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현황, 방법론적 특징 및 연구 사례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161 - 180  

맹승호 (강원대학교) ,  성연선 (삼성초등학교) ,  장신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2006년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연구의 현황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최근에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발달과정 연구의 실제를 제시하여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고, 특별히 학습을 위한 평가의 관점에서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하는 방법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과학의 학습 발달과정은 과학의 주제를 학습할 때 형성되는 발달의 경로를 기술한 것으로서, 발달의 경로를 따라 학생들은 과학 지식을 활용하여 과학의 탐구실행에 참여하게 된다. 각각의 학습 발달과정은 상위 정착점과 하위 정착점, 그리고 두 정착점을 연결해 주는 중간 단계들로 구성되었다. 과학의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할 때, 연구자들은 평가의 삼각형에 기반하여 구성된 Wilson의 4단계의 평가 시스템 구성단위를 주로 사용하였다. 논문에서는 학습 발달과정의 조사 방법과 절차를 물의 순환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 조사에 적용한 사례 연구를 소개하고, 한국에서 수행될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점과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about Learning Progressions disseminated to several countries including the U.S. since 2006. It also provides a methodological base to investigate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by introducing a case study of lear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별히 이 연구에서는 학습 발달과정의 조사 절차 중에서 과학 학습 평가가 가진 역할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로 도출된 학습 발달과정의 조사 방법과 절차가 실제 학습 발달과정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 보여주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 본 연구진이 수행 중인 학습 발달과정의 연구 사례를 학습 발달과정 개발 절차에 따라 제시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학습 발달과정의 조사 방법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또한, 이 방법과 절차가 적용된 국내의 학습 발달과정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의 과학교육 연구자들에게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고, 국내의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은 2006년 이후 미국과 유럽의 과학교육학 분야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연구의 현황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최근에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실제를 제시하여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하는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최근의 공식적인 진술은 the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CPRE)의 보고서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 이 보고서의 중심적인 의제는 평가의 결과로 파악되는 학습의 수행(learning performances)이 학습자의 발전을 검토하고,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교수활동이 보완되고 발전하는 평가 적응적 수업(adaptive instruction, Corcoran & Silander, 2009)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Black & Wiliam, 1998)를 수행할 수 있으려면 장기간에 걸친 과학 학습의 순서와 계열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 (2011)의 분석적 고찰에서 학습 발달의 가설적 경로에 대한 또 하나의 중요한 연구 결과로 선정되었던 Lehrer and Schauble (2012)§의 진화 이론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변화(change), 변이(variation), 생태환경(ecosystem)과 관련된 표상(representation) 활동과 모형화(modeling) 활동에 참여하면서 진화의 이론을 학습하는 발달과정에 대하여 10여 년에 걸친 종단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과학 교사가 수업 중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에게 교수활동이 지원하는 학습자의 역동적인 발달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변이에 대한 학습자의 발달과정이‘기술된 차이→ (difference described) →측정된 차이(difference measured)→ 개체의 분포 표현하기(distribution making)→ 분포 모델 형성(modeling the distribution) → 각 모델들의 경쟁(competition of models)’에 이르는 동안‘질문을 부과하고 수정하기, 다른 조사와 비교하기, 질문의 답을 찾는 조사활동에 참여하기, 측정과 표상의 방법 고안하기, 전체 학급의 연구 미팅 참여하기’등의 교수활동을 진행하여 이와 같은 발달과정을 촉진하고 형성하였다.
  • 또한, 이 방법과 절차가 적용된 국내의 학습 발달과정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의 과학교육 연구자들에게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고, 국내의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최근의 공식적인 진술은 어디에서 제시되었나? 이 논문은 2006년 이후 미국과 유럽의 과학교육학 분야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연구의 현황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최근에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 발달과정 연구의 실제를 제시하여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하는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최근의 공식적인 진술은 the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CPRE)의 보고서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학습 발달과정이란?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위와 같은 정의는 1990년대 이후 과학 학습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여 발표한 미국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의 보고서 Taking Science to School 의 내용에 근거하고 있다. 위의 정의에 따르면, ‘학습 발달과정’은1) 과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과, 과학적 탐구 실행을 활용하여 수행하는 능력이 점점 더 정교해지는 과정에 대한 발달 경로를 다루고 있으며, 2) 학생들의 생물학적 성장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발달이 아니라 과학교사의 적절한 수업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발달 (instruction-assisted development) 의 과정을 말하며, 3) 전문가의 지식이나 개인적 경험에서 제기하는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라 과학교육의 연구에서 도출된 경험적 근거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하는 발달의 경로이다. 그러나 이 경로는 모든 학생들이 동일하게 경험하게 되는 정형화된 발달의 경로가 아니라 가설적인 발달의 과정으로서 구체적인 평가를 통해 검증 가능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CPRE 보고서에 제시된 학습 발달과정에 대한 최근의 공식적인 진술에 대한 내용은? 과학의 핵심적인 개념(core concepts)과 과학적 설명 및 그와 관련된 과학 탐구의 실행(scientific inquiry practices)에 대한 이해와 사용 능력이, 적절한 과학 교수활동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고 연속적으로 점점 더 정교해지는 과정에 대한, 경험적 근거에 기반하고 검증 가능한 가설이다”(Corcoran et al., 2009,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남화 (2012, 7월). 미국의 국가수준 과학교육틀 수립이 주는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의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강원대학교. 

