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점포 유형에 따른 플러스 사이즈 여성의류 시장세분화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1, 2013년, pp.35 - 45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이선미 ((주) 빅앤빅) ,  고선영 (인천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the women's plus-size market by the types of store patronage, profile the segm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othing attributes and variety of plus-size apparels according to different segment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7-p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이용하는 점포 유형으로 확인된 세분시장에 대해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의 의복관여, 체형유형, 인구통계 특성의 프로파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3. 이용하는 점포 유형과 심리적 변수, 체형유형, 인구통계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된 세분 시장 간에 기존 플러스 사이즈 의류제품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특히 플러스 사이즈 시장 발전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시장세분화는 시도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성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대상으로 (1) 여성 플러스 사이즈 의류시장을 세분화하고, (2) 각 세분시장별 특성을 규명하고, (3) 세분시장별 기존 플러스 사이즈 의류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세분화 기준 변수로는 소비자 행동변수 중 가장 쉽게 드러나는 이용점포를 기준으로 하였고, 세분시장별 특성에는 소비자의 인구통계 변수, 의복관여, 신체만족도 변수를 포함하였으며 또한 신체사이즈를 직접 계측하여 비만 신체유형도 포함시켰다.
  • 세분화 기준 변수로는 소비자 행동변수 중 가장 쉽게 드러나는 이용점포를 기준으로 하였고, 세분시장별 특성에는 소비자의 인구통계 변수, 의복관여, 신체만족도 변수를 포함하였으며 또한 신체사이즈를 직접 계측하여 비만 신체유형도 포함시켰다. 세분시장별로 각 플러스 사이즈 의류속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유통경로별 플러스 사이즈 의류제품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비만여성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각 세분시장별 플러스 의류의 만족도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봄으로써 플러스 사이즈 시장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연구는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아직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플러스 사이즈 의류 시장의 발전을 위하여, 소비 만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비자 세분화를 시도하였다. 플러스사이즈 소비자가 이용하는 점포를 기준으로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여 세분시장의 심리적 특성 및 인구통계 특성의 프로파일을 제시하고 세분시장별 별 제품 속성 및 다양성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이용하는 점포유형으로 소비자를 분류하여 소비자 집단별 프로파일을 밝히고 기존 플러스 사이즈 제품속성 만족도와 다양성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아직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플러스 사이즈 의류 시장의 발전을 위하여, 소비 만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비자 세분화를 시도하였다. 플러스사이즈 소비자가 이용하는 점포를 기준으로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여 세분시장의 심리적 특성 및 인구통계 특성의 프로파일을 제시하고 세분시장별 별 제품 속성 및 다양성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판정하는가? 비만은 체내에 평균 이상의 체지방 또는 지방조직이 축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비만을 판정하는 기준은 매우 다양하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BMI(Body Mass Index)가 있다. BMI는 체중(Kg)/[키(m)]2으로 산출되며,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BMI 25.
국내 플러스 사이즈 시장은 어떠한 현황을 나타내는가? 그러나 현재 국내 플러스 사이즈 시장은 영세한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이 대부분이고, 제품 또한 플러스 사이즈 체형을 고려한 상품이기 보다는 일반 사이즈의 옷을 단순히 사이즈를 크게 만든 경우가 많다. 여성 플러스 사이즈 상품을 기획하고 생산하여 전국 매장을 통해 유통하고 있는 의류기업은 단 한 업체가 있으며, 대부분은 온라인 업체이거나 동대문 도매시장에서 사입하여 판매하는 업체들이다. 플러스 사이즈 업체들은 대부분 40대 이후의 중년 여성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스타일을 개발하고 있는 온라인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Mind the style”, 2010).
2011년 자료에 따르면 남성 비만율이 30, 40대가 가장 높았고, 여성은 60,70대가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4%로 가장 높았다(“Three out of 10”, 2011). 이는 남성은 직장인이 비만일 경우가 많은 반면,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비만인구가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K. H., Hwang, S. J., & Jung, C. J. (2010). Fashion marketing (3rd ed.). Seoul: Soohaksa. 

  2. Bae, N. K., Kwon, I. S., & Cho, Y. C. (2009). Ten year change of body mass index in Korean: 1997-2007.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8(1), 24-30. 

  3. 'Big match in big-size apparel market'. (2008, September 11). Hankookilbo.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news.hankooki.com 

  4. Choi, Y. S. (2001). A study on dissatisfaction with the fit of ready to wear related to interests in weight contro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3), 291-301. 

