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두경부암 환자를 위한 물리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질, 목과 어깨의 장애 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hysical Therapy Program on Quality of Life, and Neck and Shoulder Disability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0 no.1, 2013년, pp.36 - 46  

도정화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정유회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송은지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정순용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조영기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hysical therapy program on quality of life (QOL), and neck and shoulder disabilit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e program included neck and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exercises, massage, progressive strengthening exercises, and stretching exercise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목과 어깨 부위의 관절운동, 마사지, 점진적인 근력 운동, 신장운동으로 구성된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을 때,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어깨와 목의 기능 장애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경부암 환자를 위한 체계적인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6개월 이내의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목과 어깨의 관절운동, 마사지, 근력강화 운동, 신장 운동을 1회에 40분씩, 주 3회, 총 8주간 시행하였을 때,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목과 어깨 기능 장애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두경부암 환자를 위한 물리치료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 Pietrobon 등(2002)은 목으로부터 발생하는 통증의 양상은 대부분 병변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아 정확한 감별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해부학적 상태에 대한 평가 외에 환자가 자각하고 있는 전반적 기능 장애의 정도와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 정도를 자가보고 측정 (self-report measure) 방법으로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목과 어깨 기능 정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경부 장애 지수 설문을 사용하였다. Hoving 등(2003)은 경부 장애 지수는 통증, 두통, 집중 등의 증상과 개인 위생관리, 들어올리기, 독서, 운전, 수면과 같은 부분에서의 손상 정도, 작업과 레크레이션이 가능한지에 관한 장애 정도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평가도구라고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경부암의 원인은? 두경부암이란 후두, 구강, 구인두, 비인두, 하인두, 타액선 등 상악골과 하악골 및 주위조직에 걸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종양으로 목 주위 림프절로 전이를 일으키기 쉬운 특징을 가진다(Hopkins 등, 2008). 두경부암은 조직학적으로 편평 세포암과 각종 육종, 흑색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Kwon 등, 2009), 원인은 불량한 구강 위생 상태, 음주와 흡연, 적합하지 않은 보철물 등으로 인한 만성 자극, 자극적인 음식 섭취라고 알려져 있다(Kim 등, 1998). 2009년 보건복지가족부의 암 발생 통계에 따르면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으로 여자의 경우 여성암 1위로, 평균 25.
두경부암 환자의 외적변화는 환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두경부암 환자는 호흡, 식사, 삼킴 등의 기능적인 문제 뿐 아니라 의사소통, 감정적인 표현 사회적인 관계 유지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외모의 변화는 자존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Lee, 2004). Oldervoll 등(2001)의 연구에서는 암환자에게 운동 중재를 적용할 경우에는그 종료 시점을 삶의 질로 평가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암환자의 중재목표는 삶의 질 향상이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두경부암의 특징은? 두경부암이란 후두, 구강, 구인두, 비인두, 하인두, 타액선 등 상악골과 하악골 및 주위조직에 걸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종양으로 목 주위 림프절로 전이를 일으키기 쉬운 특징을 가진다(Hopkins 등, 2008). 두경부암은 조직학적으로 편평 세포암과 각종 육종, 흑색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Kwon 등, 2009), 원인은 불량한 구강 위생 상태, 음주와 흡연, 적합하지 않은 보철물 등으로 인한 만성 자극, 자극적인 음식 섭취라고 알려져 있다(Kim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jordal K, Ahlner-Elmqvist M, Hannerlid E,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quality of life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Part II: Longitudinal data. Laryngoscope. 2001;111(8):1440-1452. 

  2. Carenfelt C, Eliasson K. Occurrence, duration and prognosis of unexpected accessory nerve paresis in radical neck dissection. Acta Otolaryngol Iso. 1980;90(5-6):470-473. 

  3. Cheng PT, Hao SP, Lin YH, et al. Objective comparison of shoulder dysfunction after three neck dissection techniquels. Ann Otol Rhinol Laryngol. 2000;109(8 pt 1):761-766. 

  4. Courneya KS, Mackey JR, Jones LW. Coping with cancer: Can exercsie help? Phys Sports med. 2000;28(5):49-73. 

  5. Dijkstra PU, van Wilgen CP, Buijs RP, et al. Incidence of shoulder pain after neck dissection: A clinical explorative study for risk factors. Head Neck. 2001:23(11):947-953. 

  6. Eades M, Murphy J, Carney S, et al. Effect of an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Review of clinical experience. Head Neck. 2012 Mar 16. 

  7. Fairbank JC, Pynsent PB.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Phila Pa 1976). 2000;25(22): 

  8. 2940-2952. Herring D, King A, Connelly M. New rehabilitation concepts in management of radical neck dissection syndrome. A clinical report. Phys Ther. 1987;67(7):1095-1099. 

