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과편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
A Literature Review of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Gwap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1, 2013년, pp.1 - 11  

오순덕 ((주)오순덕식품외식산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traditional fruit preserve, gwapyeon, recorded in 10 royal palace studies and 10 old literature reports on the Joseon dynasty (1392-1909). A total of 62 papers presented the Gwapyeon kind in the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tocols of the court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이 앵두ㆍ살구ㆍ복분자 딸기ㆍ버찌ㆍ오미자편ㆍ산사편ㆍ모과편ㆍ들쭉편에 대해 살펴보았다. 앵두ㆍ살구ㆍ복분자 딸기ㆍ버찌ㆍ오미자편ㆍ모과편ㆍ들쭉편에는 꿀과 녹말이 사용되었고, 산사편에는 꿀만 사용되었고 녹말이 사용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편은 무엇인가? 과편(果片)은 신맛이 있는 과일을 즙을 내어 그 즙에 설탕을 넣고 졸이다가 녹말을 넣어 엉키도록 하여 그릇에 쏟아식힌 다음 편으로 썰은 것이다(이 1998). 이는 녹말의 “젤” 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서양에서 후식으로 많이 이용되는 젤리와 비슷한 질감을 내는 음식이다.
우리나라의 조과류는 외국의 어떤 음식류와 같은가? 우리나라 전래의 음식물 가운데는 연회음식(宴會飮食)ㆍ제향음식(祭享飮食)·혼례음식(婚禮飮食)ㆍ시속음식(時俗飮食)用 등으로 자리를 굳히면서 상용음식이 아닌 간식(間食) 또는 기호음식(嗜好飮食)으로 계승되고 있다. 중국의 병이류(餠餌類)에 해당되고 일본의 화과자(和菓子)와 맞먹고 서구사회의 케이크(Cakes)로 분류되는 조과류(造果類)가(장 1996) 바로 그것이다. 과(菓)를 크게 나누면 생과와 자연식품을 가공하여 만든 조과가 있는데, 그 조과의 범위는 다양하여 곡류로 만든 것, 과실을 가공한 것 등이 있으며 한식과자의 종류에는 유밀과, 강정, 다식, 전과, 엿과 엿강정으로 분류하였다(황 1986).
과편은 어떤 성질을 이용한 음식이며 어떤 질감을 갖는가? 과편(果片)은 신맛이 있는 과일을 즙을 내어 그 즙에 설탕을 넣고 졸이다가 녹말을 넣어 엉키도록 하여 그릇에 쏟아식힌 다음 편으로 썰은 것이다(이 1998). 이는 녹말의 “젤” 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서양에서 후식으로 많이 이용되는 젤리와 비슷한 질감을 내는 음식이다. 즉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식으로 대표되는 청포묵, 도토리묵의 조리원리인 녹말의 젤화 성질을 이용하면서 여기에 과즙의 맛과 향을 첨가한 고도의 조리기술을 부여한 음식으로 생각되나 실제로 우리나라 고유의 앵두편, 살구편과 같은 과편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Jung & Woo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고종 10년(1873),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순조 29년(1829),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3.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 (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경기도 

  4.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경기도 

  5.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헌종 14년(184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6.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순조 28년(1828),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7.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5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8.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7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9.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民音社). 서울 

  10. 윤서석.조후종. 1993.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 Korean J. Dietary Culture. 8(1):79-84 

  11. 윤서석.조후종. 1993.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I. Korean J. Dietary Culture. 8(2):159-165 

  12. 이성우.조준하, 1983, 역주방문(曆酒方文) (저자미상, 1800년대 중엽), 한양대학교한국생활과학연구소, 한국생활과학연구1, pp. 7-25 

  13.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술만드는 법 (저자미상 , 1700년대), 수학사, 서울 

  14. 이효지.조신호.정낙원.김현숙.유애령.최영진.김은미.백숙은.원선임.김상연.차경희.백현남, 2004, 시의전서 (작자미상, 1800년대 말엽), 신광출판사, 서울 

  15. 이효지.조신호.정낙원.차경희 편역, 2007, 임원십육지(정조지) (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16. 이효지.한복려.정길자.조신호.정낙원.김현숙.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 편역, 2010, 부인필지(이숙 원저, 1908), 교문사, 경기도 

  17.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18.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11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9.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4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0. 장지현. 1996. 한국전래 造果(과줄)類 製造史 硏究(上). 성동문화. 서울 

  21.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순조 27년(1827), 2책, 서울대학 

  22.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고종 24년(188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3. 조신호.이효지. 1992. 전과류(煎果.正果類)의 문헌적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pp. 5-40 

  24. 조신호. 2001. 과편의 문헌적 연구. 부천대학 논문집. 22:173-179 

  25. 정량완 편역, 1975,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원저, 1815년경), 보진재, 서울 

  26. 황혜성 편역, 1980, 閨是議方(규곤시의방)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한국인서출판사, 서울 

  27. 황혜성. 1986. 한국음식. 인서출판사. 서울 

  28.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8. An Investigation "Kwa-Jung":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12-324 

  29. Chung HK, Woo NRY. 2005. A Bibliographical Study of Traditional Fruit Preserve. Korean J. Food Culture. 20(3):384-390 

  30. Lee HG, Yoon SS.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3):197-210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