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요구-자원모형에 의한 간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 분석
Analysi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114 - 122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Job Demand-Resource Model. Method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464 hospital nurses.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both SPSS Win 17.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June과 Byun (2009)은 대다수 연구가 소진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였다고 지적하면서 간호사의 소진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변수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뿐만 아니라 결과변수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직무요구, 직무자원이 소진과 소진의 결과변수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에서 소진의 선행변수는 직무요구인 업무량과 직무자원인 상사의 지원이었으며 소진의 결과변수는 직무만족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대상자마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나아가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사람에게는 연구목적, 대상자의 익명성,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였고 이에 대한 동의서는 서면으로 받았다
  • 본 연구는 소진과 관련된 요인들 간의 경로를 설명하고자 모형구축을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직무요구, 직무자원이 소진과 소진의 결과변수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인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그리고 소진의 결과변수인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경로모형을 구축 후 대상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가설경로를 검정하는 경로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진의 이론적 모형인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근거로,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즉, 소진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소진 그리고 소진의 산출요인인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진의 이론적 모형인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근거로,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즉, 소진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소진 그리고 소진의 산출요인인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즉, 직무요구, 직무자원이 소진과 소진의 결과변수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한다.
  • 궁극적으로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진을 유발하는 과다한 업무량을 줄이고 상사의 지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소진의 이론적 모형으로 타당성이 입증된 직무 요구-자원모형을 이용하여 소진과 관련된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를 둔다. 그러나 관련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검증하기 위해서는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에 더 많은 변수가 투입되고 추후 횡단적인 연구보다는 종단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정서적 고갈은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고, 비인간화는 자아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Maslach (1982)에 의하면 개인은 만성적인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감정이 점점 메말라지고 이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에 대한 무감정적이고 냉담한 반응을 보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직무와 관련되어 업무 달성에 대한 성공적인 느낌이 결여되게 된다.
  • 셋째, 소진을 구성하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및 자아성취감 저하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Lee와 Ashforth(1996)가 수행한 소진의 메타분석 결과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및 자아성취감 저하는 각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Melchior 등(1997)의 메타분석에서도 소진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첫째, 업무량은 정서 고갈에 영향을 미치고, 상사의 지원은 정서 고갈, 비인간화 및 자아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관한 이론적 근거는 Lee와 Ashforth (1996)의 연구 결과를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소진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Garrett는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간호사들은 타 의료직종보다도 소진 비율이 더 높았으며 간호사의 20%가 이직의도를 갖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간호사의 소진 경험은 간호사 자신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Vahey, Aiken, Sloane, Clarke, & Vargas, 2004) 환자 간호의 질적인 저하를 초래하여(Hong, 1985; Jennings, 2008) 결과적으로 조직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Jourdain&Chênevert, 2010;Ko, Seo,&Park, 1996).
소진의 하위개념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자아성취감 저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들에 의하면, 소진은 간호사, 교사 등 대인관계를 주로 하는 구성원들이 겪는 정서적 고갈(emotionalexhaustion),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및 자아성취감 저하(low personal accomplishment)의 심리적 증후군으로 개념화된다(Maslach; Maslach&Jackson).정서적 고갈은 개인의 감정적인 자원이 지나치게 확대되어 소모되는 느낌이고, 비인간화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냉소적인 반응이며 자아성취감 저하는 직무 역량과 성취감이 감소된다고 느끼는 감정을 의미한다(Maslach, Schaufeli,&Leiter, 2001).
소진이란 무엇인가? 소진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의는 Maslach (1982), Maslach와 Jackson (1981)의 정의이다. 이들에 의하면, 소진은 간호사, 교사 등 대인관계를 주로 하는 구성원들이 겪는 정서적 고갈(emotionalexhaustion),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및 자아성취감 저하(low personal accomplishment)의 심리적 증후군으로 개념화된다(Maslach; Maslach&Jackson).정서적 고갈은 개인의 감정적인 자원이 지나치게 확대되어 소모되는 느낌이고, 비인간화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냉소적인 반응이며 자아성취감 저하는 직무 역량과 성취감이 감소된다고 느끼는 감정을 의미한다(Maslach, Schaufeli,&Leiter,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 A., Yea, C. J., &Yeum, D. M. (2011). The impact of nurses' job demands, job resources,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burnou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7(4), 25-43. 