  9. Hillel AD, Kroll H, Dorman J, et al. Radical neck dissection: A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of postoperative disability. J Otolaryngol. 1989;18 (1):53-61. 

  10. Hopkins J, Cescon DW, Tse D, et al. Genetic polymorphisms and head and neck cancer outcomes : A review.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8;17(3):490-499. 

  11. Hoving JL, O'Leary EF, Niere KR, et al. Validity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Northwick Park neck pain qusetionnaire, and problem elicitation technique for measuring disability associated with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Pain. 2003;102(3): 273-281. 

  12. Jereczek-Fossa BA, Marsiglia HR, Oecchia R. Radiotherapy-related fatigue. Crit Rev Oncol Hematol. 2002;41(3):317-325. 

  13. Kim EH. Effects of a shoulder exercise program for head & neck cancer patient after neck dissection ope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14. Kim YK, et al. Textbook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1st ed. Seoul, Medical & Dental Publication Co., 1998;453-497. 

  15.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2002;158. 

  16. Kizilay A, Kalcioglu MT, Saydam L, et al. A new shoulder orthosis for paralysis of the trapezius muscle after radical neck dissection: A preliminary report.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6;263 (5):477-480. 

  17. Koybasioglu A, Tokcaer AB, Uslu S, et al. Accessary nerve function after modified radical and lateral neck dissections. Laryngoscope. 2000;110(1):73-77. 

  18. Kwon YE, Kim YK, Bae K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with self-fluoride gel applicat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irradiated irradiation patients for head and neck cancer therap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33(2):153-163. 

  19. Lauchlan DT, McCaul JA, McCarron T. Neck dissection and the clinical appearance of post-operative shoulder disability: The post-operative role of physiotherpy. Eur J Cancer Care. 2008:17(6):542-548. 

  20. Lee NH, Cho JH, Son CG, et al. Analysis of studie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ancer types and symptoms.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3) :555-560. 

  21. Lee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following surger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 Thesis. 2004. 

  22. McNeely ML, Parliament MB, Courneya KS, et al. A pilot study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shoulder dysfunction caused by spinal accessory neurapraxia/neurectomy in head and neck cancer survivors. Head Neck. 2004;26(6):518-530. 

  23. McNeely ML, Parliament MB, Seikaly H, et al. Effect of exercise on upper extremity pain and dysfunction in head and neck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cer. 2008;113(1): 214-222. 

  24. McGarvey AC, Chiarelli PE, Osmotherly PG, et al. Physiotherapy for accessory nerve shoulder dysfunction following neck dissection surgery: A literature review. Head Neck. 2011;33(2):274-280. 

  25. Miettinen T, Leino E, Airaksinen O, et al. The possibility to use simple validated questionnaires to predict long-term health problems after whiplash injury. Spine (Phila Pa 1976). 2004;29(3):E47-E51. 

  26. Nori S, Soo KC, Green RF, et al. Utilization of intraoperative electroneurography to understand the in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Muscle Nerve. 1997;20(3):279-285. 

  27. Oldervoll LM, Rø M, Zwart JA, et al. Comparison of two physical exercise programs for the early intervention of pain in the neck, shoulders and lower back in female hospital staff. J Rehabil Med. 2001;33(4):156-161. 

  28. Park YM. Effects of an early upper-limb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Seoul, Sahmyook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29. Patten C, Hillel AD. The 11th nerve syndrome. Accessary nerve palsy or adhesive capsuliti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2): 215-220. 

  30. Pietrobon R, Coeytaux RR, Carey TS, et al. Standard scales for measurement of functional outcome for cervical pain or dysfunction: A systematic review. Spine (Phila Pa 1976). 2002;27(5):515-522. 

  31. Pu YM, Tang EY, Yang XD. Trapezius muscle innervation from the spinal accessory nerve and branches of the cervical plexu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8;37(6):567-572. 

  32. Remmler D, Byers R. Scheetz J,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shoulder disability resulting from radical and modified neck dissections. Head Neck Surg. 1986;8(4):280-286. 

  33. Salerno G, Cavaliere M, Foglia A, et al. The 11th nerve syndrome in functional neck dissection. Laryngoscope. 2002;112(7 pt 1):1299-1307. 

  34. Song KJ, Choi BW, Kim SJ, et al.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J Korean Orthop Assoc. 2009;44(3):350-359. 

  35. van Wilgen CP, Dijkstra PU, van der Laan BF, et al. Shoulder and neck morbidity in quality of life after surgery for head and neck cancer. Head Neck. 2004;26(10):839-844. 

  36. Vernon H,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991;14(7):409-415. 

  37. Yun YH, Assessment and research of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J Gynecol Oncol. 2005;16(3):182-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