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목록 이용자의 집단별 특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User Groups on Library Catalog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4, 2013년, pp.421 - 442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서관목록에 있어 '이용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도서관목록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이용자 집단별로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증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차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러한 차이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5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록과 관련한 행태적 특징을 10개의 지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용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이용자 집단별로 보다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users on library catalogs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little is verified about how well the users' needs have been m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user groups on library catalog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ol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이번 연구에서는 우선 이용자를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의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 간 차이를 밝혀내는데 집중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다음, 형식적 조작기는 중학생 이상부터 성인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므로 다시 세분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Borgman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우선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도서관목록의 이용목적과 목록에서 원하는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집단별 특성과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자는 도서관목록의 이용행태나 도서관목록에서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이 이용자 집단별로 어떻게 얼마나 상이한지를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그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용자 집단별로 ‘차별화된’ 목록서비스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는 연구계획을 세웠다.
  • 이렇듯 도서관목록이 탐색도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목록전문가들은 목록을 설계하는데 있어 이용자의 탐색행위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았으며, 정보환경의 변화나 이용자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면서,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차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러한 차이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그렇다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에 근거한 지금까지의 논의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한정된 표본으로 단정하는데 무리가 있고, 나아가 이번 연구에서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는데 사용한 chi-square 검증이 다른 통계방법에 비해 검증력이 다소 약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특성과 차이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지금부터는 향후 이어질 후속연구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지금부터는 빈도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도서관목록과 관련한 각 집단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 교차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행태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정보행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용자의 연령, 교육수준, 인종이나 민족, 직업, 경제적 수준은 물론이고,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이나 주변 환경, 나아가 개인의 성격적 특성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보소스나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도서관목록이 도서관 서비스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도구라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서관을 찾는 사람들은 목록을 통해 도서관의 방대한 자료에 접근하고, 그들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간다. 정태적이고 객관적인 상태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각종 자료는 목록이라는 연결고리를 통해 비로소 도서관 이용자의 지식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역동적이고 주관적인 정보소스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도서관목록을 도서관의 방대한 자료에 접근하기 위한 지도이자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가장 근본적인 도구라고 말하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정보행태에 관한 학술적 관심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핵심 개념, 이론, 방법론의 확장과 더불어, 다양한 상황에 처해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해 가고 있다. 정보행태에 관한 학술적 관심이 이처럼 높은 이유는 이용자를 둘러싼 다양한 환경과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도서관 서비스나 정보시스템의 기능 개선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영석. 사회조사방법론. 제3판(서울 : 나남출판, 2002) (Kim, Young Seok. Social Research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WIN. Seoul : Nanam, 2002.) 

  2. 노지현.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4호(2011), pp.89-109. (Rho, Jee-Hyun.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4(2011), pp.89-109.) 

  3. 박재홍, 김성환. "청소년기 뇌 발달과 인지, 행동 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7권, 제1호(2011), pp.11-20.0 (Park, Jae Hong & Kim, Seong Hwan.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Brain and Behavior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hies in Psychiatry, vol.17, no.1(2011), pp.11-20.) 

  4. 이병기.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학교도서관 목록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0권, 제4호(2009), pp.85-100. (Lee, Byeong-Ki. "Study on the Expansion of School Library Catalog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0, no.4(2009), pp.85-100.) 

  5. 이은주, 이제환.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목록의 의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2012), pp.49-77. (Lee, Eun-Ju & Lee, Jea-Whoan. "Meanings of Library Catalog in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3, No.3(2012), pp.49-77.) 

  6. Borgman, Christine L. "Why are online catalogs still hard to u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vol.47, no.7(1996), pp.493-503. 

  7. Case, Donald O.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2nd ed. (London, U.K. : Academic Press, 2006) 

  8. Chapman, Ann. "Resource discovery: catalogs, cataloging, and the user." Library Trends, Vol.55, No.4(2007), pp.917-931. 

  9. Druin, llison. "What children can teach us: developing digital libraries for children with children," Tech Report HCIL-2003-39 (October 2003) 

  10. Hoffman, Gretchen L. "Meeting users' needs in cataloging: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7(2009), pp.31-641. 

  11. Hufford, Jon R. "The pragmatic basis of catalog codes: has the user been ignored?."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14, no.1(1991), pp.27-38. 

  12. IFLA.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inal report. IFLA, 1998. 

  13. IFLA. 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IFLA, 2009. 

  14. Madison, Olivia M. A. "The IFLA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universal bibliographic control."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Vol.44, No.3(2000), pp.153-159. 

  15. OCLC. Perceptions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Resources, 2010 [cited 2013. 11. 13] 

  16. Richard A. Sit, "Online library catalog search performance by older adult user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20, no.2(1998), pp.115-131. 

  17. Stalker, John C. "Reference: putting users first," in People Come First: user-centered academic library service (Chicago :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1999). 

  18. Svenonius, Elaine.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MIT Press, 2000. 

  19. Tagliacozz, R. & M. Koche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catalog users",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Vol.6(1970), pp.363-381. 

  20. Tarulli, Laurel. "Readers' services and the library catalog: coming of age fiction? or non-fiction?,"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vol.51, no.2(2011), pp.11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