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와 학교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비교
Web Accessibility Comparison between Handicapped Person Related Web Sites and School Web Sit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 2014년, pp.365 - 370  

김황용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웹의 역할이 커져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 장애인을 위한 웹 접근성의 중요도 또한 커져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 실태를 알아보고자 학교 웹 사이트들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웹 접근성 평가 실험 결과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이 일반 학교의 웹 접근성보다 낮게 평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 웹 사이트들에 비하여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 향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ortance of Web accessability for handicapped persons is ever increasing in the information society with increasing role of the Web. The Web accessibility of handicapped person related Web sites were compared with the school Web sites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alities of handicapped person r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정작 장애인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에 대한 실태조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와 일반 학교 웹 사이트의 접근성을 조사 비교하여본다. 이는 웹 접근성이 장애인들에게 더 필요한 사항이므로 당연히 장애인 과련 사이트들이 웹 접근성 향상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한다고 생각되는데 실제 많은 웹 사이트들이 그러한 우리의 직관에 맞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을 일반 학교 사이트의 웹 접근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 결과 장애인 들이 많이 사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이 일반 학교의 웹 접근성보다 낮게 나왔다.
  • 장애인 단체의 웹 사이트는 일반인들도 사용하기는 하지만 장애인들이 일반 웹 사이트 보다 더 많이 접근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당연히 더 좋은 웹 접근성을 필요로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한 장애인 관련 단체의 웹 사이트를 선정하여 웹 접근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 본 실험 결과는 무작위로 선정한 웹 사이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수도 많지 않아 모든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는 없다. 하지만 지금 까지 여러 기관의 웹 접근성 시태조사는 있어 왔지만 장애인 관련 단체 웹사이트들에 대한 평가는 찾아보기 어려워 본 연구가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향상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은 어떤 사회에서 중요한가? 인터넷은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인프라이며 웹은 인터넷의 활용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존의 많은 서비스들이 인터넷과 웹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웹을 사용할 수 없으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인터넷과 웹이 가지는 의미는? 인터넷은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인프라이며 웹은 인터넷의 활용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존의 많은 서비스들이 인터넷과 웹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웹을 사용할 수 없으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정보사회의 발달과 함께 웹 사이트의 수도 늘어나고 장애인들이 이용하여야하는 웹 사이트들도 많아지고 있어 웹 접근성의 중요도가 커져가고 있다.
장애인들도 차별 없이 웹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을 위해 우리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처럼 인터넷과 웹의 사용이 일상화되어있는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들도 차별 없이 웹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1,2] 등을 마련하여 누구든지 신체적 기술적 여건과 관계없이 웹 사이트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고, 국제적으로도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3]를 통하여 장애를 갖은 사람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rea Web Accessibility Certification Center, http://www.kwacc.or.kr/Estimation/Manner. 

  2. Web Accessibility Lboratory, http://www. wah.or.kr/Achive/kadowah.asp 

  3. W3C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 http://www.w3.org/WAI/ 

  4. Eun-Gyoung Seo, hee-Jung Kim,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 Nation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2 no.3, 2008, pp.345-364 

  5. Doek-Gil Jeong, joung-Hun Lee, Young-Uhg Lho,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atiy of Ocianography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2008-A, 2008 May 30, pp.445-448 

  6. SoonGoo Hong, Jae-hyung Cho, Dae-Hyung Lee, Government Website Accessibility: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ystems Review, v.7 no.1, 2005, pp.81-96 

  7. ETRE, http://www.etre.com 

  8. Open-WAX, http://openwax.miya.pe.kr/ 

  9. Thompson, T., et. al., Seeking Predictors of Web Assibility in U.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Journal, Vo.XIII No. 1, 2013.4. 

  10. Thompson, T., et. al., Research on Web Accessibility in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Journal, Vo. IX No. 2, 2003.12. 

  11. Johnson, K., et. al., Web Accessability in Post-secondary Education: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Journal, Vo. IX No. 2, 2003.12. 

  12. Euteneier, L., Web-4-All: Web Accessibility Through Sight, Sound And Touch,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sabilities Journal, Vo. IX No. 2, 200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