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연성근육통 예방을 위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rm-up and Cool-down Exercises for Preventing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n Pain and Muscle Activation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0 no.1, 2013년, pp.28 - 35  

오덕원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rm-up and cool-down exercises on pain and muscle activa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fter intense exercise.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was caused by the eccentric exercise in the elbow flexor muscle of the non-dominant upper l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일반적으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모두 전체적인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함께 시행되고 있고, 지연성 근육통 증상에 대한 효과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은 냉치료, 초음파치료, 전기치료 등의 다른 중재방법들을 전체적인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과 함께 포괄적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준비운동 혹은 정리운동의 특정적인 효과를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Cheung 등, 2003; Connolly 등, 2003; Torres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통증과 근활성도의 회복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준비운동, 정리운동, 혹은 두 운동을 병행하여 시행하였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그러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본 연구는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지연성 근육통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준비운동이 지연성 근육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정리운동만으로는 지연성 근육통을 완화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격렬한 신체활동 후 나타나는 지연성근육통을 예방하고 신체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임상 현장에서는 일상적으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시행되고 있으나, 선행 연구들의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아서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효과는 명확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근활성도 측정은 근전도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표면 근전도의 특성 상 전극 부착 부위에 인접한 근육들에 의한 잡신호(crosstalk)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근육통의 특성을 고려하고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심성 운동은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익숙하지 않은 움직임을 급작스럽게 시행할 경우 종종 근육의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러한 근육 통증은 원심성 운동을 고강도로 시행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다. 원심성 운동이 근 섬유들에 대한 미세 손상을 초래하고(Cheung 등, 2003), 이로 인해 순차적으로 히스타민, 브래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화합 물질들이 유리됨과 동시에 근육 내 투과도가 증가하여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이 발생한다(Clarkson 등, 2002). 일반적으로 지연성 근육통은 통증, 부종(swelling), 압통(tenderness), 근력 감소 및 움직임 범위 제한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Witvrouw 등, 2004), 12 시간이 지난 이후에 발생하여 48-72 시간에 최대 증상을 보이고 5-7일 사이에 사라지게 된다(Kisner와 Colby, 2007).
지연성 근육통의 증상은 무엇인가? 원심성 운동이 근 섬유들에 대한 미세 손상을 초래하고(Cheung 등, 2003), 이로 인해 순차적으로 히스타민, 브래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화합 물질들이 유리됨과 동시에 근육 내 투과도가 증가하여 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이 발생한다(Clarkson 등, 2002). 일반적으로 지연성 근육통은 통증, 부종(swelling), 압통(tenderness), 근력 감소 및 움직임 범위 제한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Witvrouw 등, 2004), 12 시간이 지난 이후에 발생하여 48-72 시간에 최대 증상을 보이고 5-7일 사이에 사라지게 된다(Kisner와 Colby, 2007). 이러한 지연성 근육통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트레칭, 마사지, 냉치료, 전기자극, 초음파, 약물치료, 준비운동(warm-up) 및 정리운동(cool-down) 등의 중재방법들이 임상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Cheung 등, 2003; Connolly 등, 2003).
원심성 운동으로 인한 지연성 근육통이 회복되어 최대 근 수축을 시도하는 동안 통증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근 수축력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원심성 운동으로 인한 지연성 근육통이 회복되어 최대 근 수축을 시도하는 동안 통증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근 수축력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Newham 등, 1987). 이는 통증이 손상된 근육의 운동단위를 활성화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본 연구의 결과는 준비/정리운동군에서 통증 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근활성도는 증가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le P, James H. Massage, warm-down and rest as recuperative measures after short term intense exercise. Physiother Sport. 1991;13(1):4-7. 

  2. Cheung K, Hume P, Maxwell L.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 2003;33(2):145-164. 

  3. Clarkson PM, Hubal MJ.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humans. American J Phys Med Rehabil. 2002;81(11 Suppl):S52-S69. 

