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김치로부터 분리한 Leuconostoc citreum GR1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Citreum GR1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1, 2013년, pp.121 - 126  

이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선숙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Leuc. citreum GR1을 분리하여 단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인 Leuc. citreum GR1의 임상적용 경로가 구강이므로 경구투여용 존데를 사용하여 단회 경구 투여를 수행하였으며, 투여용량은 단회 경구투여 최고용량인 5,000 mg/kg을 고농도로 설정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 1회 시험물질을 625, 1,250, 2,500 및 5,000 mg/kg 투여 용량으로 하여 ICR계 암 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마리씩 시험물질을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 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단회 경구구투여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 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c. citreum GR1는 경구투여 시 ICR계 암 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 vivo single-dose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citreum GR1 (Leuc. citreum GR1), a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ICR male and female mice. The test article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to both sexes of mice. The mortalities, c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김치 숙성에 관여하는 우수한 발효능, 박테리오 생성능 및 박테리오신 생성 유도작용 보유능을 동시에 갖춘 김치발효 우량 종균(16) 이며, 항균 활성이 우수한 Leuc. citreum GR1을 분리하여 안정성 평가의 일환으로 단회 투여 시 나타날 수 있는 독성 평가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 독성 · 약리 · 병리시험 표준작업지침서의 일반 독성 시험기준(17,18)에 따라 마우스에서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은 어떤 세균인가? 김치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유산균이 생성되는데 유산균은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간 및 동물의 건강한 장내에 주로 서식을 하고 있는 유용한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2). 인간의 장내에는 여러 균들이 있는데 이 균들은 소화 흡수, 배설, 물질합성 등에 관여 한다.
미국이나 유럽에 비하여 한국인의 관상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이유는? 우리나라는 최근 서구화 된 식사패턴으로 에너지 과잉 및 지질섭취의 증가로 동맥경화, 고혈압, 뇌혈관질환,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1). WHO에서 보고된 바에 의하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하여 한국인의 관상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채식위주의 식단과 한국의 전통음식인 김치 속에 들어있는 균들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euconostoc 속 중에서 Leuc. citreum은 어떤 용도로서 활용이 기대되는가? 이로 인해 Leuc. citreum은 넓은 범위의 항진균과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박테리오신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무독성 방부제로 주목받고 있는 항균성 단백질이며 잘 발효된 김치의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he Bureau of Statistic (2000) Annual statistic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in 1998. 

  2. Gilliland SE (1990)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from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57, 175-188 

  3. Perdigon, Nader de Macias Me, Alvarez S, Oliver G, Pesce de Holgado AA (1990)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 using immunobiological methods with milk femented with Lactobacillus casei and Lactobacillus acidophillus. J Dairy Res, 57, 255-264. 

  4. Jang JS, Lee YD, Park JH (2003)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er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69-1173 

  5. Cheigh HS, Hwang J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Food Ind Nutr, 5, 52-56 

  6.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7. Seo JG, Lee GS, Kim JE, Chung MJ (2010)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s. KSBB J, 25, 303-310 

  8. Seo JH, Lee H (2007)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otential probio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81-687 

  9. Cheigh HS (2005) The physiological ingredient of the kimchi and health functionality. Food Preserv Processing Ind, 4, 2-10 

  10.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1. Lee YH, Kang MS (1996) Characteristics of beta galactosidase activity in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Agr Chem Biotechnol, 39, 60-66 

  12. Han HU, Kang YW, Kim JH (1999) Sliced kimchi and kimchi juice made by using Leuconostoc citreum IH2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1003306740000 

  13. Jang SH (2011)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moked salmon by antimicrobi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Food Ind Nutr, 16, 1-4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atration (2012)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FDA. p 11 

  15. Donohue DC, Salminen S (1996) Safety of probiotic bacteria. Asia Pac J Clin Nutr, 5, 25-28 

  16. Ryu EH. (2011) Probiotic assessment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Chosun University, Korea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atration (2009) Guidelines for toxicity tests of drugs and related materials notification. KFDA. 116, 1-5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atration (2009) Good laboratory practice regulation for non-clinical laboratory studies. KFDA. 183, 1-74 

  1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1)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revised draft guideline 420 

  20. Hayes AW (1984)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Raven press, New York, USA, p 17-19. 

  21. Ma JY, Huang DS, Yu YB, Ha HK, Shin HK (2007) Acute toxicity study on Sagunja-tang (Sijunzi-tang) in ICR mice. J Kor Ori Med, 28, 200-2004 

  22. Ryu JC, Kim KR, Kim HJ, Jung SO, Kim MK, Park HS, Kim YH (1998) Acute and genetic toxicity study of DK1002, a drug candidate for analgesics. J Toxicol Pub Health, 14, 427-433 

  23. Litchfield JT, Wilcoxon F (1949) A simplified method for evaluation dose-effect experiments. J Pharmacol Exp Ther, 96, 99-113 

  2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8) Health effects test guidelines OPPTS 870.100, Acute toxicity testing background. Washington, USA 

  25. Lee JJ, Chang HC, Lee MY (2007)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citreum GJ7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34-539 

  26. Lee H, Lee JJ, Chang HC, Lee MY (2012) Acut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orm kimchi in mice. Korean J Food Preserv, 19, 315-321 

  27. Lee JJ, Lee YM, Chang HC, Lee MY (2007)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J Life Sci, 17, 561-5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