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 8개 핵심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탐색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3, 2017년, pp.382 - 404  

이기영 (강원대학교) ,  동효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최원호 (순천대학교) ,  권경필 (경인교육대학교) ,  이인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용진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의 서답형 문항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학 교과의 8개 핵심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실시된 NAEA 서답형 8개 문항에 대한 중학교 3학년 7,390명의 응답 결과를 전산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답안을 분석하여 수준별로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마친 후 각 평가 구인별로 5개 수준을 설정하여 구인구성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구인구성도는 발달 기반의 루브릭 형식으로 작성되었는데, 전체 학생들의 답안에 대해 수준을 부여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 또한, 평가 결과로 얻은 학생들의 점수를 평가 구인에 대한 성취 수준과 연결하기 위하여 통계적 해석으로 응답자의 점수나 성취 정도를 측정하는 Rasch 모델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Rasch 모델 적용 결과를 반영하여 구인구성도를 수정한 예비 학습발달과정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NAEA의 서답형 문항을 활용하여 학습발달과정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작성된 예비 학습발달과정이 개별 학생들 대상으로 종적으로 추적한 것이 아니므로 여전히 가설적이며 추론적이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연구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390 responses of the 9th graders on 8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NAEA c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발달과정은 무엇인가? 최근 과학 교육에서는 국내외적으로 과학 핵심개념(core concept)과 탐구 실행(inquiry practice)에 대한 학습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개발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발달과정은 과학 핵심 개념과 탐구 실행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적절한 수업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보다 정교화되어가는 가설적인 발달 경로를 기술한 것(NRC,2007; Smith et al., 2006)으로, 생물학적 성숙과 성장에 따라 저절로 얻어지는 발달이 아니라, 과학 교사의 적절한 교수활동의 도움을 받아 형성되는 발달 과정(instruction- assisted development)을의미한다(Duschl, Maeng & Sezen, 2011).
근접발달영역은 무엇인가? 학습발달과정은 기본적으로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ZPD는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교육적 도움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발달영역’이라는 의미로, 거시적인 발달 단계로부터 미시적인 특정 개념 학습에 이르기까지 적용될 수 있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비고츠키는 ZPD를 잠재적 발달의 가능성 또는 발달의 다음 영역(next zone of development)의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훌륭한 교수-학습은 ZPD를 창출함으로써 발달을 이끈다.
학습발달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학습발달과정은 학습 발달의 출발점이자 초기 이해 및 실행 수준에 해당되는 하위 정착점(lower anchor), 학습 발달의 목표점이자 기대되는 이해 및 실행 수준에 해당되는 상위 정착점(upper anchor), 그리고 적절한 교수활동의 중재를 통해 하위 정착점과 상위 정착점을 연결하는 디딤돌(stepping stones) 역할을 하는 중간단계(intermediate)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과학 학습발달과정에서 하위 정착점은 학생들의 대체 개념(alternative concept)을 포함하며, 상위 정착점은 과학적 개념(scientific concepts)을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onzo, A. C., & Gotwals, A. W. (2012).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Sense Publishers, Rotterdam: The Netherlands. 

  2. Bond, T. & Fox, C. (2007).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Mahwah, NJ: LEA. 

  3. Corcoran, T., Mosher, F. A., &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4. Corcoran, T., & Silander, M. (2009). Instruction in high schools: The evidence and the challenge. The Future of Children. America’s High Schools, 19, 157-183. 

  5.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6. Jeong, E., Kim, M., Sang, K., Kim, J. (2008). A Study on Improving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of Educational Achievement (RRE 2008-2).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7. Kim, D., Kim, D., Kim, Y., Kim, H., Lee, J., Seo, M., Jo, Y., Lee, K., Lee, I., Sim, J., Pae, J., Jung, G., Choi, W., Park, Y. (2013). A Study on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2013 (RRE 2013-4).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8. Lee, C., Nam, M., Nam, G., Park, E., Kim, H., Kwon, J., Choi, W., Lee, I., Kim, M., Song, M., Jeong, E., Park, J., Sin, M., Choi, J., Ko, E., Kim, D.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implementing, and scor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RRE 2010-6-1).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9. Lee, I., Lee, S., Kim, S., Lee, J., Seo, M., Jo, Y., Lee, K., Kim, H., Dong, H., Pae, J., Kim, S., Jung, K., Kwon, K., Lee, K.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RRE 2015-12-1).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0. Lee, I., Dong, H., Kwon, K., Choi, W., Lee, K. (2016a). An anlaysis of the results of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RRE 2016-31-4).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1. Lee, I., Dong, H., Kwon, K., Choi, W., Lee, K. (2016b). An analysis of constructed items of the 201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RRE 2016-9-4).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2. Lee, K., Maeng, S., Park, Y., Lee, J., & Oh, H. (2016c).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in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nd consequential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1), 177-190. 

  13. Maeng, S., & Lee, K. (2015). Cross-sectional item response analysis of geocognition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plate tectonics learning progressions: Rasch model.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1), 37-52. 

  14. Maeng, S., Lee, K., Park, Y., Lee, J., & Oh,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8), 703-718. 

  15. Maeng, S., Seong, Y., & Jang, S. (2013).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61-180. 

  16. Masters, G. N. (1982). A Rasch model for partial credit scoring. Psychometrika, 47(2), 149-174. 

  17. Ministry of Education. (2016). The Basic Plan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16 (2016. 1. 26.). 

  18.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In R. A. Duschl, H. A. Schweingruber, & A. W. Shouse (E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 Osborne, J., Henderson, J. B., MacPherson, A., Szu, E., Wild, A., & Yao, S.-Y. (201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rgumentation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 821-846. 

  20. Paik, N. (2006). Specification of statements on educational contents in the subject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2), 207-233. 

  21. Seong, Y., Maeng, S., & Jang, S. (2013).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cycle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with ordered multiple-choice tem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39-158. 

  22. Smith, C., Wiser, M., Anderson, C., & Krajcik, J. (2006). Implications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for Standards and Assessment: A Proposed Learning Progression for Matter and the Atomic-Molecular Theory. Measurem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Perspectives, 4(1&2), 1-98. 

  23.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Gauvain & Cole (Eds.) Read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pp. 34-40). New York, NY: Scientific American Books. 

  24. Wilson, M. (2005). Constructiong measure: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Wright, B. D., & Linacre, J. M. (1994).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3), 370. 

  26. Yeo, C., & Lee, H. (2016). Developing and assess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eco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29-43. 

  27. Yun, H., Lee, J., Kim, Y., Paik, S., & Lee, K.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content-related issues in the science curriculum. KICE Research Report, RRC 200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