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극아과(대극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subfamily Euphorbioideae (Euphorbi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1, 2013년, pp.1 - 11  

박기룡 (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정훈 (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극아과(Euphorbioideae)에 속하는 20종과 클로톤아과(Crotonoideae)의 1종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화분형태학적 연구결과는 대극아과의 단계통 기원을 지지할 수 없으며, Stomatocalyceae족에서 나타나는 발아구연이 뚜렷하지 않고, 연속적이고 두꺼운 내표벽의 특징 등은 Stomatocalyceae가 대극아과로부터 독립시키는 것을 제안하고 있고, 이와 같은 해석은 기존의 계통분석 결과나 해부학적 결과와도 잘 일치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이 족의 화분특징은 본 족이 화분형태적으로 깨풀아과(Acalyphoideae)와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tomatocalyceae의 2개의 아족은 화분형태적으로 잘 구별이 되는데: Hamilcoinae는 망상 혹은 미세망상의 표벽 무늬를 갖고 있고, Stomatocalycinae은 유공상의 표면에 작은 돌기가 존재한다. 대극족(Euphorbieae)의 세 아족은 서로 다른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Euphorbiinae아족은 유공상, Neoguillauminiinae아족은 미세망상, Anthosteminae아족은 망상의 표벽무늬로 분류되어 Webster의 아족 분류체계를 잘 지지한다. Hureae와 Hippomaneae족은 유공상 패턴에 밋밋한 발아구연을 갖고 있어 유사한 화분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Hura crepitans종에서 보여지는 표벽의 미세돌기는 Hippomaneae족의 Excoecaria속 종들과의 가까운 유연관계를 제시해준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발아구연을 따라 독특한 비후된 내벽을 갖는 특징은 대극과에서 Euphorbieae족에서만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의하면 동일한 비후된 내벽이 Maprounea brasiliensis와 Hura crepitans의 발아구연에서도 발견되었다. 대극족과 위 두 종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내벽의 비후는 이들 간에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추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len morphology of 20 species of Euphorbioideae and one from Crotonoideae was examined with light,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ollen morphology presented here did not support the monophyly of Euphorbioideae, and the unique characters of tribe Stomatocalyceae such as abs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However, in this study we found the same intine thickness along the aperture margin in Maprounea brasiliensis and Hura crepitans. We hypothesize that the similar intine thickness found in Euphorbieae and above two species as an evidence of close relationships among the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roizat, L. 1942. Peculiarities of the inflorescence in the Euphorbiaceae. Botanical Gazette 103: 771-779. 

  2. El-Ghazaly, G. 1989. Pollen and orbicule morphology of some Euphorbia species. Grana 28: 243-259. 

  3. Erdtman, G. 1960. The acetolysis method: a revised description. Svensk Botanisk Tidskrift 54: 561-564. 

  4. Esser, H.-J. 2012. The tribe Hippomaneae (Euphorbiaceae) in Brazil. Rodriguesla 63: 209-225. 

  5. Esser, H.-J., Welzen, P. C. van and T. Djarwaningsih. 1997.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Malesian Hippomaneae (Euphorbiaceae). Systematic Botany 22: 617-628. 

  6. Gilbert, M. G. 1994. The relationships of the Euphorbieae (Euphorbiaceae). Annals of Missouri Botanical Garden 81: 283-288. 

  7. Hurusawa, I. 1954. Eine nochmalige Durchsicht des herkommlichen systems der Euphorbiaceen im weiteren Sinne. Journal of Faculty of Science in University of Tokyo, III. Botany 6: 209-342. 

  8. Lee, E.-D. and K.-R. Park. 2006. A palynotaxonomic study of Euphorbia section Zygophyllidium (Euphorbiaceae).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36: 195-208 (in Korean). 

  9. Lynch, S. P. and G. L. Webster. 1975. A new technique of preparing pollen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Grana 15: 127-136. 

  10. Mennega, A. M. W. 2005. Wood anatomy of the subfamily Euphorbioideae: a comparison with subfamilies Crotonoideae and Acalyphoideae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ircumscription of the Euphorbiaceae. Iowa Journal 26: 1-68. 

