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1 = no.87, 2013년, pp.193 - 219  

이원경 (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서은경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institutions or libraries urgently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of their websites as booting web dependability and web utilization of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guidelines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2. 강영무, 홍순구 (2011). 장애인복지관의 웹 접근성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1), 5260-5271. (Kang, Young-Moo, & Hong, Soon-Goo (2011). Websit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 5260-5271.) 

  3. 경성대학교 UDRC (2010).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Retrieved from http://www.udrc.or.kr/ver1/upload/1271032915/add/att_428126.pdf (Kyungsung University UDRC (2010). Let's know universial design. Retrieved from http://www.udrc.or.kr/ver1/upload/1271032915/add/att_428126.pdf) 

  4.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12).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통계 현황지도. . 

  5. 김영곤, 오창규 (2011). 국내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197-217.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197 (Kim, Young-Gon, & Oh, Chang-Gyu (2011).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197-217.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197) 

  6.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2.087 (Kim, Young-Ki, & Lee, Yeon-Ok (2008). Constituent analysi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87-108.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2.087) 

  7. 김용섭, 이민창, 오군석, 김영일, 이명희 (2007).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2), 197-225. (Kim, Young-Seop, Lee, Min Chang, Oh, Kun Seok, Kim, Young Il, & Lee, Myong Hee (2007). The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on web accessibility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8(2), 197-225.) 

  8. 나은주 (2005). 저시력 장애인의 웹 디자인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방안 1.0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Na, Eun-Joo (2005). A study on web design accessibility of low vision in visually handicapped people: Based on the Korean web accessibility guideline version 1.0.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9. 문현미, 신윤희 (201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 실태 및 요구분석: A도청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2), 139-160. (Moon, Hyun Mi, & Shin, Yoon Hee (2012). The current condition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web accessibility on the public institution's web-site using the KWCAG 2.0.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tation Science, 51(2), 139-160.) 

  10. 방송통신위원회 (201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지침 2.0. 한국정보통신표준 KICS.OT-10.0003/R1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0). Korea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2.0. Korean Information Communication Standard KICS.OT-10.0003/R1) 

  11.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37-290. (Bae, Kyung-Jae, & Kwak, Seung-Jin (2006). A study of developing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237-290.) 

  12. 서미라, 강희순 (2008).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제안.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8(4), 129-136. 

  13. 서은경, 김희정 (2008).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45-364.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3.345 (Seo, Eun-Gyoung, & Kim, Hee-Jung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 nation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345-364.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3.345) 

  14. 서은경, 손주영 (2012). 국내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1), 351-374.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351 (Seo, Eun-Gyoung, & Son, Ju-Young (2012). Meta analysis of the websites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351-374.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351) 

  15. 웹접근성 연구소 (2007). 웹 접근성 실태조사 조사항목 및 체크리스트. Retrieved from http://www.wah.or.kr/_Upload/pds/2007%20웹%20접근성%20실태조사%20조사항목%20및%20체크리스트.pdf 

  16. 이상헌 (2005, 12). 겉모습만 화려, 접근성은 낙제점: 언론사 사이트의 장애인 웹 접근성. 신문과 방송, 420, 168-171. Retrieved from http://www.mediagaon.or.kr/ (Lee, Sang-Heon (2005, December). Colorful surface, low web accessibility. Newspapers and Broadcasting, 420, 168-171. Retrieved from http://www.mediagaon.or.kr/) 

  17. 이중엽 (2007).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웹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2(4), 192-200. (Lee, Jong-Yeub (2007). A study of universal web user interface design for a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2(4), 192-200.) 

  18.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69-91. http://dx.doi.org/10.4275/KSLIS.2007.41.4.069 (Lee, Young-Sook (2007). A study on an information ga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69-91. http://dx.doi.org/10.4275/KSLIS.2007.41.4.069) 

  19. 장보성, 서만석, 남영준 (2012).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87-107. (Jang, Bo-Seong, Suh, Man-deok, & Nam, Young-Joon (2012). The analysis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87-107.) 

