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체장벽 방전구조의 비접촉식 저온 대기압 면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빵곰팡이의 살균효과
Sterilization of Neurospora Crassa by Noncontacted Low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Surface Discharged Plasma with Dielectric Barrier Structure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2 no.2, 2013년, pp.55 - 65  

유영효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과학 연구센터) ,  엄환섭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과학 연구센터) ,  박경순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과학 연구센터) ,  최은하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과학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시에 넓은 면적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의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대기압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곰팡이의 살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파워는 사인파 교류전원을 이용하였으며, 1.4~2.3 kV의 방전전압을 가진다. 또한, 유전체 전기용량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약 80도를 갖는다. 생물시료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공랭식 쿨러를 사용하여 유전체의 열을 배출함으로써 최소화 하였으며, 시료의 온도는 온도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쿨러(Cooler) 작동 시 최대 10분간 플라즈마를 발생시켜도 37도가 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플라즈마에서 생성되는 활성종중 오존($O_3$)의 양은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1 cm 이내에서 약 25~30 ppm이 측정되었으며, 150 cm 떨어진 지점에서도 5 ppm 정도 측정되었다. 그에 비해 일산화질소(NO)나 이산화질소($NO_2$)는 거의 검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증류수 속에 담긴 빵 곰팡이 포자를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로 처리하였을 때, 포자의 발아율은 처리시간 및 출력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MTT (3-(4,5-dimethy 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측정법을 통해 분석한 미토콘드리아 활성도도 처리시간과 출력파워에 비례하여 감소함을 보았다. 반면 포자를 Vogel's minimal 배양액에 넣고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앞의 실험과 달리 살균효과가 미비함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포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플라즈마의 살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전체 장벽을 이용한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플라즈마 제트(jet)와는 달리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미생물 살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종들이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비활성화에 주요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erilization of Neurospora crassa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by using a surface air plasma wit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 (DBD) structure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has been used in this experiment with discharge voltage of 1.4~2.3 kV. The phas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활성종들의 농도는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체로 살균이 어렵다고 알려진 곰팡이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단기간에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빵 곰팡이(Neurospora crassa) 살균을 통해 그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전기적 충격이 없는 면방전 플라즈마 살균장치를 개발하였다. 시중에서 큰 제약 없이 쉽게 구매 할 수 있는 변압기와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면 방전 구조의 소형 플라즈마 장치를 제작하였고, 곰팡이 포자를 비활성화시키는지 조사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충격이 없고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유전체 장벽(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형태의 대기압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곰팡이 살균에 대한 기본 실험 및 분석을 하였다. 이미 이와 같은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의 살균 효과는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들을 대상으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20-29].
  • 본 연구에서는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전기적 충격이 없는 면방전 플라즈마 살균장치를 개발하였다. 시중에서 큰 제약 없이 쉽게 구매 할 수 있는 변압기와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면 방전 구조의 소형 플라즈마 장치를 제작하였고, 곰팡이 포자를 비활성화시키는지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플라즈마 제트(jet)와는 달리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는 면에서 방전되는 유전체 장벽(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종 성분들이 미생물의 비활성화에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대체로 살균이 어렵다고 알려진 곰팡이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단기간에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빵 곰팡이(Neurospora crassa) 살균을 통해 그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일련의 과정을 통해 플라즈마의 곰팡이에 대한 살균 메커니즘을 밝혀낸다면 관련 산업에 무궁무진한 응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즈마는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플라즈마는 제 4의 물질상태를 지칭하는 말로써 기체가 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되었을 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면서 이들이 갖는 에너지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1]. 몇 가지 플라즈마의 예를 들면 태양이나 초신성, 천둥, 오로라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들이있으며, 이는 실제 우리 주변에서 보기 힘들뿐만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 또한 매우 어렵다.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가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살균에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기술은 다른 분야에 비해 일찍 그 가능성이 입증되었고,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16].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는 온도가 높지 않아 열에 의한 단백질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환경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살균기술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을 죽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특히 박테리아 살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이스트나 곰팡이 병원균에도 살균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17].
현재 곰팡이의 살균 방법의 단점은? 현재 곰팡이의 살균은 화학약품을 사용하거나 물리적으로 감염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 마땅한 살균법이 없다. 이러한 방법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감염대상의 피해가 크다는 단점들이 있다 [30]. 특히, 실내 환경이나 식품들의 곰팡이 포자에 의한 오염은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제어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 A. Lieberman and A. J. Lichtenberg,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s Processing (John Wiley & Sons Inc, San Francisco, CA, 1994), p. 757. 

  2. C. B. Park, IEEK. 4, 28 (2001). 

  3. D. S. Kim and Y. S. Park, KSEH. 3, 37 (2011). 

  4. H. S. Uhm, J. Korean Vac. Soc. 15, 117 (2006). 

  5. M. Laroussi, Plasma Process. Polym, 2, 391 (2005). 

  6. R. Brandenburg, J. Ehlbeck, M. Stieber, Th. von Woedtke, J. Zeymer, O. Schluter, and K. D. Weltmann, Plasma Phys, 47, 72 (2007). 

  7. K. D. Weltmann, R. Brandenburg, Th. Von Woedtke, J. Ehlbeck, R. Foest, M. Stieber, and E. Kindel, J. Phys. D. Appl. Phys. 41, 194008 (2008). 

