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 매몰지 침출수에 대한 수질 특성 및 호기성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the Aerobic Bacterial Population in Leachate Derived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3 no.1, 2013년, pp.37 - 46  

최낙철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최은주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봉주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박정안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김성배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박천영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축 매몰지내 침출수의 누출은 인간과 다른 가축들에게 쉽게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몰된지 5개월 이내의 초기 16개 가축매몰지에 대한 침출수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미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총대장균군, 총유기탄소, 암모니아이온 및 질산성질소가 관련된 참고문헌자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과 질산성질소는 국내 먹는물 기준치를 초과하여 나타났다. 16S rNA 서열 분석법을 사용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침출수의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높은 빈도의 Bacillus pumilus, Lysinibacillus sphaericus 및 Bacillus sphaericus이 관찰되었지만, Bucillus cereus와 Salmonella와 같은 식중독 미생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kage of leachate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is a significant issue because disease can easily spread to humans and other livestock.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achate and tested for the presence of aerobic bacteria in leachate using molecular biology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에 의하여 매몰된 다양한 국내 가축매몰지내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에 대한 물리ᆞ화학ᆞ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침출수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의 분포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 하지만 국내에서는 다양한 가축 매몰지의 매몰특성에 따른 침출수의 물리ᆞ화학ᆞ생물학적 특성분석이 아직 국한적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에 의하여 매몰된 다양한 국내 가축매몰지내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에 대한 물리ᆞ화학ᆞ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침출수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의 분포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한 가축 수는? 우리나라는 2010년 11월 경북 안동에서 최초로 발병 보고된 구제역으로 살처분 가축수 약 340만여 마리, 매몰지는 전국적으로 4,500여 곳 가량이 발생하여, 자치구 별로도 제주와 전남을 제외하고 경북, 경기 및 충남 등 11개 광역시도 75개 시군구가 몸살을 앓았다. 우리나라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라 살처분한 가축사체에 대해 신속히 소각 및 매몰을 하게 되어 있으나, 국내 여건상 소각의 어려움 때문에 거의 대부분 매몰방법에 의한 처리방법을 택하고 있다.
침출수로 인해 어떤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가? 그러나 매몰과 매몰지역관리가 부실한 곳이 많아 식수원오염 등 심각한 2차 피해가 염려되고 있다. 매몰처리 된 가축사체의 부패에 따른 침출수 및 악취로 인해 토양, 지하수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전염병의 전파 차단을 위해 발생지역 근처에 시행한 대규모 매몰처리 방법은 사후환경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더욱 더 심각한 2차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가축 매몰지에서 발생한 침출수 분석 결과, 매몰지의 환경은 어떠한가? 구제역으로 인하여 매몰된 가축 매몰지내 발생되는 침출수의 성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몰초기(매몰종료 약 5개월 경과)의 총 16개 지역에 대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에 대한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침출수의 물리·화학 분석 결과, 가축사체에서 유래한 미생물에 의하여 일부 약산성의 매몰지를 제외하고, 중성 pH 환경으로 나타났다. 총대장균군은 돈분뇨의 약 1,226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산소결핍의 환원 환경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med, I., Yokota, A., Yamazoe, A., and Fujiwara. T., 2007, Proposal of Lysinibacillus boronitolerans gen. nov. sp. nov., and transfer of Bacillus fusiformis to Lysinibacillus fusiformis comb. nov. and Bacillus sphaericus to Lysinibacillus sphaericus comb. nov, Int. J. Syst. Evol. Microbol, 57, 1117-1125. 

  2. Davies, R. H. and Wray, C., 1996, Persistence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poultry units and poultry food, British Poultry Science 37, 589-596. 

  3. Elizabeth, W. D., Urbina, M., Payne, J., Mula, Mir. S., Darwazeh, H., Dulmage, H. J., and Correa, J. A., 1984, Fate of Bacillus sphaericus 1593 and 2362 Spores Used as Larvicid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Appl. Environ. Microbiol, 47, 125-129. 

  4. Hill, J. E., Baiano, J. C. F., and Barnes, A. C., 2009, Isolation of a novel strain of Bacillus pumilus from penaeid shrimp that is inhibitory against marine pathogens, Journal of Fish Diseases, 32(12), 1007-1016. 

