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웹 접근성 향상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Web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5 no.4, 2014년, pp.81 - 89  

전우천 (Dept. of Comput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홍석기 (Dept. of Management, Dank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의 삶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삶 자체의 스타일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장애인들도 진보한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하지만, 정보격차라는 장벽이 존재하여 장애인들이 정보통신기술로 세상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격차를 줄여서 장애인들로 하여금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 중에서, 웹 접근성의 향상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이것은 웹이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도구들 중에서 아직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도구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인들을 위한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선방안은 기존의 웹 접근성 향상 방안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장애인들에 더 적합하게 수정하고 개선한 방안들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접근성 향상방안은 다음과 같은 원리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입력을 확인한 후 전송하게 한다. 둘째, 즉각적인 응답요구를 금지한다. 셋째, 필요하면 내용을 저장하거나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물리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다섯째,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recent advanced techniqu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our daily life has been changing very quickly and our life style has also been affected greatly. In the curr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 disabled can have a right to enjoy benefits of advanced ICT tec...

주제어

참고문헌 (14)

  1. H. Jang and W. Jun, A Study on the Solution to Digital Divide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KAIE Research Journal, Vol. 3, No. 1, pp. 201-206, 2012. 

  2.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divide, 2013. 

  3. http://www.w3.org/WAI/intro/accessibility.php, 2013. 

  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Digital Divide Index and the Current Status, Research Report NIA VIII-REF-12083, 2013. 

  5. The Human Rights Foru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2010 Web Accessibility Analysis Report, http://www.webwatch.or.kr, 2013. 

  6. I. Cho and H. Kim, The Comparison of Indicators for Selecting Familiar Labels of Information Items in Web P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2, No. 1, pp. 111-118, 2011. 

  7. W3C,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 lines, http://www.w3.org/TR/WCAG20/, 2013. 

  8. W. Jun, A Study on Development of New Guidelines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 Smart Environments, Journal of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4, pp. 1044-1053, 2013. 

  9. A. Gibbons, P. Fairweather, Computer -based Instruction: Design and Develop ment,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USA, 1998 

  10. Y. Kim and K. Oh, A Study on Current State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on General Hospital Websit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1, No. 3, pp. 87-103, 2010. 

  11. Y. Kim and S. Jeong, A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Framework for Website Development: A Case of W Bank Internet Banking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4, No. 5, pp. 87-99, 2013. 

  12. W. Lee and E. Seo,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 30, No. 1, pp. 193-219, 2013. 

  13. Y. Lee and W. Kim, A Study on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and Web Standard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Computer Information, Vol. 19, No. 2, pp. 173-182, 2014. 

  14. http://en.wikipedia.org/wiki/Fitts's_law,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