 155-161. 

  20. Kim SH, Yoo JR, Lee KY, Lee SW, Han IG. 1976. Nutrition education. Publisher of Dongmyung, Seoul, Korea. p 155-61. 

  21. Lee IS, Pae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5-241. 

  22. Kim HS, Lee KA. 1995. A survey on using health supplemental foods. J Living Science 2: 39-45. 

  23. Park SJ. 1992.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the intake of nutrient supplements and health foods, dietary behavior and health: mainly for women and men who live in Seoul city.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MH. 1995. The classification, problems, usage of health food. Monthly Publication of Food Life. Korea food service information Ltd., Seoul, Korea. Vol 12, No 4, p 74-78. 

  25. Ha TS, Park MH, Choi YS, Cho SH.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ssociated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 5: 21-28. 

  26. Kim HS, Lee KA. 1995. A survey on using health supplemental foods. Papers Collec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 39-45. 

  27. Kim NY. 2004. Development of bioactive ginseng yogurt fermented by probiotic Bifidobacterium sp.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8. Yoon EY, Lim YH, Wang SK, Koo NS. 1998. Survey on food habits, health condition and precaution for disease for the health improvement of community people in Taejon. Korean J Human Ecology 7: 205-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