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간 발효 김치인 묵은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JK-17의 기능성 조사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원문보기

KSBB Journal, v.28 no.1, 2013년, pp.18 - 23  

김동선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조형우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김대한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오계헌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Initiall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solate JK-17, and the strain could be as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간 발효된 김치인 묵은지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sakei JK-17의 다양한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주를 동정하였고, 그 결과 L.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담근 김치를 2년 이상 숙성시킨 김치인, 묵은지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JK-17을 분리하여, 이 세균의 여러 가지 생화학적 특성조사를 실시하였고, 아질산염 소거, 항산화능, β-galactosidase 활성, 식중독 원인세균 들에 대한 항균활성 등의 여러가지 기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은지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으로서 묵은지는 김치와 마찬가지로 식이성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저칼로리 식품으로, 비타민 A, B, C 등을 비롯하여, 그 부재료가 가지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공급하고, 인체의 생리기능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1]. 묵은지 (Muk Eun Ji)는 400가지가 넘는 김치의 한 종류로서, 최소 6개월 이상 발효된 김치를 말한다. 묵은지는 숙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미생물과 효소의 작용으로 맛과 풍미가 생성되고 보존성도 증대되며, 이와 함께 정장작용, 항산화 효과, 항암효과 등을 포함하는 건강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묵은지가 가진 기능성 효과는 무엇인가? 묵은지 (Muk Eun Ji)는 400가지가 넘는 김치의 한 종류로서, 최소 6개월 이상 발효된 김치를 말한다. 묵은지는 숙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미생물과 효소의 작용으로 맛과 풍미가 생성되고 보존성도 증대되며, 이와 함께 정장작용, 항산화 효과, 항암효과 등을 포함하는 건강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L. sakei JK-17 배양시간을 증가시킬수록 항산화 능력은 어떻게 변하는가? 5). 분리세균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2시간 이후 측정부터 항산화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2시간 후 최종 5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wak, C. S., J. Y. Hwang, F. Watanabe, and S. C. Park (2008) Vitamin B12 contents in some korean fermented foods and edible seaweeds. Kor. J. Nutr. 41: 439-4479. 

  2. Park, G. 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 Soc. Food Nutr. 24: 169-182. 

  3. Lee, C. W., C. Y. Ko, and D. M. Ha (1992) Mi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4. Ahn, S. C., T. K. Kim, H. J. Lee, Y. J. Oh, J. S. Lee, D. O. Kang, W. K. Oh, T. I. Mheen, and J. S. Ahn. (2001)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 J. Microbiol. 37: 234-238. 

  5. Baek, H, M. S. Choi, and K. H. Oh (2012)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casei HK-9 isolated from korean rice wine, makgeolli. KSBB J. 27: 161-166. 

  6. Herich, R. and M. Levkut (2002)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and immune system. Vet. Med. 47: 169-180. 

  7. Ahn, D. K., T. W. Han, H. Y. Shin, I. N. Jin, and S. Y. Ghim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8. Vrese, M., P. Winkler, P. Pautenberg, T. Harder, C. Noah, C. Laue, S. Ott, J. Hampe, S. Schreiber, K. Heller, and J. Schrezenmeir (2006) Probiotics bacteria reduces duration and severity but not the incidence of common cold episodes in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Vaccine 24: 6670-6674. 

  9. Chon, H. S., B. R. Choi, G. J. Jeong, and I. P. Mo (2008) Evaluation system for an experimental study of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9N2) infection in specific pathogen free chickens using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KFCC 11389P. Avian pathol. 37: 593-597. 

  10. Song, Y. J., S. H. Park, J. Y. You, Y. S. Cho, and K. H. Oh (2009)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um YK-9 isolated from kimchi. KSBB J. 24: 273-278. 

  11. Benson, H. J. (1998) Microbiological Applications: Laboratory Manual in General Microbiology. 7th ed., McGraw-Hill, Inc., SF, USA. 

  12. Chun, J. W., C. W. Ma. and K. H. Oh (2005)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JK-8 isolated from shrimp aquaculture pond. Kor. J. Microbiol. 41: 18-23. 

  13. Ito, Y., M. Yodoshi, J. I. Tanaka, and M. Iwaida (1979) Comparison of two methods and improvements for colorimetic determination of nitrite in cod roe. J. Food Prot. 42: 715-718. 

  1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Tanaka, Y., A. Kagamiishi, A. Kiuchi, and T. Houiuchi (1974)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beta}$ -Galactosidase from Aspergillus oryzae. J. Biochem. 77: 241-247. 

  16. Schillinger, U. and F. K. Lucke (1989)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 isolated from meat. Appl. Environ. Microbiol. 55: 1901-1906. 

  17. Ko, J. L., C. K. Oh, M. C. Oh, and S. H. Kim (2009)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J. Kor. Soc. Food Sci. Nutr. 38: 892-901. 

  18. Esmaeilzadeh, P., S. Darvishi, K. Ebrahimi, F. mirahmadi, and M. Vaziri (2012) Consid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bility to reduce nitrite consideration in standard de man, rogosa and sharpe (MRS) broth-sodium nitrite medium during fermentation period. WASJ. 18: 430-435. 

  19. Mirvish, S. S. (1970) Kinetics of dimethylamine nitrosation in relation to nitrosamine carcinogenesis. J. Natl. Cancer Inst. 44: 633-639. 

  20. Song. Y. R., N. E. Song, J. H. Kim, Y. C. N, and S. H. Baik (2011)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J. Gen. Appl. Microbiol. 57: 169-175. 

  21. Park, S. B., J. D. Kim, N. R. Lee, J. H. Jeong, S. Y. Jeong, H. S. Lee, D. Y. Hwang, J. S. Lee, and H. J. Son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J. Life Sci. 21: 1428-143. 

  22. Borek, C. (1993) Molecular mechanisms in cancer induction and prevention. Environ. Health Perspect. 101: 237-245. 

  23. Borek, C. (1997) Antioxidants and cancer. Sci. Med. 4: 51-62. 

  24. Gutteridge, J. M. C. and P. B. Halliwell (1993) Free radicals in disease processes: a compilation of cause and consequence. Free Radic. Res. Commun. 19: 141-158. 

  25. Rhee, Y. H. and M. S. Kang (1996) Characteristic of ${\beta}$ - galactosidase activity in Lactobacillus plantrum from kimchi. Agric. Chem. Biotechnol. 39: 60-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