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하 이형 다이아프램으로 보강된 2심 냉간성형 각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wo-Seam Cold Formed Square CFT Column to Beam Connections with Asymmetric Diaphragm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5 no.1 = no.122, 2013년, pp.35 - 45  

오헌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 ,  김선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 ,  최성모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은 우수한 구조성능에도 불구하고 폐단면이라는 특성 상 내다이아프램 형태의 접합부 제작이 어려워 시공성에 다소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리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ㄷ형태의 부재 두 개를 용접하여 각형강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접합부의 상부 다이아프램은 수평플레이트를, 하부는 수직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접합부 상 하부를 6개의 단순인장 실험과 실대 크기인 2개의 T형 기둥-보 접합부에 대해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순인장 실험에서의 주요변수는 상부 다이아프램의 형태와 가력방향이며 하부 다이아프램은 수직 플레이트의 두께와 구멍 개수이고, 실대형 접합부의 변수는 가력방향이다. 실험결과 모서리 절삭형태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강축방향이 약축방향보다 초기강성이 16~24% 높았다. 수직 플레이트의 구멍개수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내력이 각 약 5% 증가하였다. 실대형 T형 접합부의 가력축에 따른 내력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보의 전소성모멘트에 도달할 때까지 안정적인 거동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rete-filled tube column has the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But it is difficult to connect with column and beam because of closed section. It suggests that pipe should be produced by welding two sides together where two shapes are joined after a channel is pre-welded onto the three s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다이아프램의 형상은 상·하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제작성, 시공성 그리고 용접의 난 이도를 개선한 접합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실험은 접합부 상·하부를 각각 묘사한 6개의 단순인장 실험과 실대 크기인 2개의 T형 기둥-보 접합부에 대한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순인장 실험은 기둥-보 접합부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분을 강관기둥과 이상화한 보플랜지만 으로 단순화 시켜 접합부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하였다. 또한, 단순인장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모 멘트-회전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로 인해 접합부 시공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발생 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형 CFT 기둥-보 접합 부 개발의 일환으로 동일 다이아프램으로 제작한 후 ㄷ형태 의 기둥부재를 용접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작된 상하이형 내다이아프램의 접합상세를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구조적 성 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단점은 무엇인가?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은 우수한 구조성능에도 불구하고 폐단면이라는 특성 상 내다이아프램 형태의 접합부 제작이 어려워 시공성에 다소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리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ㄷ형태의 부재 두 개를 용접하여 각형강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FT기둥-보 접합부의 내다이아프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CFT기둥-보 접합부 다이아프램은 크게 내다이아프램형, 외다이아프램형, 관통형다이아프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강관내부에 설치되는 내다이아프램은 최소의 강재사용량으로 보 플랜지 하중을 기둥과 반대편 보에 원활히 전달 할 수 있 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내다이아 프램 형식은 강관이라는 폐단면 특성 상 용접의 어려움이 있 어 현장 적용에 불편함을 갖고 있다
CFT기둥-보 접합부 다이아프램에는 무엇이 있는가? CFT기둥-보 접합부 다이아프램은 크게 내다이아프램형, 외다이아프램형, 관통형다이아프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강관내부에 설치되는 내다이아프램은 최소의 강재사용량으로 보 플랜지 하중을 기둥과 반대편 보에 원활히 전달 할 수 있 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창수, 박홍근, 최인락, 정경수, 김진호(2010) 800MPa 강재 및 100MPa 콘크리트를 적용한 매입형 합성기둥의 구조성능,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5호 pp.497-509. Kim, C.S., Park. H.G., Choi, I.R., Chung, K.S., and Kim, J.H. (2010)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crete-encased Steel Columns using 800MPa Steel and 100MPa Concre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2, No. 5, pp.497-509 (in Korean). 

  2. 최인락, 정경수, 김진호, 홍건호(2012) 이종강관을 사용한 고강도 CFT 합성부재의 구조성능,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4권, 제6호, pp.711-723. Choi, I.R., Chung, K.S., Kim, J.H., and Hong, G.H. (2012)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Fillef Steel Tube Steel Columns using Different Strength Ste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4, No.6, pp.711-723 (in Korean). 

  3. 김규석, 심종석, 한덕전, 최성모(1996) 콘크리트 충전 각 형강관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탄소성 거동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6권, 제1호, pp.417-421. Kim, K.S., Shim, J.S., Han, D.J., and Cho, S.M. (199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Concrete-Filled Steel Square Tubular Column to H-Beam Connect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16, No. 1, pp.417-421 (in Korean). 

  4. 최성모, 윤여상, 김요숙, 김진호(2003) 이형 하부다이아프램으로 보강된 각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5권, 제5호, pp.579-589. Choi, S.M., Yun, Y.S., Kim, Y.S., and Kim, J.H. (2003) A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for CFT Square Column-to-Beam Connections Reinforced with Asymmetric Lower Diaphrag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5, No. 5, pp.579-589 (in Korean). 

  5. 이성희 정헌모 양일승 최성모(2009) 내부 유공판을 사용한 각형 CFT기둥-보 단순인장 접합부의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1권, 제6호, pp.575-583. Lee, S.H., Jung, H.M., Yang, I.S., and Choi, S.M.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Simple Tension Connections for Square CFT Column to Beam Using Internal Plate with Ho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1, No. 6, pp.575-583 (in Korean). 

  6. 박찬면, 이광호, 이성희, 박용욱, 최성모(2006) 2심으로 제작된 각형강관 내다이아프램 접합부 개발에 관한 연구, 2006년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6권, 제1호, pp.289-292. Park, C.M., Lee, K.H., Lee, S.H., Park, Y.W., and Choi, S.M. (2006) Study on Square Tubular internal diaphragm connection development with two-seam,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1, pp.289-292 (in Korean). 

  7. 최성모(2006) 중약진 지역인 우리나라에 적합한 보-기둥 접합부 개발에 관한 연구 -CFT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pp.1-255. Choi, S.M. (2006) A Research on Column-to-Beam Conne ction suitable in region of weak or moderate earthquake -In CFT connection-, Research Report, pp.1-255 (in Korean). 

  8. Choi, S.M., Sang, Y.Y., Kim, D.K., Kim, Y.S., and Kim, J.H., (2006) Experimental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of concrete filled tubular square column-to-beam connections with combined cross diaphragm, Steel & Composite Structure. 

  9. 박민수, 김희동, 이명재(2011)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 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3호, 제6호, pp.737-745. Park, M.S., Kim, H.D., and Lee, M.J. (2011) Structural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of Circular CFT Structures Improving Concrete Fi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23, No. 6, pp.737-745 (in Korean). 

  10. 한국강구조학회(2012) 건축 강구조 표준접합상세지침. Korea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2) Standard Details for Connection (Architecture Steel Structural) (in Korean). 

  11. KS B 0801 (2007) 금속재료 인장시험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B 0801 (2007) Test Pieces for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Korean). 

  12. KS B 0802 (2003) 금속재료 인장시험벙법,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B 0802 (2003)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Korean). 

  13. AISC (2005)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