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밥 중심 식사 패턴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C57BL/6 마우스를 고지방식이 대조군(HFD), 밥 중심 식사 급여군(RD) 및 빵 중심 식사 급여군(BD)으로 분류하여 각 실험 식이를 5주간 공급하여 마우스의 체중 변화, 혈중 지질 함량, 지방조직의 무게 및 혈중 glucose 및 insulin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사료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RD 급여군에서의 체중 증가량은 BD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지방조직 무게 역시 RD 급여군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부고환지방의 무게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BD 급여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RD 급여군에서의 혈중 중성지방총콜레스테롤,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 역시 BD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밥 중심의 식사는 고지방 식이를 비롯한 빵 중심 식사에 비하여 체내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고, 혈중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며, 혈당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비만 및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rice-based diet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 levels. Thirty male C57BL/6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a high-fat diet (HFD), rice-based diet (RD), or bread-based diet (BD) for five week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RD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밥 중심의 식사가 비만 및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에게 고지방, 밥 중심 및 빵 중심 식이를 공급하여 마우스의 체중, 체지방 및 혈액 중의 지질 수준의 개선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 쌀을 비롯한 곡류군의 섭취량도 감소하고, 이에 따라 탄수화물로부터 얻는 열량의 비율이 1940년에 81%이었던 것이 1995년에는 64%로 감소하는 반면, 지방으로부터 얻는 열량의 기여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01). 또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밥 중심의 식사 패턴에서 빵과 육류 위주의 고지방, 고열량의 서양식 식사 패턴으로의 변화는 비만의 유병율과 깊은 관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밥 중심의 식사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가설 설정

  • 2)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일, 야채, 생선 및 whole grain이 풍부한 식사 패턴은 고지방, 고당질 또는 육류 위주의 식사 패턴에 비하여 어떤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인가? 역학조사에 의하면 식생활 패턴과 만성질환은 깊은 관련이 있으며, 과일, 야채, 생선 및 whole grain이 풍부한 식사 패턴(healthy/prudent pattern)은 고지방, 고당질 또는 육류 위주의 식사 패턴(western pattern)에 비하여 비만,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알려져 있다(Fung et al 2001, Newby et al 2003, Newby et al 2004). 그러나 최근 빵, 육류 중심의 서양식 식사와 외식의 증가로 동물성 지방의 섭취비율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섭취 칼로리 역시 대폭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비만 유별율의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쌀 소비량이 점점 감소하게 된 이유는?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밥 중심의 문화였으나 서구화된 식생활 문화로의 식생활 패턴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소개되고,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의 기피 등으로 인해 쌀 소비량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특히 쌀로 된 밥은 비만의 주범이라고 하여 청소년들이 밥을 기피하고, 패스트푸드나 빵 등을 주로 하는 서양식 식사 패턴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밥 중심 식사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 높기 때문에 어떤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가? 즉, 우리나라의 밥 중심 식사에서는 주식으로 먹는 콩이나 쌀밥에는 포화지방에 비해 불포화지방의 함량이 높으며, 생선구이, 나물에 넣는 참기름 등에도 불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밥 중심 식사 패턴에서 볼 수 있는 고불포화지방산의 높은 함량은 고지혈증을 예방할 수 있다(Peters et al 2012). 또한,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표(제7차 개정판)에 의하면 배추김치 등의 김치류와 콩나물 등의 나물류에는 100 g당 각각 약 3 g 및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하태열, 김혜영 (1994) 쌀의 영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연구원보고서. 

  2. Bjorntorp P (1988)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Suppl 723: 121-134. 

  3. Crapo PA, Insel J, Sperling M, Kolterman OG (1981) Comparison of serum glucose, insulin, and glucagon responses to different type of complex carbohydrat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Am J Clin Nutr 34: 184-190. 

  4. Fung TT, Willett WC, Stampfer MJ, Manson JE, Hu FB (2001)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Arch Intern Med 161: 1857-1862. 

  5. Garcia-Diaz DF, Campion J, Milaqro FI, Boque N, Moreno-Aliaga MJ, Martinez JA (2010) Vitamin C inhibits leptin secretion and some glucose/lipid metabolic pathways in primary rat adipocytes. J Mol Endocrinol 45: 33-43. 

  6. Kim JH, Lee JE, Jung IK (2012)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and the association with general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women. J Acad Nutr Diet 112: 1550-1559. 

  7. Kolaczynski JW, Nyce MR, Considine RV, Boden G, Nolan JJ, Henry R, Mudaliar SR, Olefsky J, Caro JF (1996) Acute and chronic effect of insulin on leptin production in humans: Studies in vivo and in vitro. Diabetes 45: 699-701. 

  8. Lee HS, Kim BH, Jang YA, Kim CI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hange of dietary intakes and the intakes of fat. Proceedings of 26th Korean Soc Lipid Atherosclerosis Conference: Seoul, Korea 2003. Sep. pp 26-27. 

  9. Lim JH, Lee YS, Chang HC, Moon MK, Song Y (2011)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Korea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J Korean Med Sci 26: 1201-1208. 

  10. Lin H, Bermudez OI, Tucker KL (2003) Dietary patterns of Hispanic elders are associated with acculturation and obesity. J Nutr 133: 3651-3657. 

  11. McNaughton SA, Mishra GD, Stephen AM, Wadsworth ME (2007) Dietary patterns throughout adult life are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red cell folate. J Nutr 137: 99-105. 

  12. Newby PK, Muller D, Hallfrisch J, Andres R, Tucker KL (2004) Food patterns measured by factor analysis and anthropometric changes in adults. Am J Clin Nutr 80: 504-513. 

  13. Newby PK, Muller D, Hallfrisch J, Qiao N, Andres R, Tucker KL (2003) Dietary patterns and changes in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 adults. Am J Clin Nutr 77: 1417-1425. 

  14. Peters BS, Wierzbicki AS, Moyle G, Nair D, Brockmeyer N (2012) The effect of a 12-week course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lipid parameters in hypertriglyceridemic adult HIV-infected patients undergoing HAART: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Clin Ther 34: 67-76.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composition tables. 7th ed. Hyoil, Seoul. 

  16. Son SM (2001) Rice based meal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chronic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 6: 862-867. 

  17. Thornton SJ, Wong IT, Neumann R, Kozlowski P, Wasan KM (2011)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hytosterol and ascorbic acid reduces body mass accumulation and alters food transit time in a diet-induced obesity mouse model. Lipids Health Dis 10: 107-120. 

  18. Williams DE, Prevost AT, Whichelow MJ, Cox BD, Day NE, Wareham NJ (2000) A cross-sectional study of dietary patterns with glucose intolerance and other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Br J Nutr 83: 257-266. 

  19. http://knhanes.cdc.go.kr. Accessed December 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