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아동 가족의 한국어판 가족관리 측정도구(Family Management Measure [FaMM])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Korean FaMM) for Families with Children having Chronic Illn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123 - 132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임여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Korean FaMM) to assess applicability for families with children having chronic illnesses. Methods: The Korean FaMM was articulat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Inter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Knafl & Deatrick, 2006). FaMM은 만성질환 아동 가족의 적응을 돕는데 필요한 사정, 중재 개발 유용한 도구로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에게 적용이 적절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FaMM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 86으로 나타나 최적기준에 약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나머지 하위범주들은 모두 기준에 적합하게 나타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항분석과 요인 분석 시 기준에 비해 부족한 항목을 제외한 모델에 대한 적합도를 원 도구의 문항을 모두 포함한 모델의 적합도와 비교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시도를 하였다. 원 도구와 같은 문항수로 구성된 모델과 통계적으로 미흡한 문항을 제외하고 구성한 모델 간의 적합도 지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원도구를 그대로 채택하였는데 이는 추후 국내 가족의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가족관리 방식을 국외의 경우와 비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Cho, Choi, Kim, Yoo, & Lee, 2011).
  • 본 연구는 Knafl 등(2011)의 만성질환아 가족의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인 FaMM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추후 한국의 만성질환아 가족의 가족관리방식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6개 하위범주의 53문항의 번역 후 문항분석, 신뢰도, 타당도 검증결과 한국어판 FaMM이 국내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고 적합하다고 검증되었으므로 향후 우리나라 만성질환아 가족의 관리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중재 개발과 연구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만성질환 아동 가족의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Knafl과 Deatrick (2006)의 만성질환아 가족을 위한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FaMM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Knafl과 Deatrick (2006)의 만성질환아동 가족의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인 FaMM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추후 한국의 만성질환아 가족의 가족관리방식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Knafl과 Deatrick (2006)이 개발한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판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를 작성하고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한국어판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는 향후 만성질환을 앓는 아동 및 가족의 반응에 대한 포괄적이며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별 가족구성원 및 가족 전체의 성장을 도모하고 민감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환의 중등도와 상관없이 만성질환 아동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질환의 중등도와 상관없이 만성질환 아동은 그의 가족과 더불어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는데 만성질환에 대한 아동의 적응정도는 개인차가 존재하며,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 또한 아동의 만성질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가족의 반응방식은 아동의 질환상태 및 경과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Graf, Landolt, Mori, & Boltshauser, 2006).
의학기술의 발달로 초래한 것은?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질환의 조기 발견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앓았던 아동의 생존율은 증가된 반면 만성적인 건강문제를 가진 아동의 양적 증가가 초래되었다. 국외의 경우 18세 미만 아동의 약 18%가 만성적인 신체적, 발달적, 행동상의 또는 정서적인 문제를 갖고 있으며 건강문제가 있는 아동의 약 삼분의 일이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활동제약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rlow & Ellard, 2006; van Dyck, Kogan, McPherson, Weissman, & Newacheck, 2004).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 개의 종합병원의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좀 더 다양한 대상자들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둘째, 도구 개발당시에 포함했던 다양한 만성질환을 동일하게 포함시키지 못하였고 예비조사 대상자의 수가 부족한 것이 제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판 FaMM의 신뢰도 타당도가 무리 없이 적절하다고 검증되었으므로 추후 우리나라 만성질환 아동 가족의 가족관리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lderfer, M. A., Fiese, B. H., Gold, J. I., Cutuli, J. J., Holmbeck, G. N., Goldbeck, L., et al. (2008). Evidence-based assessment in pediatric psychology: Family measur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3(9), 1046-1061. http://dx.doi.org/10.1093/jpepsy/jsm083 

  3. Barlow, J. H., & Ellard, D. R. (2006).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 their parents and siblings: An over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base.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2(1), 19-31.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6.00591.x 

  4. Berge, J. M., & Patterson, J. M. (2004). Cystic fibrosis and the family: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 Families, Systems & Health, 22(1), 74-100. http://dx.doi.org/10.1037/1091-7527.22.1.74 

  5. Chae, S. I. (2004).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3th ed.). Paju: Hakhyunsa. 

  6. Cho, E., Choi, M.,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 41.3.325 

  7. Graf, A., Landolt, M. A., Mori, A. C., & Boltshauser, E. (2006).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Journal of Pediatrics, 149(3), 348-353. http://dx.doi. org/10.1016/j.jpeds.2006.04.025 

