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101 - 108  

손해경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송효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Methods: A total of 109 Korean mothers caring for a child with a chronic allergic disease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과 간호 서비스 만족도가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아동의 가족 중심적 접근(family-centered approach) 시 어머니-의료진 간파트너십 및 간호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고, 대상 아동과 가족을 지지하여 가정에서 성공적으로 상태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상태 관리능력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에서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과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 서비스 만족도가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특히 만성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아동의 가정에서 상태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경감될 수 있도록 간호 서비스와 의료진과의 파트너십이 사회적 지지 역할을 할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질환이 있는 아동의 건강에 있어 핵심 인력인 돌봄 역할을 하는 가족 구성원과 치료 역할을 하는 의료진에게 접근을 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가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아동 및 가족 지지와 관련된 연구에 근거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동의 돌봄제공자로서 어머니와 함께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아동 상태관리능력에 대한 접근과 가족구조, 응집력 등의 가족요인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등록된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동의 주된 돌봄제공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다만 아동이 치료를 받는 의료기관에의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해당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대상자의 경제적 소득, 거주환경 등의 일반적 특성과 해당 의료기관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에 따른 차이 등의 사회맥락적인 부분이 함께 고려되지 않았다.
  • 이에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주된 돌봄제공자인 어머니가 아동의 상태를 관리하는 능력에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동의 상태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돌봄제공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는 추후 연구에 가족 중심의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받은 아동의 간호에서 핵심은? 따라서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동이 있는 가정에서 아동의 상태 관리시에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아동의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가족 중심적인 접근(family-centered approach)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만성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받은 아동과 그의 가족이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가정에서 끊임없이 아동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만성질환 관리 및 아동 간호의 핵심이다.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이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은? 가정에서 장기간 동안 병원 치료의 이행 및 상태 관리가 요구되는 아동의 만성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1,2].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등과 같은 만성 알레르기 질환은 질병의 특성 상 잦은 재발 및 악화로 인해 해당 아동의 신체발달과 정서,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또래 관계 및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준다[3,4]. 그리고 아동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가족에게 피로, 수면장애와 같은 신체적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등의 심리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가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으로 인해 해당 아동의 가족에게 끼치는 영향은?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등과 같은 만성 알레르기 질환은 질병의 특성 상 잦은 재발 및 악화로 인해 해당 아동의 신체발달과 정서,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또래 관계 및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준다[3,4]. 그리고 아동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가족에게 피로, 수면장애와 같은 신체적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등의 심리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이렇듯 만성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상태를 관리하며 함께 살아가는 가족구성원의 일상생활과 가족기능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여 가족 위기로 이어지기도 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17 December 15]. Available from: https://yhs.cdc.go.kr/new/pages/pds1.asp. 

  2. Jee HM, Kim KW, Kim CS, Sohn MH, Shin DC, Kim KE. Prevalence of asthma, rhin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09;19 (2):165-172. 

  3. Chamlin SL, Chren MM. Quality of life outcomes and measurement in childhood atopic dermatitis. Immunology and Aller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10;30(3):281-288. https://doi.org/10.1016/j.iac.2010.05.004 

  4. Blackman JA, Conaway MR. Changes over time in reducing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comorbidities of asthma in children.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2012;33(1): 24-31. https://doi.org/10.1097/DBP.0b013e3182396895 

  5. Blaiss MS. Pediatric allergic rhinitis: Physical and mental complications. Allergy and Asthma Proceedings. 2008;29(1):1-6. https://doi.org/10.2500/aap2008.29.3072 

  6. Lee BR, Park HJ, Lee KY. Korean adolescents' physical health and peer relationship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3;34(5): 127-144. https://doi.org/10.5723/KJCS.2013.34.5.127 

  7. Kim DH, Yoo IY.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36-246.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36 

  8. Nam HA, Lee HJ, Kim MO. The contribution of competence in parenting: Uncertainty related children's diseases, and nursing educational need.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4;17(1):29-36. 

  9. Yoo IY, Kim DH. Mothers' experiences of parenting of a child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6;10(2):169-179. 

  10. Von Korff M, Gruman J, Schaefer J, Curry SJ, Wagner EH. Collaborative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997;127(12):1097-1102. https://doi.org/10.7326/0003-4819-127-12-199712150-00008 

  11.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194-202. https://doi.org/10.4040/jkan.2013.43.2.194 

  12. Cho IY, Lee HJ. The relationship of stress, coping and partnership between nurses and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95-207. 

  13. Park KS, Kam S, Kim HS, Lee JK, Hwang JB. Therapeutic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ediatrics pati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6):584-596. https://doi.org/10.3345/kjp.2008.51.6.584 

  14. Kim MJ, Choi MH. Knowledge,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4):272-280.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72 

  15. Strickland OL. Special considerations when conducting measurements with children.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5;13(1):3-5. 

  16. Maijala H, Luukkaala T, Astedt-Kurki P. Measuring parents' perceptions of care: Psychometric development of a research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Nrusing. 2009;15(3):343-359. https://doi.org/10.1177/1074840709339167 

  17. Cho EJ, Bang K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94-101. https://doi.org/10.4094/chnr.2013.19.2.94 

  18. Hong EY, Yang YJ.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36-243.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36 

  19. Clark NM, Nothwehr F, Gong M, Evans D, Maiman LA, Hurwitz ME, et al. Physician-patient partnership in managing chronic illness. Academic Medicine. 1995;70(11):957-959. 

  20. Adams R, Price K, Tucker G, Nguyen AM, Wilson D. The doctor and the patient-How is a clinical encounter perceived?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2;86(1):127-133. https://doi.org/10.1016/j.pec.2011.04.002 

  21. Kim DH, Im YJ.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Korean FaMM) for families with children having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23-132. https://doi.org/10.4040/jkan.2013.43.1.123 

  22. Knafl K, Deatrick JA, Gallo A, Dixon J, Grey M, Knafl G, et al. Assessment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11;36(5):494-505. https://doi.org/10.1093/jpepsy/jsp034 

  23. Lee P. What does partnership in care mean for children's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3):518-526.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591.x 

  24. Lee HJ, Son HK, Kim JS, Han MY, Noh G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parental self-efficacy with eczema care index.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2016;8(10):57-64. http://doi.org/10.5539/gjhs.v8n10p57 

  25. Yoo IY, Kim DH. Parenting stress and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4):423-430. 

  26. Charman CR, Venn AJ, Revenscroft JC, Williams HC. Translating Patient-Oriented Eczema Measure (POEM) scores into clinical practice by suggesting severity strata derived using anchor-based method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3;169(6):1326-1332. https://doi.org/10.1111/bjd.12590 

  27. Son HK, Kim HS.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management style according to severity of childhood atopic dermatit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4):309-3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4.3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