  11. Noh, M.-A. and K.-R. Park. 2008. Pollen morphology of Euphorbia subsection Meleuphorbia.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38: 329-338 (in Korean). 

  12. Nowicke, J. W. 1994. A palynological study of Crotonoideae (Euphorbiac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1: 245-269. 

  13. Nowicke, J. W., Takahashi, M. and G. L.Webster. 1999. Pollen morphology, exine structure and systematics of Acalyphoideae (Euphorbiaceae). Part 2. Tribe Agrostistachydeae (Agrostistachys, Pseudagrostistachys, Cyttaranthus, Chondrostylis), Chrozophoreae (Speranskia, Caperonia, Philyra, Ditaxis, Argythamnia, Chiropetalum, Doryxylon, Sumbaviopsis, Thyrsanthera, Melanolepis, Chrozophora), Caryodendreae (Caryodendron, Discoglypremna, Alchorneopsis), Bernardieae (Bernardia, Necepsia, Paranecepsis, Discocleidion, Adenophaedra) and Pycnocomeae (Pycnocoma, Droceloncia, Argomuellera, Blumeodendron, Podadenia, Ptychopyxis, Botryophor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105: 1-62. 

  14. Park, K.-R. and S. Lee. 1988.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Euphorbi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8: 69-94. 

  15. Park, K.-R. and W. J. Elisens. 2000. A phylogenetic study of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 161: 425-434. 

  16. Park, K.-R. and A. Backlund. 2002. Origin of the cyathium-bearing Euphorbieae (Euphorbiaceae): phylogenetic study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Botanical Bulletin of Academia Sinica 43: 57-62. 

  17. Pax, F. 1924. Die Phylogenie der Euphorbiaceae. Botanische Jahrbucher 59: 129-182. 

  18. Pax, F. and K. Hoffmann. 1931. Euphorbiaceae. In A. Engler and K. Prantl (Eds), Die Naturlichchen Pflanzenfamilien ed. 2, 19c: 11-233. 

  19. Punt, W. 1962. Pollen morphology of Euphorbi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taxonomy. Wentia 7: 1-116. 

  20. Punt, W. 1987. A survey of pollen morphology in Euphorbi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Phyllanthu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94: 127-142. 

  21. Punt, W., Blackmore, S., Nilsson, S. and A. Le Thomas. 1994. Glossary of Pollen and Spore Terminology. LPP Contributions Series No. 1, 1-71. 

  22. Radcliffe-Smith, A. 2001. Genera Euphorbiacearum. Royal Botanic Gardens, Kew. 455p. 

  23. Sales, E. de O., Barreto, C. F. and O. M. Barth. 2011. Morfologia polinica de especies de Euphorbiaceae s.l. arboreas ocorrentes no Estado de Santa Catarina, Brasil. Hoehnea 38: 495-500. 

  24. Steinmann, V. W. and J. M. Porter. 2002.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Euphorbieae (Euphorbiaceae) based on ITS and ndhF sequence dat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9: 453-490. 

  25. Suarez-Cervera, M., Gillespie, L., Arcalis, E., Le Thomas, A., Lobreau-Callen, D. and J. A. Seoane-Camba. 2001. Taxonomic significance of sporoderm structure in pollen of Euphorbiaceae: tribe Plukenetieae and Euphorbieae. Grana 40: 78-104. 

  26. Takahashi, M., Nowicke, J. W. and G. L. Webster. 1995. A note on remarkable exines in Acalyphoideae (Euphorbioideae). Grana 34: 282-290. 

  27. Webster, G. L. 1975. Conspectus of a new classification of Euphorbiaceae. Taxon 24: 593-601. 

  28. Webster, G. L. 1994. Synopsis of the genera and suprageneric taxa of Euphorbiac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1: 33-144. 

  29. Wurdack, K. J., Hoffmann, P. and M. W. Chase. 2005.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uniovulate Euphorbiaceae (Euphorbiaceae sensu stricto) using plastid rbcL and trnL-F DNA 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2: 1397-1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