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과 미용효과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3 no.4, 2010년, pp.212 - 218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조혜은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전통발효공정에 따라 오미자를 발효시켜 제조한 오미자 발효액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오미자 발효액의 일반성분, 무기질 및 비타민 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 발효전의 오미자보다 탄수화물과 비타민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요 맛 성분인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에서 glucose와 fructose 함량이 발효 전의 오미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발효 전 오미자에서 검출되는 sucrose가 오미자 발효액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미자 발효액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4배 희석한 오미자 발효액 (25%)에서 79.7%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는데, 0.01%의 BHA와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다. 또한 오미자 발효액의 94.7%의 C의 경우 농노 0.1%일 때 98.1%로 보고되어 있어 오미자 발효원액(100%)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오미자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또한, 오미자 발효액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 오미자 발효원액 (100%)에서 E. coli에 대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사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50% 농도의 오미자 발효액에서 82%의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발효액의 피부 주름 예방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elastasc 저해효과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농도가 높아짐에 따려 비례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오미자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능, 항균력, 피부미용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FOB), which have not been well known up to now. General compositions and the contents of mineral and vitamin of FOB were lower than Omija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열매를 기존의 추출방법을 통한 일반 추출이 아닌 전통발효 공정을 통하여 발효시켜 생라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오미자 발효음료의 항산화 및 미용효과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음료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통발효공정에 따라 오미자를 발효시켜 제조한 오미자 발효액의 여러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오미자 발효액의 일반성분, 무기질 및 비타민 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 발효전의 오미자보다 탄수화물과 비타민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melanin 색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에 대한 오미자 발효액의 농도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Fig. 3).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

가설 설정

  • 3)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2. Cho HE, Choi YJ, and Cho EK (2010)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81-486. 

  3. Cho YJ, Ju IS, Kim BC, Lee WS, and Kim M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Appl Biol Chem 50, 198-203. 

  4. Choi OK, Kim YS, Cho GS, and Sung CK (200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Nutr 15, 300-306. 

  5. DeWitt DL, Rollins T, Day JS, Gauger JA, and Smith W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6. Doh ES, Chang JP, Lee KH, and Seong NS (2010)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255-265. 

  7. Hsu HY, Chen YP, Shen SJ, Hsu CS, Chen CC, and Chang HC (1986) Oriental matieria Medica.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pp. 624. California, USA. 

  8. Hyun KH, Kim HJ, and Jeong HC (2002)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lant Res 15, 1-7. 

  9. Ip SP, Che CT, and Ko KM (1998)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Schizandrins in enhancing liver mitochondrial glutathione status in $CCl_4$ -poisoned mice. Zhongguo Yao Li Xue Bao 19, 313-316. 

  10. James AEK, Timothy DW, and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j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ase inhibitors. Biochemistry 35, 9090-9096. 

  11. Jeong PH, Kim YS, and Shin DH (2006)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69-474. 

  12. Jung SW, Lee NY, Kim SJ, and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3.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and Hoon K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14. Kim JW, Kim DK, Park JS, Lee YK, Beik KY, and Kim SD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6, 419-426. 

  15. Kim MJ, Kim JY, Choi SW, Hong JT, and Yoon K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 15-22. 

  16. Kim NM, Lee JW, Do JH, and Yang JW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17.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and Rho J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82-1485.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19. Lee HW, Shin DH, and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0, 1-7. 

  20. Lee JS, Lee MG, and Lee SW (1989)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3-176. 

  21.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and Chung IM (2004)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22.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3. Min SH and Oh HS (2000)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Korean dried tangerine peel and development of beverage by using it. Korean J Soc Food Cookery 18, 51-56. 

  24.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grape juice mixture. Food Engineer Prog 9, 226-230. 

  25. Molokovskii DS, Davydov VV, and Tiulenev VV (1987) The action of adaptogenic plant preparations in experimental alloxan diabetes. Probi Endokrinol 35, 82-87. 

  26. Nam KA (2007) Characterization of squid sjin collagens and functionality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MS Thesis,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27. Park MS, Rim YS, and Shin SC (200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nigar. J Korean Forestry Soc 95, 453-485. 

  28. Piddock LJ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0. 

  29.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and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astase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0.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 517-519. 

  31. Ying QL, Rinehart AR, Simon SR, and Cheronis JC (1991) Inhibition of human leucocyte elastase by ursolic acid; evidence for a binding site for pentacyclic. Biochem J 277, 521-526. 

  32. Zhu M, Lin KF, Yeung RY, and Li RC (1999)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on Phase I drug metabolism using a CCl4 intoxication model. J Ethnopharmacol 67, 6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