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 중·고등학생의 다문화사회 인식과 다문화교육 경험이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 필요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Recogni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n Cultural Sensitiv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Perceptio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1 no.1, 2013년, pp.107 - 118  

김정현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송진숙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문희강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이명희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line the important role of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orm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ultural sensitivity for the sake of coping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how adolescents' multicultural society recognition and 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의 유의여부를 먼저 확인하기 위해 가설 2-1과 가설 2-2 를 먼저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Table 5, 6, 7), 문화적 민감성 차원 중 열린자세와 사회참여에 미치는 다문화사회 인식과 다문화교육 경험의 영향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인식의 부분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더불어 대전지역의 중·고생들이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행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지향점을 교육수요자의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세계시민자질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려는 신념, 태도, 행동 등으로 정의되는 문화적 민감성과 그 틀을 같이하고 있으며, 한 사회 내에서의 다문화현상을 넘어 세계적인 시각에서의 다문화현상에 대응하는 개인의 자질을 일컫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민감성을 국가 내 다문화 문제는 물론 세계적인 시각의 문화적 민감성으로 개념정의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문화적 민감성 구성요소들과[26] 세계시민자질의 구성요인을 함께 구성하여[17] 문화적 민감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다문화교육의 개념은 추구하는 목표나 주요 교육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학교에서 실시되는 다문화 교육은 기본적으로 문화의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의 정체성을 존중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3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교육대책의 일환으로서 자신이 속해있는 문화는 물론 다른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다문화적 인성발달의 과정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다문화교육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중·고생들의 다문화사회 인식과 다문화교육 경험이 그들의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과 다문화교육 필요성 인식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연구하는데 의미 있고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 이행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사회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인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적인 영향력만을 살펴본 기존 연구들에서 벗어나,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사회변화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이 문화적 민감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중·고등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의 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 이행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사회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인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적인 영향력만을 살펴본 기존 연구들에서 벗어나,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사회변화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이 문화적 민감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전시 중·고등학생 549명을 대상으로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현황을 파악하고 다문화사회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경험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과 영향요인들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 그러나, 학교 다문화교육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른 문화에 대한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열린 자세를 길러주는 것이다. 즉,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여러 문화 간 공존을 지지하는 태도인 문화수용능력을 함양시킴으로써, 성숙된 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문화적 민감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다문화사회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과 같은 긍정적 태도 함양은 청소년들이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데 요구되는 기본 자질이므로[22],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은 틀림없는 사실이다[12].

가설 설정

  • H1-2. 중고생의 다문화교육 경험은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중고생의 다문화사회 인식은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 민감성이란? 문화적 민감성은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려는 신념, 태도, 행동 등을 말하는 것으로[26], 다문화 연구 영역에서 다문화 수용성, 문화간 감수성, 문화간 유능성 등의 용어들과 서로 개념을 공유하면서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문화적 능력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7, 26]. 문화적 민감성은 이질적인 문화요소와 다양한 형태의 차이를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하고 조화시키는데 필요한 자질로, 타문화뿐만 아니라 자문화에 대한 개방성, 수용성, 주의성, 적응성을 포함한다[26].
문화적 민감성은 어떠한 것에 대한 필요한 자질인가? 문화적 민감성은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려는 신념, 태도, 행동 등을 말하는 것으로[26], 다문화 연구 영역에서 다문화 수용성, 문화간 감수성, 문화간 유능성 등의 용어들과 서로 개념을 공유하면서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문화적 능력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7, 26]. 문화적 민감성은 이질적인 문화요소와 다양한 형태의 차이를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하고 조화시키는데 필요한 자질로, 타문화뿐만 아니라 자문화에 대한 개방성, 수용성, 주의성, 적응성을 포함한다[26]. 따라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용어인 다문화 수용성은[7] 문화적 민감성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문화적 민감성은 문화에 따라 적절하게 행동하고 생각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문화간 감수성[9]이나 Chen 외[4]의 문화 간 의식 차원 중 문화간 민감성으로 정의한 문화차이를 알고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개인의 감정적 열망과 유사하다.
세계시민 자질의 구성요소나 측정도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어떤 측면으로 구성요소를 다루고 있는가? 세계시민 자질의 구성요소나 측정도구에 관한 많은 연구 들은 세계시민교육의 지식, 가치, 태도, 기능적인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고 하였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양한 문화나 세계적 이슈에 대한 인지와 이해능력, 다양한 문화와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 문화를 상대주의적인 관점에서 존중하는 태도, 세계적 이슈에 대한 참여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다루고 있다[3, 15, 29]. 따라서, 세계시민자질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려는 신념, 태도, 행동 등으로 정의되는 문화적 민감성과 그 틀을 같이하고 있으며, 한 사회 내에서의 다문화현상을 넘어 세계적인 시각에서의 다문화현상에 대응하는 개인의 자질을 일컫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gozzi, R. P., & Youjae,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2-1182. 

