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주머니나방(Eumeta minuscula)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 및 몇 가지 약제의 차주머니방에 대한 방제효과
Leaf Damage Symptom of Grape (Vitis vinifera) by Tea Bagworm (Eumeta minuscula) and Control Efficacies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the Eumeta minuscul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1, 2013년, pp.27 - 32  

송진선 (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채민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과학과)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주머니나방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을 2012년 8월 31일 경북 영천시 금호읍에서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다. 실내에서 5종 약제[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serotype IIIa, IIIb) WP, chlorantraniliprole 5% GP, methoxyfenozide 21% SC, spinetoram 5% GP, spinosad 10% GP]를 추천농도로 포도 잎 분무처리에 의한 차주머니나방 4령충의 살충율은 spinosad 10% WG와 spinetoram 5% WG에서 각각 65% 및 70%로 높았다. 추천농도 이하에서는 치사율이 감소하였고, 엽 피해면적율은 추천농도의 1/4배 처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4령 유충에 대해 직접살포법으로 야외에서 효과조사를 한 결과는 spinetoram 5% WG와 spinosad 10% WG 처리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63.7, 55.7%였다. 따라서 포도 차주머니나방 방제를 위해 spinetoram과 spinosad의 활용가능성을 나타내었으나, 보다 효과적인 약제선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 of tea bagworms, Eumeta minuscula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from grape leaves of grape (varieties: Cambell Early and M.B.A.) from a vinery at Gumho-up, Gyeongsan, Gyeongbuk on 31 August, 2012. Activity of insecticides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serotype IIIa, IIIb) WP, ch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포도 수출단지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병해충 조사를 수행하던 중 포도에서 피해가 없었던 차주머니나방에 의한 피해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보고와 피해 확산 시 신속한 방제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포도에 피해를 주는 나방류 해충에 등록되어 있는 작 물보호제들의 살충력을 실내와 야외에서 알아보았다.
  • 따라서 포도에서 차주머니 나방이 집단 발생하여 피해를 줄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처리 가능한 방제제는 포도에 등록되어 있는 작물보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도에 등록된 작물보호제들 중 나방류에 등록된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실내 실험에서는 80% 이상의 치사율을 보이는 것들이 있었으나 야외 실험에서는 6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주머니방은 생물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차주머니방(Eumeta minuscula)은 나비목(Lepidoptera) 주머니나방과 (Psych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에 분포하고 있다(Kobayashi and Taketani, 1994; Lee and Chung, 1997; Ades and Kendrick, 2004). 차주머니나방은 잡식성 해충으로 일본에 서 24과 76종의 수목류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 은행나무나 밤나무, 벚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와 같은 유실수 등 38종의 기주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bayashi and Taketani, 1994;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5; Lee and Chung, 1997).
차주머니방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차주머니방(Eumeta minuscula)은 나비목(Lepidoptera) 주머니나방과 (Psych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에 분포하고 있다(Kobayashi and Taketani, 1994; Lee and Chung, 1997; Ades and Kendrick, 2004). 차주머니나방은 잡식성 해충으로 일본에 서 24과 76종의 수목류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 은행나무나 밤나무, 벚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와 같은 유실수 등 38종의 기주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bayashi and Taketani, 1994;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5; Lee and Chung, 1997).
차주머니나방은 언제 잎을 가해하는가? 국내에서 보고된 주머니나방류는 6종이며 차주머니나방 은 보통 1년에 1회 발생하는데 나뭇가지에 고착시킨 주머니 속에서 월동한 유충이 다음 해 봄부터 7월까지 잎을 가해하고, 성충은 5월 하순부터 8월에 성충이 되어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은 주머니에서 탈출하여 바람을 이용하여 분산한다. 이들은 10월 상순에서 중순까지 잎을 가해하고, 그 후 고치속에서 유충태로 월동한다(Kobayashi and Taketani,1994; Lee and Chung, 1997). 국내에서 포도의 재배면적은 17,445 ha이고, 생산량은 269,150톤으로, 감, 사과, 감귤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과 수작물이다(http://kosi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des, G. W. J. and R. C. Kendrick (2004) Hongkong fauna a checklist of selected texa. Kadoorie farm & Botanic Garden Corporation, Hongkong, China. 

  2. Ahn, K. S., G. S. Lee, K. H. Lee, M. K. Song, S. C. Lim and G. H. Kim (2011) Susceptibilit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rated insecticide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15:329-334. 

  3. Annlytical Software (2003) Statistix 8 user's mannual. Tallahassee, FL. pp. 369 

  4. Cha, B. J., J. S. Cha, J. H. Kim and S. K. Kim (2002) Protection methods of pest and physical problems in grape. Jungang Pub. Seoul, Korea. 

  5.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5) A list of insect pest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6. Hsiao, S. N. (2004) Special crops insects and disease. pp.569-599, In Plant protection manual. (eds. Fei, W. J., and M. Y. Wan), Taiwan Agricultural Chemicals and Toxic Substances Research Institute, Taichung, Taiwan. 

  7. KCPA (2012) User's manual of pesticide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8. Kobayashi, H. and A. Taketani (1994) Forest insect. Yokendo Ltd., Tokyo, Japan. 

  9. Lee, B. Y. and Y. J. Chung (1997) Forest insect pests in Korea. Sungandang, Seoul, Korea. 

  10. Lee, S. G., Y. D. Kwon, B. K. Kim, B. K. Byun, Y. G. Oh and B. Y. Lee (1997) Occurrence of Mahasena aurea (Butler) (Lepidoptera: Psychidae) attacking Ginkgo biloba L. and its life cycl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6:243-248. 

  11. Nishida, E. (1983) Biology and parasite complexes of two bagworms, Eumeta japonica and Eumeta minuscula (Lepidoptera, Psychidae), in Japan. Kontyu, Tokyo. 51:394-411. 

  12. Park, J. D., M. Y. Kim, S. G. Lee, S. C. Shin, J. H. Kim and I. K. Park (2009a)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ma delicatula and the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Korean J. Appl. Entomol. 48:53-57. 

  13. Park, J. D., S. C. Shin, C. S. Kim, M. J. Jeon and I. K. Park (2009b)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Obolodiplosis robiniae and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Korean J. Appl. Entomol. 48:327-333. 

  14. Shin, Y. H., S. R. Moon, C. Yoon, K. S. Ahn and G. H. Kim (2010) Insecticidal activity of 26 insecticides against eggs and nymphs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Korean J. Pestic. Sci. 14:157-1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