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자기 효능감, 자기 결정성 동기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157 - 1163  

유경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요인 간의 상관 및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중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능력, 자기효능감, 자기 결정성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 사고능력은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능력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내적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을 증진시키는데 과제난이도선호, 자기조절효능감, 내적동기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instruments us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가 창의적 사고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능력과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를 검사하여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18.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자기 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 및 그 하위요인들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혀보고 그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2.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자기결정성 동기의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경훈[6,7], 유경훈,김청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에 대하여 어떠한 연구 결과를 나타냈는가? 창의성과 동기와의 관계를 밝힌 선행 연구는 대부분이유아나 아동 또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유경훈[5]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내외동기와 창의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밝혔으며, 유경훈[6,7], 유경훈,김청자[8]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는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주며, 창의적 인성과 관련이 있을 것임을 시사하였다. Moneta와 Siu[2]는 홍콩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내재적 동기와 창의성이 긍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으며, 하대현[9]의 연구에서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과제수행에서 내적 동기가 창의적 수행에 외적동기보다 더 크게 관련된 양상을 나타냈다.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창의성과 관련된 또 다른 중요한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갖는 인지적 자원이나 동기 혹은 다양한 행동 과정들을 동원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 및 신념[11]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동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보다 많이 노력하고 쉽게 풀리지 않는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여 인내심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특성이 있다. Stipek[12], Zsolnai[13] 등의 연구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자신의 수행에 대해 높은 기대를 하며 학습과제를 더 가치 있게 판단하며 높은 수준의 과제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과 창의성이 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선행연구 중 김원경과 우남희는 어떠한 결과를 나타냈는가? 자기 효능감과 창의성이 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Sternberg[14]는 창의성 발달을 연구하면서 아동의 성공을 예언하는 가장 좋은 변인은 아동의 능력보다는 아동의 성공에 대한 믿음이라고 하여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배진수와 이영만[15]은 자기효능감과 창의적사고력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원경과 우남희[16]는 초등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17]의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영향력 있는 설명 변인이라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1996. 

  2. Moneta G. B., & Siu, C. M. Y., Trait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cademic performance, and creativity in Hong K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3, No.5, pp. 664-683. 2002. 

  3. Deci, E. L. & Ryan, R. M..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pp.319-338. 2000. DOI: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4. Eisenberger, R., Armeli, S., & Pretz, J.. Can be promise of reward: Reality or myth? American Psychologists, Vol.51, No.11, 1153-1166.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1.11.1153 

  5. Lew, K. H..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motivation,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Vol.338, pp.120-129. 2012. DOI: http://dx.doi.org/10.1007/978-3-642-35251-5_17 

  6. Lew, K. H.,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on a Creative Think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16, No.1, pp. 15-25. 2007. 

  7. Lew, K. H..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e Product,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1, No.3, pp.71-95. 2010. 

  8. Lew, K. H., & Kim, C. J.,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Vol.10, No.1, pp.47-71. 2008. 

  9. D.H. Ha, "Comparison of Motivational Structures and Correlational Patterns of Motivation and Creativity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Gifted Adults" Social education science journal, Vol.8, No.1, pp.31-62, 2005. 

  10. Chung-ja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thinking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7, No.2, pp.23-42. 2006. 

  1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2. Stipek, D., Motivation to learn: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tanford University, 2002. 

  13. Zsolnal,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chievement. Educational psychology, Vol.22, No.3, pp.317-329. 2002. DOI: http://dx.doi.org/10.1080/01443410220138548 

  14. Sternberg, R. J.. Construct validity of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In R. J. Sternberg, J. Lautrey, & T. I. Lubart (Eds.), Models of intelligen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pp. 55-7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15. Lee, Y. M., & Bae, J. 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13, No.2, pp.5-29, 2000. 

  16. W.K. Kim & N.H. Woo, "A Path Model Effects on Creativity of Child`s Temperament, Depressi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Style",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Vol.23 No.2, pp.1-16.2002. 

  17. M.S. Kim, D.R. Jung & J.H Le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Gifted in Science:Creativ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Vol.23 No.3, pp.91-108. 

  18. Torrance, E, P.. Predictive Validity of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6, pp.236-252. 1972.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36.x 

  19. A.Y. Kim & In-young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9, No.2 pp.31-42. 2001. 

  20. Ryan, R. M. The Self- Regulation Questionnaiires, http://www.psycho.Rochester.edu. 2004. 

  21. Byung-Gee Bak, Jong-Ug Lee, Seung-Pyo Hong. Reconstructing the classificatory pattern of learning motication proposed vy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8, No.1, pp.351-366. 2005. 

  22. Eun-Jong Yoon, & Hee-Soo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Vol.9, No.1, pp.133-144. 2006. 

  23. Vallerand, R.J., & Bissonnette, R.. Intrinsic, extrinsic, and 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s;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Vol.60, pp.599-620. 1992. DOI: http://dx.doi.org/10.1111/j.1467-6494.1992.tb00922.x 

  24. Jong Yeun Lee, Eun Moon J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rategies of Motivation Regulation, the Motivation Types of Self-Deter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pp.405-428. 2010. 

  25. Eisenberger, R., & Selbst, M.. Does reward increase or decrease crea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6. pp.1116-1127. 1994.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66.6.1116 

  26. Eun Hyun Sung. Relationships among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Korean J. of Child Studies, Vol.27, No.5, pp.183-193. 2006. 

  27. Young Sook Ja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Journal of Early Chidood Teacher Education, Vol.14, No.2, pp.249-270. 2010. 

  28. Seung-Ho Park & Ji Hee Park, A Study of the Relations on Metacognition, Metamotivation, Volitio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Vol.17, No.4, pp.1-1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