  8. G. Fridman, G. Friedman, A. Gutsol, A. B. Shekhter, V. N. Vasilets, and A. Fridman, Plasma Process. Polymers, 5, 503 (2008). 

  9. K. D. Weltmann, E. Kindel, T. von Woedtke, M. Hahnel, M. Stieber, and R. Brandenburg, PureAppl. Chem. 82, 1223 (2010). 

  10. K. D. Weltmann, T. von Woedtke, R. Brandenburg, and J. Ehlbeck, Chem. Listy 102, 1450 (2008). 

  11. G. E. Morfill, M. G. Kong, and J. L. Zimmermann, New J. Phys. 11 (2009). 

  12. R. Ben Gadri, J. R. Roth, T. C. Montie, K. Kelly-Wintenberg, P. P. Tsai, D. J. Helfritch, P. Feldman, D. M. Sherman, F. Karakaya, and Z. Chen, Surf. Coat. Technol. 131, 528 (2000). 

  13. R. Brandenburg, U. Krohmann, M. Stieber, K. D. Weltmann, T. V. Woedtke, and J. Ehlbeck, Plasma Assisted Decontamination of Biological and Chemical Agents (Springer, New York/Heidelberg, 2008), pp. 51-63. 

  14. C. Cheng, P. Liu, L. Xu, L. Y. Zhang, R. J. Zhan, and W. R. Zhang, Chin. Phys. 15, 1544 (2006). 

  15. F. Iza, G. J. Kim, S. M. Lee, J. K. Lee, J. L. Walsh, Y. T. Zhang, and M. G. Kong, Plasma Process. Polym. 5, 322 (2008). 

  16. M. Moisan, J. Barbeau, M. C. Crevier, J. Pelletier, N. Philip, and B. Saoudi, Pure Appl, Chem. 74, 3, 349, (2002). 

  17. K. Lee, K. Paek, W. Ju, and Y. Lee, Journal of Microbiology, 44, 3, 269 (2006). 

  18. P. Muranyi, J. Wunderlich, and M. Heise,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03, 1535 (2007). 

  19. G. Kamgang-Youbi, J. M. Herry, T. Meylheuc, J. L. Brisset, M. N. Bellon-Fontaine, A. Doubla, and M. Naitali, Lett. Appl. Microbiol. 48, 13 (2009). 

  20. H. Son and W. K. Lee, Appl. Chem. Eng. 22, 261 (2011). 

  21. N. S. J. Braithwaite, Plasma Sources Sci. Technol. 9, 517 (2000). 

  22. T. C. Montie, K. Kelly-Wintenberg, and J. R. Roth, IEEE. Trans. Plasma Sci. 28, 41 (2000). 

  23. K. Kelly-Wintenburg, D. M. Sherman, P. P. Y. Tsai, R. B. Gardi, F. Karakaya, Z. Chen, J. R. Roth, and T. C. Montie, IEEE. Trans. PlasmaSci. 28, 64 (2000). 

  24. E. Stoffels, A. J. Flikweert, W. W. Stoffels, and G. M. W. Kroesen, PlasmaSources Sci. Technol. 11, 383 (2002). 

  25. R. E. J. Sladek, E. Stoffels, R. Walraven, P. J. A. Tielbeek, and R. A. Koolhoven, IEEE. Trans. PlasmaSci. 32, 1540 (2004). 

  26. M. Moisan, J. Barbeau, S. Moreau, J. Pelletier, M. Tabrizian, and L'H. Yahia, Int. J. Pharmaceutics, 226, 1 (2002). 

  27. B. J. Park, D. H. Lee, J. C. Parka, I. S. Lee, K. Y. Lee, S. O. Hyun, M. S. Chun, and K. H. Chung, Phys. Plasmas, 10, 4539 (2003). 

  28. T. Akitsu, H. Ohkawa, M. Tsuji, H. Kimura, and M. Kogoma, Surf. Coating Technol. 193, 29 (2005). 

  29. M. Laroussi and X. Lu, Appl. Phys. Lett. 87, 113902 (2005). 

  30. D. C. Wolf, T. H. Dao, H. D. Scott, and T. L. Lavy.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18, 39-44 (1989). 

  31. A. Poiata, I. Motrescu, A. Nastuta, D. E. Creanga, and G. Popa, Journal of Electrostatics, 68, 128, (2010). 

  32. Y. J. Hong, C. J Nam, K. B. Song, G. S. Cho, H. S. Uhm, D. I. Choi, and E. H. Choi, Jinst. 15, 13 (2011). 

  33. M. Guoa, Y. Xub, and M. Gruebele. PNAS. 10. 1073. 1201797109 (2012). 

  34. L. Lighezan, R. Georgieva, and A. Neagu, Physica. Scripta. 86, 035801 (2012). 

  35. 宗宮 功, 新版 Ozone 利用의 新技術, (三琇書房, 東京大, 1993). 

  36. D. Gerlier and N. Thomasset,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94, 57 (1986). 

  37. G. Park, Y. H. Ryu, Y. J. Hong, E. H. Choi, and H. S. Uhm, Appl. Phys. Lett. 100, 063703 (2012). 

  38. E. S. Jacobson, E. Hove, and H. S. Emery, Infection and Immunity 63, 4944 (1995). 

  39. C. Echavarri-Erasuna and E. A. Johnson, Applied Mycology and Biotechnology 2, 45 (2002). 

  40. K. S. Roh, JLS. 20, 166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