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북정책 기조변화와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ift of paradigms toward North Korea and South-North Korea Animation Exchange Industry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30, 2013년, pp.87 - 112  

박기복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영상문화과)

초록

과거 1998년 '국민의 정부'의 일명 '햇볕정책'이라는 대북정책에서 시작된 남북 간의 평화적 무드는 '참여 정부'까지 큰 변화 없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중도 보수 실용주의 기조의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은 과거 정부들과 다르게 무조건적 지원 정책을 벗어나서 차별화되고 원칙주의적인 실용적 노선의 대북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남북 간의 정책 기조 변화는 남북의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하여 큰 영향력을 주어 사업의 성공과 침체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대북정책 기조 변화에서 남북 애니메이션 산업 협력의 위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2013년도 새 정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에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은 세습 정권의 특성상 민주주의 체제의 남한 정부와 달리 비교적 정책적 변화 요소가 적기 때문에, 이연구에서는 중점적으로 남한 정부에서 집행된 전반적 대북정책 프레임들을 비교한 후, 그에 따라서 남한의 대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의 정책 변화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고 도출된 개선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문제점을 점검해 앞으로의 대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 개선 방향과 나아가 대북정책과 그리고 그에 따르는 대체 방안을 제시, 애니메이션 대북 협력사업의 전환점을 만들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ort to make the peaceful moo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at had started from so-called 'Sunshine Policy' of the People's Government since 1998, lasted until Rho Mu-hyun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Lee Myung-bak government changed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to more practical and p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논문과 문헌자료를 통하여 남북한의 애니메이션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남북한의 지속가능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협력을 위해 남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 양상을 중심에서 문제점을 찾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이 연구는 지난 남한정부들이 펼친 대북정책의 프레임을 비교하고 남북한의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며, 문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여 애니메이션 대북 협력사업의 전환점을 위한 연구다.
  • 따라서 이 연구는 논문과 문헌자료를 통하여 남북한의 애니메이션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남북한의 지속가능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협력을 위해 남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 양상을 중심에서 문제점을 찾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이 연구는 지난 남한정부들이 펼친 대북정책의 프레임을 비교하고 남북한의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며, 문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여 애니메이션 대북 협력사업의 전환점을 위한 연구다.
  • 특히 기존의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는 논문은 있었으나 현재의 애니메이션 협력사업 중단 상황이 만들어낸 경제적 타격과 그 원인을 분석하는 사례는 찾기 힘들었다. 이 관점에서 선행 연구의 사례가 부족한 것은 앞으로 다방면에서 사례연구 및 이론 연구가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는 대북 경협정책에서 사회문화 협력 사업으로써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이 정부의 정책 기조의 변화에서 상관성을 기본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 이러한 지속적 관계 형성의 실패는 남북 간의 정치 군사적 갈등 그리고 주변 국가들의 국제적 관계 등으로 인한 변수의 영향이 매우 지대했다. 이런 점들이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을 비롯한 모든 경협사업이 답보 상태에 놓여 있게 하는 요인임을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7) 이러한 북·중 간의 경협 활성화는 단순히 예전의 통상적으로 진행되어 온 상황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의 대북정책의 일관성 있는 관점에서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정책 수립을 재정립을 할 시점인 이유는? 애니메이션은 장르적 속성상 다른 문화예술 분야에 비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과 이데올로기적 장벽을 넘는 문화적 할인율(Cultural Discount Rate)에서 강점이 있으며 또한 경제적으로 사업적 성공을 통한 성공적 남북관계 개선의 시금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남북관계의 변수로 인하여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었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남북관계 경색 국면에서 비롯된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사업의 침체는 전환적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며 이러한 노력은 나아가서 남북 간의 우호적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원동력임이 된다는 인식을 분명히 해야 한다. 따라서 정부의 대북정책의 일관성 있는 관점에서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정책 수립을 재정립을 할 시점이다.
애니메이션의 강점과 장점은 무엇인가? 애니메이션은 장르적 속성상 다른 문화예술 분야에 비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과 이데올로기적 장벽을 넘는 문화적 할인율(Cultural Discount Rate)에서 강점이 있으며 또한 경제적으로 사업적 성공을 통한 성공적 남북관계 개선의 시금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남북관계의 변수로 인하여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었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어떠한 성향을 가졌으며 어떤 정책을 펼치려 하였는가? 과거 1998년 '국민의 정부' 의 일명 '햇볕정책'부터 ‘참여 정부’까지 남북정책 기조는 큰 변화 없이 지속되었으나 중도 보수 성향의 실용주의 정책을 표방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와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즉 이명박 정부는 이전 10 년의 대북정책과 다르게 무조건적 지원을 지양하였으며 차별화된 원칙에 입각하여 실용적 노선의 대북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남북 간의 경협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는 매우 높은 수준임을 통계로 아래와 같이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CTI 보고서, 문화예술 관광 동향 분석>북한 정세 변화와 문화 관광분야 정책 대응, KCTI, 2011.12.26. (제2011-26호). 

  2. 김근식, 이명박 정부 4년의 남북관계', , 민주정책연구원 네트워크 토론 자료집. 

  3. 김병연, 통일,평화,그리고실용주의:이명박정부대 북정책의 비전과 쟁점,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창립2주년기념 학술 대회(2008.5.20) 발표 자료집. 

  4. 배성인, 북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남북한 문화협력 협력 방안' 문화정책 총론?제6호(2002), pp.263-285. 

  5. 서재진,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의 형성배경과 정책목표, 건국60주년기념 통일 심포지엄 자료집. 

  6. 월간 남북협력 협력 동향, 민주정책연구원, 2012년 1월호. 

  7. 월간 통일한국, 평화문제 연구소, 2008년 3월호. 

  8. 이상현, 북핵,북미,6자회담 속에서의 한국-실용주의적 대안,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창립 2주년 기념 학술 대회, 2008.5.20., 발표 자료집. 

  9. 이용배, 북한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남북 협력 가능성에 대한 고찰,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6호(2002), pp.221-250. 

  10. 이정.이상구.영화진흥위원회, 남북 애니메이션 교류 백서. 1999-2004, 문화체육관광부, 2004. 

  11. 장정규, 북중경협 시대의 남북 경협 상생의 관점과 준가 필요하다, 특집 , 월간 민족21, 2012. 10월호, pp. 

  12. 한국문화콘첸츠진흥원, 북한의 문화콘텐츠산업 실태와 교류협력방안, 2003, pp.18-26. 

  13. 한국콘텐츠 진흥원, 2012년 3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14. http://www.koreatimes.co.kr 

  15. http://www.yonhapnews.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