  20.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2008). 2008년 웹 접근성 평가 교육 자료집. Retrieved from http://www.ableforum.com/pnc/modules/h2_board/h2_board_filedown.php?codeh2b_material_forum&uid46.00&fid1 (Disabled People Policy Monitoring Center (2008). 2008 Evaluating Web Accessibility. Retrieved from http://www.ableforum.com/pnc/modules/h2_board/h2_board_filedown.php?codeh2b_material_forum&uid46.00&fid1) 

  21. 전종홍, 이승윤 (2011). 차세대 웹에서의 Ul/UX 기술 동향. 정보과학회지, 29(8), 9-17. (Jeon, Jong-Hong, & Lee, Seung-Yoon (2011). U1/UX technical trends of next generation web environment.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9(8), 9-17.) 

  22. 정연경, 김성진 (2008).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01-323.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3.301 (Chung, Yeon-Kyoung, & Kim, Sung-Jin (2008).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301-323.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3.301) 

  23. 조윤희 (2009).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35-352.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3.335 (Cho, Yoon-Hee (2009).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335-352.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3.335) 

  24. 한국생산성본부 (2011). 웹 표준 코딩(html). 2011 민간개발자 접근성 교육. Retrieved from http://dl.nanet.go.kr/SearchList.do?searchFlagB (Korean Productivity Center (2011). Web standard cording (html). Retrieved from http://dl.nanet.go.kr/SearchList.do?searchFlagB) 

  2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012년 무선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012). 2012 The using state survey of wireless Internet. Seoul: KISA.) 

  26. 한빛소프트 (2003).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사이트 제작. HCI 2003: IT Accessibility Workshop 발표자료. (Hanbitsoft (2003). Website design for visual disabled people. Paper presented at the HCI 2003: IT Accessibility Workshop.) 

  27. 한승희 (2011).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도서관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01-220. (Han, Seung-hee (2011). An evaluation of library websites with universal design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01-220.) 

  28. 현준호 (2008). 전자정부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현황 및 제고방안. 전자정부 포커스, 6, 25-37. Retrieved from http://www.nia.or.kr/bbs/board_list.asp?boardid201111281502566361&order010100 (Hyun, Joon-Ho (2008). Web accessibility observing survey of e-Government. e-Government Focus. 6, 25-37. Retrieved from http://www.nia.or.kr/bbs/board_list.asp?boardid201111281502566361&order010100) 

  29. Brophy, P., & Craven, J. (2007). Web accessibility. Library Trends, 55(4), 950-972. 

  30. Happer, S., & Yesilad, Y. (Eds.) (2008). Web accessibility and guidelines. In S. Happer & Y. Yesilad (Eds.), Web accessability: A foundation for research (pp. 61-78). London: Springer. 

  31. Kelly, B., Phipps, L., & Howell, C. (2005, September). Implementing a holistic approach to e-learning accessibility. Paper presented at the ALT-C 2005 Conference, Manchester. Retrieved from http://www.ukoln.ac.uk/web-focus/papers/alt-c-2005/ 

  32. Kuzma, J., Weisenborn, G., Philippe, T., Gabel, A., & Dolechek, R. (2009). Analysis of U.S. Senate web sites for disability accessi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9(6), 174-181. 

  33. Kuzma, J., & Price, C. (2009, June). Analysis of UK Parliament web sites for disability accessibility. Paper presented at the 9th European Conference on e-Government, University of Westminster, London. 

  34. Kuzma, J., Yen, D., & Oestreicher, K. (2009). Global e-government web accessibility: An empirical examination of EU, Asian and African site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ccessibility, 1-6. 

  35. McCarthy, J., & Swierenga, S. (2010). What we know about dyslexia and web accessibility: A research review.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9(2), 147-152. 

  36. Parton, B. S., Hancock, R. J., & Oescher, J. (2009). An examination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compliance: Are universities and school districts making world wide web learning resources available to the disabled. Retrieved from http://www.lifted-up.org/drbeckysueparton/sitechapter_final.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