  2. 국동식 (1988).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33-42. 

  3. 김경희, 신진아, 송미영, 박인용, 김완수, 최인봉, 손원숙, 이현숙 (2012).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학업 성취 및 향상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서 RRE 2012-1-5. 

  4. 김미경, 김동영, 이인호, 정은영, 강훈식, 최요한 (2012).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서 RRE 2012-2-5. 

  5. 김효남, 신인철, 최병순, 강순희 (1993).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92-99. 

  6. 남윤경, 정진우, 장명덕 (2004). '대기와 물의 순환'관련 개념들에 대한 과제 상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응답의 일관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56-662. 

  7. 맹승호 (2011, 9월). 미국의 새 과학교육 프레임웍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에 입각한 지구과학 Learning Progression 연구의 전망.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제주대학교. 

  8. 맹승호, 성연선, 장신호 (2012, 7월). Ordered Multiple Choice Items를 적용한'물의 순환'주제의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개발: Rasch 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4 - 6 학년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강원대학교. 

  9. 박현주 (1996).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에 대한 개념 생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215-222. 

  10.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정진수, 이은아, 유은정, 이동욱, 박종원, 백윤수 (2012). 과학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29-750. 

  11. 배대성, 유준희 (2012). 중학생의 힘과 운동 현상 관련 과학적 모형구성 수준의 상세화, 새물리, 62(8), 809-825. 

  12. 백남진 (2006).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진술의 구체화. 교육과정연구, 24(2), 207-233. 

  13. 백성혜, 박재원, 박진옥, 임명혁, 고영미, 조부경, 김효남 (2002). 물의 상태, 상태변화 및 그 조건에 대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15-229. 

  14. 성태제 (2001). 문항 반응 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5.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 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 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39-259. 

  16. 유병길, 양정인 (2003).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 28, 185-198. 

  17. 윤현진,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 (2009).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 내용 관 련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 2009-3-4. 

  18. 이용복, 배영부 (1994). 물의 순환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1), 81-92. 

  19. 이용복, 이성미 (1998).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7(1), 89-103. 

  20. 이해명 (2003).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교육학연구, 41(2), 197-224. 

  21. 정진우, 김윤지 (2008).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초등과학교육, 27(4), 319-327. 

  22. 조부경, 고영미, 김효남, 백성혜, 박재원, 박진옥, 임명혁 (2002).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한 활동에서 유.초.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학년별 경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86-298. 

  23. 조현희, 김광명 (2000). 대기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 및 오개념 분석. 과학교육연구, 24, 1-23. 

  24. 지은림, 채선희 (2000). Rasch 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5. Alonzo, A. C., & Gotwals, A. W. (2012).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Sense Publishers, Rotterdam: The Netherlands. 

  26. Alonzo, A. C., & Steedle J. T. (2009). Developing and assessing a force and motion learning progression. Science Education, 93(3), 389-421. 

  27. Bar, V. (1989). Children's views about the water cycle. Science Education, 73(4), 481-500. 

  28. Ben-zvi-Assaraf, O. & Orion, N. (2005a).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9. Ben-zvi-Assaraf, O. & Orion, N. (2010).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40-563. 

  30. Ben-zvi-Assarf, O., & Orion, N. (2005b).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366-373. 

  31. Berland L.K., & McNeill, K.L. (2010).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Understanding student work and designing supportive instructional contexts. Science Education, 94(5), 765-793. 

  32. Black, P. J.,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5(1), 7-73. 

  33. Briggs, D. C., & Alonzo, A. C. (2012). The psychometric model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 responses for diagnostic assessment with a learning progression. In A. C. Alonzo &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pp. 293-316). 

  34. Rotterdam: Sense Publishers, The Netherlands. Briggs, D. C., Alonzo, A. C., Schwab, C., & Wilson, M. (2006). Diagnostic assessment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Educational Assessment, 11(1), 33-63. 