  5. Jacobson, K. H., Lee, S. H., McKenzie, D., Benson, C. H., and Pedersen, J. A., 2009, Transport of the Pathogenic Prion Protein through Landfill Material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6), 2022-2028 

  6. Joa, J. H., Lim, H. C., Han, S. G., Chun, S. J., and Suh, J. S., 2007,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haericus PSB-13 as Phosphate Solublizing Bacterium Isolated from Citrus Orchard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0(5), 405-41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M. A., Kim, M. S., Choi, B. W., and Sohn, H. Y., 2012, Organic Matter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achate from a Foot-and-Mouth Disease Landfill Sit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40(2), 128-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E. S., Hong, S. W., and Chung, K.S.,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testinal Trac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9(4), 374-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 H., Kim, K. R., Kim, H. S., Lee, G. T., and Lee, K. H., 2010, Assessment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wo Animal Carcass Disposal Sites, Korean J. Soil Sci. Fert., 43(3), 384-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W. J., Choi, K. J., and Park, J. S.,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Water-Purification Properties in Cement Bricks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Zeoli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3), 33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acArthur, A. J. and Milne, J. C., 2002. Leachat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Requirements Arising from the Foot & Mouth Operations in Scotland. Proceedings Waste 2002 Integrated Waste Management and Pollution Control: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305-314. 

  12. Mikkola, R., Andersson, M. A., Grigoriev, P., Teplova, V. V., Saris, N. E., Rainey, F. A., and Salkinoja-Salonen, M. S., 2004,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s isolated from moisture-damaged buildings produced surfactin and a substance toxic to mammalian cells, Arch. Microbiol, 181, 314-323. 

  13. Mikkola, R., Kolari, M., Andersson, M. A., Helin, J., and Salkinoja-Salonen, M. S., 2000, Toxic lactonic lipopeptide from food poisoning isolates of Bacillus licheniformis, Eur. J. Biochem. 267, 4068-4074. 

  14. Miller, L. K., Lingg, A. J., and Bulla L. A. Jr., 1983, Bacterial, Viral, and Fungal Insecticides, Science, 219(4585) 715-721. 

  15. Moon, Y. H., Lee, K. B., Kim, Y. J., and Koo, Y. M., 2011, Current Status of EM (Effective Microorganisms) Utilization,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6, 365-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yers. P. S. and Yousten, A. A., 1980, Localization of a Mosquito-Larval Toxin of Bacillus sphaericus 1593, Appl. Environ. Microbiol. 39, 1205-1212. 

  17. Park, J. H., 2011, Improvement Plan for the Prevention and Biosecurity of Animal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3), 371-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riest, F. G., 1993, Systematics and Ecology of Bacillus, In: Sonenshein AL, Hoch JA, Losick R, editors. Bacillus subtilis and Other Gram-Positive Bacteria: Biochemistry, Physiology, and Molecular Genetics. Washington, D.C.: ASM Press, 3-16. 

  19. Salkinoja-Salonen, M. S., Vuorio, R., Andersson, M. A., Kampfer, P., Andersson, M. C., Honkanen-Buzalski, T., and Scoging, A. C., 1999, Toxigenic strains of Bacillus licheniformis related to food poisoning, Appl. Environ. Microbiol. 65, 4637-4645. 

  20. Stowell, C. and Sazama, K., 2007, Informed consent in blood transfusion and cellular therapies: patients, donors, and research subjects, Amerci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62, 3. 

  21. Suominen, I., Andersson, M. A., Andersson, M. C., Hallaksela, A. M., Kampfer, P., Rainey, F. A., and Salkinoja- Salonen, M., 2001, Toxic Bacillus pumilus from indoor air, recycled paper pulp, Norway spruce,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clinical samples, Syst. Appl. Microbiol, 24, 267-276. 

  22. Turnbull, P. C. B., 1999, Definitive identification of Bacillus anthracis-a review,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87, 237-240. 

  23. UK Department of Health. 2001, A rapid qualitative assessment of possible risks to public health from current foot & mouth disposal options-main report and annexes. 

  24. Woo, E. O., Kim, M. J., Son, H. S., Ryu, E. Y., Jeong, S. Y., Son, H. J., Lee, S. J., and Park, G. T., 2007, Produc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by Bacillus pumilus RS7 and Feather Hydrolysate As a Source of Amino Acid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0), 1203-120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oon, D. H., Kang, D. W., and Nam, K. W., 2009, The Effect of Yeast(Saccharomyces exiguus SJPAF1) on Odor Emission and Contaminants Reduction in Piggery Slurr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8(1), 47-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