  2.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 Silber, J. H.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16), 1987-1993.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3. Bakker, A. B., Demerouti, E., & Verbeke, W. (2004).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predict burnout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3(1), 83-104. 

  4. Brayfield, A. H., & Rothe, H. F. (1951).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5(5), 307-311. http://dx.doi.org/10.1037/h0055617 

  5. Choi, H. Y. (2002).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6.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http://dx.doi.org/10.1037/0021-9010.86.3.499 

  7. Garrett, C. (2008). The effect of nurse staffing patterns on medical errors and nurse burnout. AORN Journal, 87(6), 1191-1204. http://dx.doi. org/ 10.1016/j.aorn.2008.01.022 

  8. Hong, K. P. (1985). An analytic study on burnout in relation with personal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ico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10. Jennings, B. M. (2008). Work stress and burnout among nurses: Role of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 R. G. Hughes (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pp. 137-158).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11. Jourdain, G., & Chenevert, D. (2010). Job demands-resources,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the nursing prof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6), 709-722. http://dx.doi.org/10. 1016/j.ijnurstu.2009.11.007 

  12.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305-313. 

  13. Karasek,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http://dx.doi.org/10.2307/2392498 

  14. Kim, G. S. (2001). AMOS 4: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SPSS Academy. 

  15. Ko, J. W. (1999).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3(SM), 359-387. 

  16. Ko, J. W., Seo, Y. J., & Park, H. Y. (1996).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9(2), 295-309. 

  17. Laschinger, H. K., Grau, A. L., Finegan, J., & Wilk, P. (2010).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2), 2732-2742. http://dx.doi.org/10.1111/ j. 1365-2648.2010.05420.x 

  18. Lee, K. H.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burnout on job attitudes in police offic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19.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http://dx.doi.org/10.1037/0021-9010.81.2.123 

  20. Leiter, M. P. (1993). Burn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tion of models. In W. B. Schaufeli, C. Maslach & T. Marek (Eds.),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p. 237-250).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21. Maslach, C. (1982). Understanding burnout: Definitional issues in analyzing a complex phenomenon. In W. S. Paine (Ed.), Job stress and burnout: Research, theory, and intervention perspectives (Vol. 29-40). Beverly Hills: Sage. 

  22.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http://dx.doi. org/10.1002/job.4030020205 

  23.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http://dx.doi.org/10.1146/annurev. psych.52.1.397 

  24. Melchior, M. E., Bours, G. J., Schmitz, P., & Wittich, Y. (1997). Burnout in psychiatric nursing: A meta-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4(3), 193-201. http://dx.doi. org/10.10 46/j.1365-2850.1997.00057.x 

  25. Park, D. S., Cheol, H. C., & Jeong, S. H. (2007).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The Korean Personnel Administration Journal, 31(1), 69-94. 

  26. Park, S. E., & Han, S. J.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burnout of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 model.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2), 32-60. 

  27. Pines, A. M. (2000). Treating career burnout: A psychodynamic existential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5), 633-642. http://dx.doi. org/10.1002/(SICI)1097-4679(200005)56:5 3.0.CO;2-# 

  28.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2), 150-160. http://dx.doi.org/10.2307/2391486 

  29. Vahey, D. C., Aiken, L. H., Sloane, D. M., Clarke, S. P., & Vargas, D. (2004). Nurse burnout and patient satisfaction. Medical Care, 42(Suppl 2), II57- II66. http://dx.doi.org/10.1097/01.mlr.0000109126.50398.5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