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Bridges of North Korea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2, 2013년, pp.455 - 464  

한의석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인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선규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북한이 상이한 사회적 규범체계 하에 분단국가로 장기화될수록, 건설기술에 대한 이론적 기술적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남북한이 화해의 국면에서 상호 교류시, 공동으로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 도로교의 성능수준도 명확히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도로교 설계기준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비교 분석하고,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대한 표준설계 제원과 사례를 토대로 구조해석을 수행했다. 특히 남북한의 설계트럭하중에 대하여 활하중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대한 수준을 추정하였고, 이를통해 통행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남북한이 화해국면에 접어들어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거나, 더 나아가 통일국가로 준비하는 단계에서, 공통의 철근콘크리트 도로교 설계기준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North Korea continuously remains an isolated nation without social interaction with South Korea, the gaps in the theoretical and technological status in construction technology become great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fore if interac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 be made, th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 중소 교량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 도로교에 대한 북한의 설계기준과 설계사례 등을 분석하고, 남한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도로교 건설과 사용시 공통된 기준정립과 상호 통행에 대한 안전성 확보 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수행하였다. 특히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표준설계 제원 및 특성 등에 대하여, 남북한 설계기준과 설계사례 등을 토대로 비교·분석하였다.
  • 비록 장기간 상이한 규범체계 하에 군사적 대치상황 속에서 여전히 경색된 국면에 있으나, 언제든 화해의 국면이 다시 찾아올 것이고, 공동의 발전과 더 나아가 통일을 위한 많은 교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 중소 도로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대한, 남북의 설계기준을 토대로 해석적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북한의 설계기준과 표준설계 자료를 토대로,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 휨설계 수준을 분석하였고, 남북한 상이한 설계활하중의 영향도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북이 본격적으로 사회기반 인프라 시설에 대한 사회기반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통의 설계기준이 필요하게 된 계기는? 남북이 본격적으로 사회기반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통의 설계기준이 필요하게 된 것은, 2000년부터 추진된 개성공업지구 건설의일환으로 추진된 국도 1호선과 7호선의 연결공사(2003∼2004)가 시행되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상호교류에 대한 분위기에 접어들면서, 교육과학기술부는 ‘남북과학기술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하였고, 그 중 ‘남북 도로교통건설기술 공통시방서 작성’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은 언제부터 도로법을 제정하고 운수건설총서를 발행하였는가? 따라서 북한은 대외적으로 국력 및 문화발전의 수준을 보여주기 위한 상징으로 도로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노선이외에는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도로법을 제정(1997)하였고, 도로건설에 대한 설계기준 역할을 하는 운수건설총서를 발행하였다.
북한은 도로를 무엇으로 규정하였고 어떤 용도로 활용하였는가? , 2008)에 따르면, 남한은 1961년 도로법 제정이후, 도로의 구축 ․ 정비에 대한 목적을 교통 발달과 공공복리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사회간접자본시설로 추진해왔다. 이에 반해, 북한은 도로를 ‘자동차와 같은 운수 수단과 사람의 교통을 보장하기 위해 건설한 비교적 큰 길’로 규정하고, ‘도로운송은 30km이내의 단거리로 국한한다.’는 원칙 아래, 경제와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중·장거리 철도운송의 보완적 수단으로 ‘근거리 물자수송과 통행’ 용도로만 활용해왔다. 따라서 북한은 대외적으로 국력 및 문화발전의 수준을 보여주기 위한 상징으로 도로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노선이외에는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an, E.-S., Lee, I.-K., and Park, S.-K. (2013). "Study on Design Vehicle Loads of South and North Korean Highway Brid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5, No. 1, pp. 37-45 (in Korean). 

  2. Jeong, B.-S., et al. (2010).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Bridges and Temporary Facilities and Standardization of Shop Drawings, Repor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in Korean). 

  3. Kim, H.-W., et al. (1999). A Series of Transportation Construction (Road Construction), Design Specification, Industrial Publishing Company, North Korea (in Korean). 

  4. Kim, S.-W. (2008). A Study of North Korean Road Act, Repor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 (in Korean). 

  5. Koh, H.-M., et al. (2012). Bridge Design Specification (Limit States Design), Design Specificatio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in Korean). 

  6. Kwon, Y.-G., et al. (2008). Set-up of South-North Road Traffic Construction Specification, Repor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Korean). 

  7. Lim, K.-B., et al. (1999). A Series of Transportation Construction (Bridge Construction), Design Specification, Industrial Publishing Company, North Korea (in Korean). 

  8.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10). Bridge Design Specification, Design Specificatio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in Korean). 

  9. Nam, Y.-K., et al. (2000). A Explanation and Guide about Rule of the Road Structure and Facility Standard, Repor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