  4. Clarkson PM, Nosaka K, Braun B. Muscle function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rapid adaptation. Med Sci Sports Exerc. 1992;24(5):512-520. 

  5. Connolly DA, Sayers SP, McHugh MP.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Strength Cond Res. 2003;17(1):197-208. 

  6.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e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spen Publisher, 1998;304-305. 

  7. Eston R, Byrne C, Twist C. Muscle function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Considerations for athlet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ults. J Exerc Sci Fit. 2003;1(2):85-96. 

  8. Friden J, Lieber RL. Eccentric exercise-induced injuries to contractile and cytoskeletal muscle fibre components. Acta Physiol Scand. 2001;171(3):321-326. 

  9. Gallagher EJ, Bijur PE, Latimer C,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acute abdominal pain in the ED. Am J Emerg Med. 2002;20(4):287-290. 

  10. Gray S, Nimmo M. Effects of active, passive or no warm-up on metabolism and performance during high-intensity exercise. J Sports Sci. 2001;19(9): 693-700. 

  11. High DM, Howley ET, Franks BD. The effects of static stretching and warm-up on prevention of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Res Q Exerc Sport. 1989;60(4):357-361. 

  12. Holtgrefe K, Glenn TM. Principles of aerobic exercise. In: Kisner C, Colby LA eds.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7. 

  13. Isabell WK, Durrant E, Myrer W, et al. The effects of ice massage, ice massage with exercise, and exercise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Athl Train. 1992;27(3):208-217. 

  14. Kim MJ, Shin SN, Im EK, et al. Effect of recovery on dynamic strength after isotonic or isometric cool-down exercise. Phys Ther Kor. 1994;1(1): 67-74. 

  15.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7;147-229. 

  16. Law RY, Herbert RD. Warm-up reduces delayed on set muscle soreness but cool-down does no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 J Physiother. 2007;53(2):91-95. 

  17. Lee SY. Effects of hold-relax with agonist contraction action and TENS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Seoul,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6. 

  18. McHugh MP, Connolly DA, Eston RG,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 resulting in symptoms of muscle damage. J Sport Sci. 2000;18(3):163-172. 

  19. Newham DJ, Jones DA, Clarkson PM. Repeated high-force eccentric exercise: Effects on muscle pain and damage. J Appl Physiol. 1987;63(4):1381-1386. 

  20. Olsen OE, Myklebust G, Engebretsen L, et al. Exercises to prevent lower limb injuries in youth sports: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5;330(7489):449. 

  21. Park JS, Kim BK, Seob TB. Changes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and range of motion after the isokinetic training on the knees. JCD. 2007;9(4):331-342. 

  22. Price DD, Bush FM, Long S, et al. A comparison of pain measurement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visual analogue and simple numerical rating scales. Pain. 1994;56(2):217-226. 

  23. Rodenburg JB, Steenbeek D, Schiereck P, et al. Warm-up, stretching and massage diminish harmful effects of eccentric exercise. Int J Sports Med. 1994;15(7): 414-419. 

  24. Safran MR, Seaber AV, Garrett WE Jr. Warm-up and muscular injury prevention. An update. Sports Med. 1989;8(4):239-249. 

  25. Sayers SP, Clarkson PM, Lee J. Activity and immobilization after eccentric exercise: I. Recovery of muscle function. Med Sci Sports Exerc. 2000;32(9):1587-1592. 

  26. Sayers SP, Clarkson PM. Force recovery after eccentric exercise in males and females. Eur J Appl Physiol. 2001;84(1-2):122-126. 

  27. Schwane JA, Watrous BG, Johnson SR, et al. Is lactic acid related to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Phys Sportsmed. 1983;11(3):124-131. 

  28. Torres R, Ribeiro F, Alberto Duarte J, et al. Evidence of the physiotherapeutic interventions used currently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ys Ther Sport. 2012;13(2):101-114. 

  29. Witvrouw E, Mahieu N, Danneels L, et al. Stretching and injury prevention: An obscure relationship. Sports Med. 2004;34(7):443-4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