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생존자 부부의 외상 후 성장과 부부적응, 삶의 질
Posttraumatic Growth, Dyadic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Husban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5, 2014년, pp.515 - 524  

송승희 (국립암센터.중앙대학교 대학원) ,  류은정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couple perceived breast cancer as a traumatic event, to evaluate the association among posttraumatic growth, dyadic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to explore the predi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couple. Methods: A cros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후 치료를 마친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대상으로 유방암 경험을 외상사건으로 지각하는지를 평가하여 외상 후성장이 높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부부의 외상 후 성장, 부부적응,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이 유방암 생존자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동질한 표본으로 구성되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통제되지 않았던 변수들에 의한 차이를 줄이고자 하였으며, 암 환자와 배우자 모두 유방암 경험을 외상사건으로 인지하고 이에 따른 부부의 적응과 삶의 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대상으로 유방암의 외상사건 평가를 통해 생존자 부부가 스스로 평가한 외상 후 성장, 부부적응 및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하고 부부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후 치료를 마친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대상으로 유방암 경험을 외상사건으로 지각하는지를 평가하여 외상 후성장이 높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부부의 외상 후 성장, 부부적응,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이 유방암 생존자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유방암 생존자의 긍정적 변화를 부부관계의 맥락에서, 치료 후 부부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외상 후 성장 관련 특성들을 살펴보는 연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일관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 부부가 유방암 경험을 외상으로 인지하는지와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파악하고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 유방암은 여성암으로써, 진단과 치료, 치료 이후 관리 시점에서 배우자와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 부부에서 외상 후 성장과 부부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긍정적 변화가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어떤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상자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그러나 스트레스가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하는 것이 아니어서, 스트레스에 대면하고 이겨내고자 하는 노력은 암 생존자 스스로와 주변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유방암 생존자와 배우자 간의 증상 차이는 무엇과 연관이 있고, 어떤 결과를 보일 수 있는가? 증상영역에서 생존자와 배우자는 피로, 통증, 호흡곤란, 불면증 변비 및 재정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방암 수술로 인한 이상감각 및 불편감, 통증은 일상생활과도 연관이 있는데, 이 증상은 수술 몇개월 후까지 지속되어 역할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24]. 본 연구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18.
우리나라 암 통계조사에 의하면 유방암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우리나라 암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0년 유방암 발생은 16,015명으로 여성암 중 2위이며, 연평균 증가율 또한 6.1%로 여성암 중 2위다. 그러나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치료가 비교적 잘 되어 91.3%의 5년 생존율을 보일 뿐만 아니라 1993-1995년에 대비하여 2007-2011년에 13.4%가 증가하였다[1]. 이러한 지표는 암 치료를 마친 암 생존자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들에 대한 건강증진의 측면에서 추후 관리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facts & figures 2014.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4. 

  2.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907-91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907 

  3. Gallagher J, Parle M, Cairns D. Apprais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six months after diagnosis of breast cancer.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2;7(3):365-376. http://dx.doi.org/10.1348/135910702760213733 

  4. Maly RC, Umezawa Y, Leake B, Silliman RA. Mental health outcomes in older women with breast cancer: Impact of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adjustment. Psycho-Oncology. 2005;14(7):535-545. http://dx.doi.org/10.1002/pon.869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R)}$ . 4th ed. Arlington, VA: Author; 2000. 

  6.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7. Yoo YS, Cho OH, Cha KS, Boo YJ.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in Korean forensic science investigator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36-141. 

  8. Han IY, Lee IJ.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1;42(2):419-441. 

  9. Cordova MJ, Giese-Davis J, Golant M, Kronenwetter C, Chang V, Spiegel D. Breast cancer as trauma: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2007;14(4):308-319. http://dx.doi.org/10.1007/s10880-007-9083-6 

  10. Kim HJ, Kwon JH, Kim JN,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3):781-799. 

  11. Cha K, Kim K.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39-146.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39 

  12. Wagner CD, Bigatti SM, Storniolo AM. Quality of life of husband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6;15(2):109-120. http://dx.doi.org/10.1002/pon.928 

  13. Pistrang N, Barker C. The partner relationship in psychological response to breast cancer.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5;40(6):789-797. 

  14. Cho OH, Yoo YS. Psychosocial adjustment,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f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9;9(2):129-135. 

  15. Yang HC, Schuler TA. Marital quality and survivorship: Slowed recovery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distressed relationships. Cancer. 2009;115(1):217-228. http://dx.doi.org/10.1002/cncr.23964 

  16. Weiss T.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02;20(2):65-80. http://dx.doi.org/10.1300/J077v20n02_04 

  17.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18. Busby DM, Christensen C, Crane DR, Larson JH. A revision of the dyadic adjustment scale for use with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s: Construct hierarchy and multidimensional sca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995;21(3):289-308. http://dx.doi.org/10.1111/j.1752-0606.1995.tb00163.x 

  19. Choi SI.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dyadic adjustment scale. Gho Hwang Ronjib. 2004;35:97-114. 

  20. Yun YH, Park YS, Lee ES, Bang SM, Heo DS, Park SY,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ity of Life Research. 2004;13(4):863-868. 

  21. Yun YH, Bae SH, Kang IO, Shin KH, Lee R, Kwon SI, et al.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breast-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BR23).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4;12(6):441-445. http://dx.doi.org/10.1007/s00520-004-0632-3 

  22. Koutrouli N, Anagnostopoulos F, Potamianos 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Women and Health. 2012;52(5):503-516. http://dx.doi.org/10.1080/03630242.2012.679337 

  23. Assari S, Moghani Lankarani M, Tavallaii SA. Revised dyadic adjustment scale as a reliable tool for assessment of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in patients on long-term hemodialysis. Irani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09;3(4):242-245. 

  24. Jeong Y. A study on the change of sensation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in the Korean women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5. Hwang 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hormone therap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6. Ruf M, Buchi S, Moergeli H, Zwahlen RA, Jenewein J. Positive personal changes in the aftermath of head and neck cancer diagnosis: A qualitative study in patients and their spouses. Head and Neck. 2009;31(4):513-520. http://dx.doi.org/10.1002/hed.21000 

  27. Chang SS. Marriage counseling in Korean culture: Reality dynamic counseling approach.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06;12(5):117-131. 

  28. Lee IJ. Breast cancer in martial context: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09;40(1):37-61. 

  29. Couper J, Bloch S, Love A, Macvean M, Duchesne GM, Kissane D. Psychosocial adjustment of female partners of men with prostate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Oncology. 2006;15(11):937-953. http://dx.doi.org/10.1002/pon.1031 

  30. Badr H, Acitelli LK, Taylor CL. Does talking about their relationship affect couples' marit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lung cancer?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08;2(1):53-64. http://dx.doi.org/10.1007/s11764-008-0044-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