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밥 섭취 정도와 잡곡밥 섭취 유무에 따른 영양섭취실태 및 대사증후군 위험수준 평가 -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Nutritional Evalu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Multi-grains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8 no.1, 2013년, pp.77 - 87  

손수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화정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  박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  서정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ent intakes of subjects by quartile of percent energy intake from cooked rice, consumption of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s and to evaluate rice consumption in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e subjects were 5,830 males and fema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20세 이상 64세까지 성인 남녀 5,830명을 대상으로 밥 중심 식생활 실태조사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밥에너지 섭취비율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잡곡밥 섭취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와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검진 및 건강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한 후 밥 중심 식사에 기초한 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성인의 바람직한 밥 중심 식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0∼64세까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총 섭취한 에너지 중 밥으로 섭취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분석대상자를 분류하였고, 백미밥과 잡곡밥을 섭취한 그룹으로도 분류하여 영양소 섭취상태 및 건강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영양적으로 갖추어진 밥 중심 식사가 건강을 유지하고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식사로 여겨지지만 최근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밥 대신 빵이나 우유 등의 간편식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은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는 현상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yu 2003; Kang 등 2004; Seo & Cho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근거로 우리나라 성인의 밥 섭취 정도 및 잡곡밥 섭취에 따른 영양섭취상태를 조사하고 대사증후군 위험수준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밥 중심 식사 형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의 특징은? 잡곡은 식이섬유, 저항성 전분, 올리고당 등 발효성 탄수화물의 좋은 급원으로 소화기계 질환 특히 대장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등 2006). 잡곡밥에 많이 사용되는 콩의 이소플라본, 보리의 β-글루칸과 tocol류를 비롯한 각종 생리활성물질들은 체내에서 항산화, 면역 증대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Ryu & Moon 2003; Jeong 등 2005).
우리 전통식사에 사용되는 양념과 향신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적절한 밥 중심의 우리 전통식사는 서구 식사에 비해 곡류와 채소류 식품의 비중이 크고 육류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조리법에서도 지방의 사용이 적어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Kang 등 2004). 또한 함께 사용하는 양념과 향신료 등은 항산화성 물질과 phytochemicals의 함량이 풍부하여 면역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yu 등 1997). 특히 다양한 잡곡이 함유된 밥은 각종 필수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이 있어 밀가루나 옥수수 같은 다른 곡류에 비해 영양적으로 더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Lim 등 2004; Kim 2008).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사가 만성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이유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사는 주식인 밥과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된 여러 반찬의 형태로 구성되어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이 되므로 만성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Ahn & Ha 2010).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과 식생활 환경의 변화로 한국인의 식생활 패턴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전통 음식문화 속에 자리 잡아 왔던 주식인 쌀의 소비량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10년간 약 20%까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Cha 2010; Statistics Korea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JY, Ha TY (2010): Nutritional superiority of rice.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2): 60-62 

  2. Baxter AJ, Coyne T, McClintock C (2006): Dietary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 a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Asia Pac J Clin Nutr 15(2): 134-142 

  3. Bland JM, Altman DG (1995): Multiple significance tests: the Bonferroni method. Br Med J 310(6973): 170 

  4. Cha HM (2010):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regarding the rice consumption of Korean. MS thesis, Woosong University, pp. 96-106 

  5.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2005):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365: 1415-1428 

  6. Flint AJ, Hu FB, Glynn RJ, Jensen MK, Franz M, Sampson L, Rimm EB (2009): Whole grains and incident hypertension in men. Am J Clin Nutr 90(3): 493-498 

  7.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Gordon DJ, Krauss RM, Savage PJ, Smith Jr SC, Spertus JA, Costa F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Executive summary. Cardiol Rev 13(6): 322-327 

  8. Hansen RG, Wyse BW (1980): Expression of nutrient allowances per 1,000kilocalories. J Am Diet Assoc 76(3): 223-227 

  9. Hur I-Y, Moon H-K (2002): A study on the menu patterns of residents in Kangbukgu - Compared by the sex, age and health risk. Korean J Community Nutr 6(5): 809-818 

  10.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2004): Waist circumference and not body mass index explains obesity-related health risk. Am J Clin Nutr 79(3): 379-384 

