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갈등해결방식과 부부친밀도 및 가족기능
Conflict Resolution Styles, Marital Intimacy and Family Function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1, 2013년, pp.33 - 40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flict resolution styles, marital intimacy and family function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total 126 participants. Breast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chemotherapy and or radiation along with thei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를 짝지은 집단으로 하여 부부의 적응이나 관계를 비교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부부문제나 가족기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갈등해결방식과 부부친밀도 및 가족기능을 파악하여, 스트레스와 갈등상황에서 대처능력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와 그 배우자의 갈등해결방식, 부부친밀도 및 가족기능 지각정도를 파악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 갈등해결방식 중 언어적 공격과 회피정도, 부부친밀도 및 가족기능 정도는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긍정적 문제해결 정도는 환자가 배우자보다 낮았다. 그리고 유방암 환자가 언어적 공격을 갈등해결방식으로 사용할수록 배우자가 긍정적 문제해결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경우가 적어지고, 부부친밀도는 낮아졌으며, 환자가 긍정적 문제해결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할수록 배우자가 지각 하는 부부친밀도와 가족기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가 회피의 갈등해결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배우자도 회피의 갈등해결방식을 많이 사용하였고, 유방암 환자가 지각하는 부부친밀도가 낮은 경우에 배우자는 언어적 공격 및 회피의 갈등해결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더불어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가 지각하는 부부친밀도와 가족기능은 서로 정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갈등해결방식이란 무엇인가? 갈등해결방식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갈등상황을 해결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행동방식으로 언어적 공격이나 회피와 같이 부정적인 방식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해결하는 방식이 있다(Lee & Ok, 2002). 부부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암 환자와 배우자가 서로 배려하고 적응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Manne et al.
부부간의 친밀감이란 어떤 개념인가? 부부간의 친밀감은 부부가 서로에게 느끼는 매우 가깝고도 공유되는 밀접함을 의미하며, 상호관계의 질을 설명하는 개념이다(Kim, 1998; Waring, 1984). 선행연구에서는 배우자의 지지와 상호작용이 어떠한 지에 따라 유방암 여성이 인식하는 배우자와의 관계와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Chung, Hwang, & Hwang, 2009), 배우자의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의 친밀감도 높았다고 하였다(Yoo & Cho,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thia, R., Malcarne, V. L., Vami, J. W., Ko, C. M., Sadler, G. R., & Greenbergs, H. L. (2003). The effects of dyadic strength and coping styles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couples faced with prostate cancer.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6, 31-52. http://dx.doi.org/10.1023/A:1021743005541 

  2. Cha, K. S., Yoo, Y. S., & Cho, O. H. (2012).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Asian Oncology Nursing, 12, 20-26. http://dx.doi.org/10.5388/aon.2012.12.1.20 

  3. Cho, O. H., & Yoo, Y. S. (2009). Psychosocial adjustment,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f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9, 129-135. 

  4. Chung, C. W., Hwang, E. K., & Hwang, S. W. (2009).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9, 122-128. 

  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 

  6. Glantz, M. J., Chamberlain, M. C., Liu, Q., Hskeh, C. C., Edwards, K. R., Horn, A. V., et al. (2009). Gender disparity in the rate of partner abandonment in patients with serious medical illness. Cancer, 115, 5237-5242. http://dx.doi.org/10.1002/cncr.24577 

  7. Ham, D. O. (2004). A study family functions and nursing needs in cancer patient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8. Hasson-Ohayon, I., Goldzweig, G., Braun, M., & Galinsky, D. (2010). Women with advanced breast cancer and their spouses: Diversity of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Oncology, 19, 1195-1204. http://dx.doi.org/10.1002/pon.1678 

  9. Hong, M. J., Tae, Y. S., & Noh, M. Y. (2012).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ways of coping and burnout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2, 92-99. http://dx.doi.org/10.5388/aon.2012.12.1.92 

  10. Kang, S. K., Young, B. B., Lee, H. R., Lee, D. B., & Shim, U. T. (1984). A study of family APGAR scores for evaluating family function. Family Physician, 5, 6-13. 

  11. Kim, S. H., & Lee, E. S. (2006). The stress and adaptation of the spouses of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6, 162-171. 

  12. Kim, S. N. (1998).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urdek, L. A. (1994). Conflict resolution styles in gay, lesbian, heterosexual nonparent, and heterosexual parent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56, 705-722. 

  14. Lee, I. J. (2011).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marit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and spouses-focusing on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 179-205. 

  15. Lee, I. S., & Ham, E. O. (2011). The stress coping mood and burden of spouses of breast cancer patients across the treatment phase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 81-93. 

  16. Lee, K. H.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Lee, K. H., & Ok, S. W. (2002). A study of marriage types and its discriminant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 179-199. 

  18. Manne, S. L., Ostroff, J. S., Norton, T. R., Fox, K., Goldstein, L., & Grana, G. (2006). Cancer-related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 couples coping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5, 234-247. http://dx.doi.org/10.1002/pon.941 

  19. Manne, S., & Badr, H. (2008). Intimacy and relationship processes in couples' psychosocial adaptation to cancer. Cancer Supplement, 112, 2541-2555. http://dx.doi.org/10.1002/cncr.23450 

  20. Manne, S., Badr, H., & Kashy, D. (2012). A longitudinal analysis of intim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ouples coping with head and neck or lung cancer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5, 334-346. http://dx.doi.org/10.1007% 2Fs10865-011-9349-1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9.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2. Northouse, L. L., Kershaw, T., Mood, D., & Schafenacker, A. (2005). Effect of family interven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recurrent breast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Psycho-Oncology, 14, 478-491. http://dx.doi.org/10.1002/pon.871 

  23. Park, Y. H., & Hyun, H. J. (2000). Caregiver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of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12, 384-395. 

  24. Robbins, M. L., Mehl, M. R., Smith, H. L., & Weihs, K. L. (2012). Linguistic indicators of patient, couple, and family adjustment following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3. http:// dx.doi.org/10.1002/pon.3161 

  25. Shin, G. Y., & Kim, M. J. (2002). Factors influencing stress appraisal of cancer patients' primar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14, 125-134. 

  26. Smilkstein, G. (1978). The family APGAR: A proposal for a family function test and its use by physicians. Journal of Family Practice, 6, 1231-1239. 

  27. Waring, E. M. (1984).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0, 185-192. http://dx. doi.org/10.1111/j.17520606.1984.tb00582.x 

  28. Yong, J. S., & Seo, I. S. (2009). Factors influencing family functioning of couples with breast cancer in the middle adaptation stage: Trajectory of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1, 666-677. 

  29. Yoo, Y. S., & Cho, O. H. (2001). Spouse support,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of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y Society, 15, 148-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