  5. Choo, T. G. (2002). Multiple body-image and clothing-benefit sought according to body-cathex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4(4), 376-382. 

  6. Corghan, I. T., Bronars, C., Patten, C. A., Schroeder, D. R., Nirelli, L. M., Thomas, J. L., Clark, M. M., Vickers, K. S., Foraker, R., Lane, K., Houlihan, D., Offord, K. P., & Hurt, R. D. (2006). Is smoking related to body image satisfaction, stress and self-esteem in young adul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0(3), 322-333. 

  7. Datamonitor. (2009, August 14). Company profile: Charming Shoppes, Inc. Retrieved May 17, 2011, from http://www.datamonitor.com 

  8. 'Demand exploding in big-size apparel and shoes'. (2009, October 26). ZDNet Korea.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www.zdnet.co.kr 

  9. 'Fast growing demand of big size'. (2010, September 1). The Korean Economic Magazine.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magazine.hankyung.com 

  10. Gim, W. S., & Kim, H. J. (2005). Effects of body-image on bodyrelated the consumption in femal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6(3), 27-40. 

  11. Ha, H. J. (2002).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us-siz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2. 'Heavy mind, Heavy illness'. (2011, April 12). Kyeonginilbo.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www.kyeongin.com 

  13. Hwang, J. S., & Kim, Y. H. (2006).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on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3), 143-155. 

  14. Im, K. H. (2005). A feminist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perception of physical imag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female adolescents in Korea. Health & Social Science, 17, 107-132. 

  15. 'In 20 years, obese population is forecasted to reach 3.3 billion'. (2008, November 20). Prime the Economy.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www.newsprime.co.kr 

  16. Jeon. K. S., & Park, H. J. (2008).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4), 709-721. 

  17. Kim, C. H., & Kang, D. H.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girls' obesity grade and their body image.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1(2), 39-48. 

  18. Kim, H. S., & Lee, M. H. (2008). A study on the body types of 40s, 50s, 60s of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18-629. 

  19. Ku, Y. S., & Choo, T. G. (1996). A study on clothing buying behavior by clothing involve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4(2), 173-185. 

  20. Lee, J. H. (1996).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ody shape and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Lee, J. S., & Lee, J. R. (2010).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red design of ready-made pants for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291-302. 

  22. Lee, S. H. (2000). American large-sized and mainstream-sized women's shopping experiences in apparel retail store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1), 123-138. 

  23. Lee, S. M. (2011). Consumer Satisfaction with Big-size Women's Appar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24. Lim, K. B. (2005). A study on the woma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comparative analysis of large and small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68-78. 

  25. Makino, M., Hashizume, M., Yasuhi, M., Tsuboi, K., & Dennerstein, L.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abnormal eating attitud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Japa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 203-208. 

  26. 'Mind the style rather than size in big-size women's apparel!'. (2010. July 22). The Christian Today.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www.christiantoday.co.kr 

  2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July 22). OECD health data 2009.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www.stat.co.kr. 

  28. Paik, S. Y., & Lee, S. J. (2000). A study o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1), 55-66. 

  29. Park, J. H., & Choi, T. S. (2008). The effect of body image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1(1), 117-129. 

  30. 'Producing variety of plus-sizes for big consumers'. (2005, April 9). SBS & SBSi. Retrieved April 17, 2011, from http://news.naver.com 

  31. 'Promising license diet programmer as obesity soares'. (2011. April 14). Jeongkyungnews. Retrieved April 19, 2011, from http:// www.mjknews.com 

  32. 'Skinny Korean Women'. (2011, November 15). Chosunilbo.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news.chosun.com 

  33. Smeesters, D., Mussweiller, T., & Mandel, N. (2010). The effects of thin and heavy media images on overweight and underweight consumers: social comparison process and behavioral implic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 930-949. 

  34. Song, K. J., & Kim, J. S. (1999). The effects of the body image, body distortion and the self-esteem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5), 68-79. 

  35. 'Splendid growth of big-size apparel market in the US'. (2006, June 13). Mintel reports. Retrieved May 17, 2011, from http://viscsm.blog.me/ 130128410139. 

  36. Sung, H. W. (2009). Male market segment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tail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and store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3), 390-398. 

  37. 'Three out of 10 adults are obese in Korea'. (2011, November 14). Siminilbo.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siminilbo.co.kr 

  38. 'Transformation of big-size malls. Not just big clothes!'. (2012, January 4). OSEN.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osen.mt.co.kr 

  39. Wee, E. H., & Park, W. M. (2006). Actual clothing style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their body siz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113-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