  35. Carraher, D., Smith, C., Wiser, M., Schliemann, A., & Cayton-Hodges, G. (2009). Assessing students'evolving understandings about matter. Paper presented at the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LeaPS) Conference, Iowa City, IA, USA. 

  36. Corcoran, T., & Silander, M. (2009). Instruction in high schools: The evidence and the challenge. The Future of Children: America's High Schools, 19, 157-183. Retrieved from http://www.futureofchildren.org 

  37. Corcoran, T., Mosher, F.A., &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38. Covitt, B. A., Gunckel, K. L., & Anderson, C. W. (2009). Students'developing understanding of water in environmental system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0(3), 37-51. 

  39. Duncan, R. G., & Hmelo-Silver, C. E. (2009). Learning progressions: Aligni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06-609. 

  40. Duncan, R. G., Rogat, A. D., & Yarden, A. (2009). A learning progression for deepening students'understandings of modern genetics across the 5th-10th gr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55-674. 

  41. Duschl, R., & Grandy, R. (2012). Two views about explicitly teaching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DOI 10.1007/s11191-012- 9539-4. 

  42.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43. Furtak, E. M. (2012). Link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natural selection to teachers' enactment of formative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181-1210. 

  44. Gunckel, K. L., Covitt, B. A., Salinas, I., & Anderson, C. W. (2012).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in socio-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843-868. 

  45. Jin, H., & Anderson, C. W. (2012). A learning progression for energy in socio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149-1180. 

  46. Johnson, P. (2007a).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1: bo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5), 567-583. 

  47. Johnson, P. (2007b).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2: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low boiling 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6), 695-709. 

  48. Johnson, P., & Tymms, P. (2011). The emergence of a learning progression in middle school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8), 849-877. 

  49. Lehrer, R., & Schauble, L. (2009). Images of learning, images of progr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731-735. 

  50. Lehrer, R., & Schauble, L. (2012). Seeding evolutionary thinking by engaging children in modeling its foundations. Science Education, 96(4), 701-724. 

  51. Mohan, L., & Anderson, C. W. (2009, June). Teaching experiments and the carbon cycle learning progression. Paper presented at the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LeaPS) Conference, Iowa City, IA, USA. 

  52. Mohan, L., Chen, J., & Anderson, C. W. (2009). Developing a multi-year learning progression for carbon cycling in socio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75-698. 

  53. National Assessment Governing Board (2008). NAEP 2009 science framework development: issues and recommendations. Retrieved from http://www.nagb.org 

  5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Knowing what students know: The science and design of educational assessment. J. W. Pellegrino, N. Chudowsky, & R. Glaser (E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6). Systems for state science assessment. M. R. Wilson & M. W. Bertenthal (E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R. A. Duschl, H. A. Schweingruber, & A. W. Shouse (E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5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58. Oliva, P. F. (1988). Developing the curriculum (2nd ed.) Glewview, IL: Scott, Foresman and Company. 

  59. Plummer, J.D., & Krajcik, J. (2010).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768-787. 

  60. Rivet, A. E., & Kastens, K. A. (2012). Developing a construct-based assessment to examine students'analogical reasoning around physical models in earth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6), 713-743. 

  61. Saylor, J. G., Alexander, W. M., Lewis, A. J. (1981). Curriculum planning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4th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62.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s,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63. Schwarz, C.V., Reiser, B.J., Davis, E.A., Kenyon, L., Ach'er, A., Fortus, D., Shwartz, Y., Hug, B.,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64. Smith, C. L., Wiser, M., & Carraher, D. W. (2010, March). Using a comparative, longitudinal study with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est some assumptions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matter.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Philadelphia, PA. USA. 

  65. Songer, N. B., Kelcey, B., & Gotwals, A.W. (2009). How and when does complex reasoning occur? Empirically driven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gressions focused on complex reasoning about biodivers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10-631. 

  66. Stevens, S., Delgado, C., & Krajcik, J. S. (2010). Developing a hypothetical multidimensional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6), 687-715. 

  67. Taiwo, W. W., Ray, H., Motswiri, M. J., & Masene, R. (1999).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in Botswa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13-429. 

  68. Wilson, M. (2005). Constructing measures: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9. Wilson, M. (2009). Measuring Progressions: Assessment structures underlying a learning progres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716-730. 

  70. Wiser, M., Smith, C. L., & Doubler, S. (2012). Learning progressions as tools for curriculum development: Lessons from the Inquiry project. In A. C. Alonzo &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pp. 359-403). Rotterdam: Sense Publishers, The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