  11. Jeong K-H, Seo J-H, Jeong Y-J (2005): Characteristics of soybean hydrolysates prepared with various protease. Korean J Food Preserv 12(5): 460-464 

  12. Jung HJ, Song WO, Paik H-Y, Joung H (2011): Dietary characteristics of macronutrient intake and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s. Korean J Nutr 44(2): 119-130 

  13. Kang JH, Kim KA, Han JS (2004): Korean diet and obesity. Korean J Obesity 13(1): 34-41 

  14. Kang M, Joung H, Lim JH, Lee Y-S, Song YJ (2011):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2): 152-161 

  15. Kim J, Jo I (2011): Grains, vegetables, and fish dietary patter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n adults. J Am Diet Assoc 111: 1141-1149 

  16. Kim J, Jo I, Joung H (2012): A rice-based traditional dietary pattern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J Acad Nutr Diet 112: 246-253 

  17. Kim YO (2008): Changes in health status with the changing patterns of rice consumption among Korean. Food Industry and Nutr 13(2): 15-21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pp.384-386 

  1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based on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 

  20. Kwon Y (2009): A trend analysis regarding the consumpti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the eating out frequency of the adults.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21. Lee H-J, Kim Y-A, Lee H-S (2006):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91-2001. Korean J Nutr 39(6): 549-559 

  22. Lee M-J, Popkin BM, Kim S (2002): The unique aspect of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the retention of healthfu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diet. Public Health Nutr 5(1A): 197-203 

  23. Lee S (2011): Association of whole grain consump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eating behavior factors in a Korea population: Based on 2007-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3): 353-363 

  24. Lee S-Y (2009): A study of the preference and the consumption pattern for ri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25. Lim BO, Lee CJ, Kim JD (2004): Study on immunoregulatory function of dietary fiber. Food Industry and Nutr 9(2): 26-30 

  26. Liu S, Stampfer MJ, Hu FB, Giovanncci E, Rimm E, Manson JE, Hennekens CH, Willett WC (1999): Whole-grain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70(3): 412-429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8.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2): Third repo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25): 3143 

  29. Park S, Park MS, Ko JA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waist circumference. Korean J Obesity 17(4): 175-181 

  30. Park S-H, Lee K-S, Park H-Y (2010):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Intern J Cardiol 139: 234-240 

  31. Randall E, Niohaman MZ, Contant CF (1985):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J Am Diet Assoc 85(7): 830-836 

  32. Rumawas ME, Meigs JB, Dwyer JT, McKeown NM, Jacques PF (2009): Mediterranean-style dietary pattern, reduc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traits, and incidenc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Am J Clin Nutr 90: 1608-1614 

  33. Ryu HK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ent content of ricebased and wheat-based meals in Miryang and Daegu.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4(3): 47-57 

  34. Ryu S-H, Jeon Y-S, Moon J-W, Lee Y-S, Moon G-S (1997):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to reactive oxygen species in skin cell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 998-1005 

  35. Ryu S-H, Moon G-S (2003):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dietary yellow and black soybea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 591-597 

  36. Seo J-S, Cho S-H (2008): Rice-based traditional meal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Food Industry and Nutr 13(2): 27-33 

  37. Sluijs I, van der Schouw YT, van der A DL, Spijkerman AM, Hu FB, Grobbee DE, Beulens JW (2010): Carbohydrate quantity and qualtity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Netherlands (EPIC-NL) study. Am J Clin Nutr 92: 905-911 

  38. Song SJ, Lee JE, Paik H-Y, Park MS, Song YJ (2012): Dietary pattern based on carbohydrate nutrition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diabetes and dyslipidemia. Nutr Res Pract 6(4): 349-356 

  39. Song Y, Joung H (2012):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ition Metabolism & Cardiovascular Disease 22: 456-462 

  40. Statistics Korea (2011): Household food grain consumption per capita in 2010 

  41. Sun Q, Spiegelman D, van Dam RM, HolmesMD, Malik VS, Willett WC, Hu FB (2010): White rice, brown ric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US men and women. Arch Intern Med 170(11): 961-969 

  42. Yang EJ, Chung HK, Kim WY, Kerver JM, Song WO (2003):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an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adults: NHANES III. J Am Coll Nutr 22(1): 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