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활용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ists for Assistive Technolog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2, 2011년, pp.77 - 84  

정동훈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physical therapists for assistive technolog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physical therapists who worked in various institutions in Seoul, Kyonggi-do, and Choongchung area. A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임상에서의 활용 수준을 확인하고 보조공학전문가로서 물리치료사의 역할을 조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종합(대학)병원, 병원, 의원, 복지관, 사설 치료실에 근무하는 218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보조공학 인식 및 활용 수준을 알아보았다. 전반적으로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활용 수준이 저조하였고, 알고 있거나 활용 경험이 있는 보조공학 장치도 이동기기나 자세유지기기 등 특정 보조기기에 집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리치료사가 보조공학 사용 시 추천 및 실행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장애인의 건강관리 욕구를 다루고 서비스하는 재활전문가 중 물리치료사는 적절한 보조공학의 사용을 추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물리치료사는 신체적 기능 개선을 위한 보조공학 사용의 논리적 이유를 제시할 수 있는 관련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조공학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는 의료적, 치료적 지식을 갖고 있다는 자신감은 충분하지만 실제로 보조공학을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보조공학이란 무엇인가? 보조공학은 재활 각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반 지식 위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활용기술로서 장애인의 기능적 능력을 유지, 증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말한다. 1 보조공학 장치(devices)는 간단한 식사 보조도구에서부터 정교한 컴퓨터 의사소통시스템까지 다양한 데 휠체어나 워커 같은 의료기기, 버튼 훅(button hook) 같은 보조도구, 자세유지기기 같은 개조 장치 등을 로우테크라 하고, 컴퓨터 의사소통시스템이나 전동휠체어처럼 좀 더 복잡하고 특수한 장치를 하이테크라 한다.
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활용 수준이 낮고 좁은 영역에 국한된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활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하는 보조공학 영역도 특정 보조기기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대학교육의 부재와 보수교육 및 세미나 등 물리치료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방법을 제공하는 교육훈련의 기회 부족이라 생각한다. 국내 작업치료사도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대학교육과정의 과목개설과 보수교육, 타 전문영역과의 연계 워크숍이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eong DH.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assistive technology in Korea: focused on journal i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1998 to 2008.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09;52(1):97-124. 

  2. Long TM, Perry DF.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erceptions of their training in assistive technology. Phys Ther. 2008;88(5):629-39. 

  3. Dell AG, Newton DA, Petroff JG. Assistiv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New Jersey, Pearson, 2008:4-5. 

  4. Chaves ES, Cooper RA, Collins DM et al. Review of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and lap belts with wheelchair users. Assist Technol. 2007;19(2):94-107. 

  5. Roosmalen L, Reed MP, Bettocci GE. Pilot study of safety belt usability for vehicle occupants seated in wheelchairs. Assist Technol. 2005;17(1):23-36. 

  6. Buning ME, Getchell CA, Bettocci GE et al. Riding a bus while seated in a wheelchair: a pilot study of attitudes and behavior regarding safety practices. Assist Technol. 2007;19(4):166-79. 

  7. Fitzgerald SG, Songer T, Rotko KA et al. Motor vehicle transportation use and related adverse events among persons who use wheelchairs. Assist Technol. 2007;19(4):180-7. 

  8. Burton M, Nieuwenhuijsen ER, Epstein MJ. Computerrelated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among users with disabilities. Assist Technol. 2008;20(2):99-106. 

  9. Mukherjee A, Chakraborty K, Basu A. SweepSticks: an adaptive virtual mouse for people with neuromotor disorders. Assist Technol. 2007;19(3):111-24. 

  10. Hunnicutt S, Magnuson T, Medsci L. Grammar-guided writing for AAC users. Assistive technology the official journal of RESNA. 2007;19(3):128-42. 

  11. Duerstock BS. Accessible microscopy workstation for students and scientists with mobility impairments. Assist Technol. 2006;18(1):34-45. 

  12. Kulyukin V, Gharpure C, Coste D. Robot-assisted shopp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proof-of-concept design and feasibility evaluation. Assist Technol. 200820(2):86-98. 

  13. Michaud F, Salter T, Duquertte A, et al. Perspectives on mobile robots as tools for child development and pediatric rehabilitation. Assist Technol. 2007;19(1):21-36. 

  14. Chau T. Intelligent systems in pediatric rehabilitation. Assist Technol. 2007;19(1):17-20. 

  15. Guerette P, Tefft D, Furumasu J. Pediatric powered wheelchairs: result of a national survey of providers. Assist Technol. 2005;17(2):144-58. 

  16. Hall K, Partnoy J, Tenenbaum S et al. Power mobility driving training for seniors: a pilot study. Assist Technol. 2005;17(1):47-56. 

  17. Pettersson I, Ahlstrom G, Tornquist K. The value of an outdoor powered wheelchair with regard to the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stroke: a follow-up study. Assist Technol. 2007;19(3):143-53. 

  18. Dry A, Colantonio A, Cameron JI et al. Technology in the lives of women who live with memory impairment as a result of a traumatic brain injury. Assist Technol. 2006;18(2):170-80. 

  19. Chan SC, Chan AP.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Qu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ssist Technol. 2006;18(1):25-33. 

  20. Chang MY, Kwon HC, Kim KM. A study on the practical degree of use toward assistive tech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8;16(1):99-107. 

  21. Chang MY, Jung HY. Delphimethod on course subjec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s 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in general and for the ag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0;18(2):39-62. 

  22. Chae SY, Jo SJ, Kwon HC. The level of awareness the necessity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7;46(4):327-46. 

  23. Oh KS, Oh DY, NamSH.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and service needs concerning utiliz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for effective outcom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006;16(2):136-56. 

  24. Jeong DH. Exploring and suggestion about a field of assistive technology. Intelligence & Creation. 2009;12:237-70. 

  25. Hwang KC, Chang MY, Kwon HC. The study on cognition and use degree toward assistive technolog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Daegu and Busan.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6;45(2):241-55. 

  26. Park JK, Cho HJ, Han KG et 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n using the aid rehabilitativetools and level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of the physical disabled. The Education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07;49:1-24. 

  27. Chang MY, Kwon HC, Kim KM, An DH. The study on educatio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toward assistive technolog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7;15(1):107-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