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소 유량에 따른 IZO 박막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IZO Thin Films Deposited in Different Oxygen Flow Rate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2 no.4, 2013년, pp.49 - 54  

권수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규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ubstrate temperature and oxygen flow r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IZO thin films for th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vices. For this purpose, IZO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at room temperature and $3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IZO 박막을 증착하였으며, 증착 온도(상온 및 300℃) 및 주입되는 산소의 유량 변화가 박막의 구조적,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 미치는 것인가를 자세히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막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인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은 n-type의 전도특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로서 넓은 밴드 갭과 함께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과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4,5]. 그러나 300oC 이상의 고온 공정들은 ITO 박막의 결정화를 강화시켜 결정립에 의한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소자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인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은 n-type의 전도특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로서 넓은 밴드 갭과 함께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과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4,5]. 그러나 300oC 이상의 고온 공정들은 ITO 박막의 결정화를 강화시켜 결정립에 의한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소자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원료 물질인 인듐의 독성, 스퍼터링 시 음이온 충격에 의한 막 손상에 의한 전기저항 증가, 유기발광소자의 투명전극으로 쓰일 경우에 유기물과의 계면부적합성, 그리고 수소플라즈마에 대한 불안정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4,5].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은 어떤 특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인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인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은 n-type의 전도특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로서 넓은 밴드 갭과 함께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과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4,5]. 그러나 300oC 이상의 고온 공정들은 ITO 박막의 결정화를 강화시켜 결정립에 의한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소자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 Ishibashi, K. Hirata, and N. Hosokawa, "Mass spectrometric ion analysis in the sputtering of oxide targets,"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A., Vol. 10, pp.1718-1722, 1992. 

  2. K. Tominaga, T. Ueda, T. Ao, M. Kataoka, and I. Mori, "ITO films prepared by facing target sputtering system," Thin Solid Films, Vol. 281-282, pp. 194-197, 1996. 

  3. Y. Hoshi, H. Kato, and K. Funatsu, "ITO films deposited by facing target sputtering," Thin Solid Films, Vol. 445, pp. 245-250, 2003. 

  4. N. Taga, M. Maekawa, Y. Shigesato, I. Yasui, M. Kamei and T. E. Haynes, "Deposition of Heteroepitaxial $In_2O_3$ Thin Films by Molecular Beam Epitaxy," Jpn. J. Appl.Phys., Vol. 37.6524-6529, 1998. 

  5. C. Nunes de Carvalho, A. M. Botelho do Rego, A. Amaral, P. Brogueira and G. Lavareda, "Effect of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surface structure, composition and morphology of indium-tin oxide films,"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Vol. 124, pp. 70-75, 2000. 

  6. Y. S. Jung, J. Y. Seo, D. K. Lee and D. Y. Jeon, "Influence of DC magnetron sputtering parameters on the properties of amorphous indium zinc oxide thin film," Thin Solid Films, Vol. 445, pp. 63-71, 2003. 

  7. K. H. Noh, M. K. Choi, S. H. Park, and H. R, Joo, "Amorphous Transparent Conducting film $In_2O_3:Zn$ ," Hankook Kwanghan Hoeji, Vol. 13, pp.455-459, 2002. 

  8. D. C. Paine, B. Yaglioglu, Z. Beiley, and S. Lee, "Amorphous IZO-based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s," Thin Solid Films, Vol. 516, pp.5894-5898, 2008. 

  9. L. Raniero, I. Ferreira, A. Pimentel, A. Goncalves, P. Canhola, E. Fortunato, and R. Martins, "Role of hydrogen plasma on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GO, ITO and IZO transparent and conductive coatings," Thin Solid Films, Vol. 511-512, pp. 295-298, 2006. 

  10. R. Das, K. Adhikary, and S. Ray, "The role of oxygen and hydrogen partial pressures on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ITO films deposited by reactive rfmagnetron sputtering," Appl. Surf. Sci., Vol. 253, pp. 6068 (2007). 

  11. Y. Yan, S. J. Pennycook, J. Dai, R. P. H. Chang, A. Wang, and T. J. Marks, "Polytypoid structures in annealed $In_2O_3$ -ZnO films," Appl. Phys. Lett., Vol. 73, pp. 2585-2587, 1998. 

  12. J. K. Lee, H. M. Kim, S. H. Park, J. J. Kim, B. R. Rhee, and S. H. Sohn, "Heat treatment effects on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ernary compound $In_2O_3$ -ZnO films," J. Appl. Phys., Vol. 92, pp. 5761-5765, 2002. 

  13. H. M. Kim and J. J. kim, "Heat treatment effect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In_2O_3$ -ZnO films prepared by rf-magnetron sputtering method," J. Korean Vacuum Society, Vol. 14, pp. 238-244, 2005. 

  14. J. Tauc, R. Grigorovichi, and A. Vancu, "Optical Properties and Electronic Structure of Amorphous Germanium," Phys. Stat. Sol., Vol. 15, pp. 627-637, 1966. 

  15. J. Jia, A. Takasaki, N. Oka, and Y. Shigesato, "Experimental observation on the Fermi level shift in polycrystalline Al-doped ZnO films," J. Appl. Phys., Vol. 112, pp. 013718-1-7, 2112. 

  16. D. H. Hwang, H. H. Ahn, K. N. Hui, K. S. Hui, and Y. G. Son, "Effect of oxygen partial pressure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Al-doped ZnO thin films prepared by radio frequency sputtering," J. Ceram. Proc. Res., Vol. 12, pp. 150-154, 2011. 

  17. D. H. Oh, Y. S. No, S. Y. Kim, W. J. Cho, J. Y. Kim, and T. W. Kim, "Thermal effects on the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l-doped ZnO films deposited on glass substrates," J. Ceram. Proc. Res., Vol. 12, pp. 488-49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