  3. Briks, H. (1997). Global citizenship and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4. Chen, G. M., & Starosta, W. J. (1996). Internati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A synthesis. Communication Yearbook, 19, 353-385. 

  5. Chu, W. J., & Hwang, H. J. (2008). How postpurchase & anticipated regrets shape a consumer's subsequent decision making-an approach on moderating role of decision making variables and the trait of transaction experiences in minimizing regret emo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9(2), 215-246. 

  6. Chung, S. H. (1997).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about the multicultr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Chung, S. W., & Jung, J. C. (2012). The e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esperience and social distanc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5(1), 51-68. 

  8.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9. Hammer, M. R., Bennett, M. J., & Wiseman, R. (2003).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7(4), 421-443. 

  10. Jeon, J. H. (2012, September 17).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xceeds fifty thousand students. Retrieved January 13, 2012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157541 

  11. Kang, J. Y. (2008). Analysis of some points of the text for "Socio-Culture" subsequent to the change into multi-cultural society. Youth Culture Publishes Forum, 18, 28-56. 

  12. Kang, S. I. (1998). An educational task on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society. Donkuk University Papers, 28, 203-228. 

  13. Kim, A. Y. (2006).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4. Kim, H. S. (2008). Migrant brides and making of a multicultural society- sociological approach to recent discourse on "Multicultural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2), 36-71. 

  15. Kim, H. W. (2002). A study on the metho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Journal of College of Education. 4(1), 73-90. 

  16. Kim, S. M. (2000). The concept of multiculural education and problems acompanied with its adaption to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4, 63-81. 

  17. Kim, S. M., & Nam, K. H. (2003). Adolescents' global citizenship.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Retrieved October 11, 2012 from http://www.nypi.re.kr/ 

  18. Kim, W. K., Park, S. G., Huh, Y. J., Hong, J. H., & Kim, J. H. (2011). Recognition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tudies, 13(1), 1-16. 

  19. Lee, D. S., Kim, J. I, & Lee, D. H. (2010). Methodological dilemmas and issues in studyi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Review, 3(1), 5-27. 

  20. Lee, J. A. (2009).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 

  21. Lee, M. H. (2004).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fathers and their percep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22. Lim, J. Y., & Oh, Y. (2010). Perception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al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10), 143-157. 

  23. Mo, K. H., & Hwang, H. W. (2007). A study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Korean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9(3), 79-100. 

  24. Ok, J. H. (2009). A study on the factor influencing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4), 191-221. 

  25. Park, S. C. (2008). School curriculum policy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1(2), 1-19. 

  26. Park, S., Lee, J., & Kim, E. (2011). Effects of the multi-cultural program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sensitivity in college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18(6), 123-145. 

  27. Park, Y. K. (2007).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reservice teachers' changes in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Centered on the cultural diversity.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9(3), 147-183. 

  28. Shin, H. J. (2007).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Shin, H. J. (2008).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qualifications for global citiz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0. Shu, C. N. (2010).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seachers and stud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ary Educaltion Studies, 58(1), 93-116. 

  31. Sleeter, C. E., & Grant, C. A. (2003).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NY: Wiley. 

  32. Smith, M., & Sherrill. (1997). How preservice teachers think about cultural diversity: A closer look book at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beliefs towards equality. Educational Foundations, 11(2), 41-61. 

  33.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8. 

  34. Tye, K. A., & Kniep, W. A. (1991). Glob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Educational Leadership, April, 47-49. 

  35. Yun, T. Y., & Lee, E. H. (2011).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a multicultural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 273-2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