  8. Hair, J. F., Tatham, R. L., Anderson, R. E., & Black, W.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9. Harris, M. A., Wysocki, T., Sadler, M., Wilkinson, K., Harvey, L. M., Buckloh, L. M., et al. (2000). Validation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the assessment of diabetes self-management. Diabetes Care, 23(9), 1301-1304. http://dx.doi.org/10.2337/diacare.23.9.1301 

  10. Hullmann, S. E., Wolfe-Christensen, C., Ryan, J. L., Fedele, D. A., Rambo, P. L., Chaney, J. M., et al. (2010).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child vulnerability, and parenting stress: A cross-illness comparis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7(4), 357-365. http://dx.doi. org/10.1007/s10880-010-9213-4 

  11. Jee, H. M., Kim, K. W., Kim, C. S., Sohn, M. H., Shin, D. C., & Kim, K. E. (2009). Prevalence of asthma, rhin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9 (2), 165-172. 

  12. Kim, G. S. (2007). New AMOS 16.0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13. Knafl, K., Breitmayer, B., Gallo, A., & Zoeller, L. (1996). Family response to childhood chronic illness: Description of management styl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1(5), 315-326. http://dx.doi.org/10.1016/s0882- 5963(05)80065-x 

  14. Knafl, K., & Deatrick, J. A. (1990). Family management style: Concept analysis and refinemen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5(1), 4-14. 

  15. Knafl, K., & Deatrick, J. A. (2003). Further refinement of the family management style framework. Journal of Family Nursing, 9(3), 232-256. http://dx.doi.org/10.1177/1074840703255435 

  16. Knafl, K., Deatrick, J. A., Gallo, A., Dixon, J., Grey, M., Knafl, G., et al. (2011). Assessment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6(5), 494-505. http://dx.doi. org/10.1093/jpepsy/jsp034 

  17. Knafl, K., Deatrick, J. A., & Gallo, A. M. (2008). The interplay of concepts, data, and meth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Management Style Framework. Journal of Family Nursing, 14(4), 412-428. http:// dx.doi.org/10.1177/1074840708327138 

  18. Knafl, K. A., & Deatrick, J. A. (1990). Family management style: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5(1), 4-14. 

  19. Knafl, K. A., & Deatrick, J. A. (2006). Family management style and the challenge of moving from conceptualization to measurement.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3(1), 12-18. 

  20. Knafl, K. A., Deatrick, J. A., & Havill, N. L. (2012).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family management style framework. Journal of Family Nursing, 18(1), 11-34. http://dx.doi.org/10.1177/1074840711427294 

  21.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Y.,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4th ed.). Paju: Soomoonsa. 

  22. Lee, K. S., Chung, K. M., Park, J. A., & Kim, H. J. (2008).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3(3), 363-377. 

  23. McQuaid, E. L., Walders, N., Kopel, S. J., Fritz, G. K., & Klinnert, M. D. (2005). Pediatric asthma management in the family context: The family asthma management system scal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0(6), 492-502. http://dx.doi.org/10.1093/jpepsy/jsi074 

  24. Rodenburg, R., Marie Meijer, A., Dekovic, M., & Aldenkamp, A. P. (2006). Family predictors of psychopathology in children with epilepsy. Epilepsia, 47(3), 601-614. http://dx.doi.org/10.1111/j.1528-1167.2006.00475.x 

  25. Stevens, J. (1996).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Suk, M. H., Yoon, Y. M., Oh, W. O., & Park, E. S. (2004).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their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8(1), 121-134. 

  27.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Seoul: Hakjisa. 

  28. Thompson, R. J., Jr., Armstrong, F. D., Link, C. L., Pegelow, C. H., Moser, F., & Wang, W. C. (2003). A prospec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over time of behavior problems,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family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sickle cell disease: A report from the Cooperative Study of Sickle Cell Diseas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8(1), 59-65. http://dx.doi.org/10.1093/jpepsy/28.1.59 

  29. van Dyck, P. C., Kogan, M. D., McPherson, M. G., Weissman, G. R., & Newacheck, P. W. (2004).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8(9), 884-890. http://dx.doi.org/10.1001/archpedi.158.9.8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