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 no.3, 2013년, pp.19 - 28  

구영화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  김보라 (대구대학교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 : 3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D hospital located in Busan and treated were randomly allocated to A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를 통해 과제지향적 훈련과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각각의 연구 결과는 보고되고 있지만, 과제지향적 훈련과 동작관찰 훈련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훈련과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두 치료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 되었으며,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동작관찰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중재 전․후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동작관찰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중재 전․후로 K-MBI의 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두 치료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동작관찰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중재 전․후로 K-MBI의 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에서 두 집단 모두 치료 중재를 실시하기 전․후의 K-MBI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두 집단의 비교에서 과제지향적 훈련 집단이 통계학적으로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동작관찰 훈련을 받은 집단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집단 모두 치료 중재 이후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실제 환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과제지향적 훈련군에서 더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단일 과제의 반복 훈련과 달리, 기능적인 과제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건측 사용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고 실제 과제 연습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높여준 결과로 사료된다. 향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자의 특성에 따라 과제지향적 훈련과 동작관찰 훈련의 조화로운 적용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상지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재활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상생활활동 중 식사하기, 옷 입기, 쓰기, 씻기 등과 같은 섬세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본 바탕이 되는 대부분의 활동이 상지와 손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할 때, 손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보조수단을 통하여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뇌졸중 환자의 절망감이 크다(이택영과 김장환, 2001). 상지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재활방법으로 운동훈련(exercise training), 과제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 기능적 전기 자극(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로봇 보조재활(Robotic Assisted Motor Rehabilitation), 양측성 상지 훈련(bilateral arm training)등이 있다 (유수전 등, 2011).
동작관찰 훈련이란 무엇인가? 동작관찰 훈련은 다른 사람이 수행하는 활동 또는 영상 속에 등장하는 모델의 활동에 대한 시각 및 청각 효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학습활동과 치료를 돕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서 거울신경세포 시스템(mirror neuron system; MNS)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2). 거울신경세포 (mirror neuron)란 동작을 수행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그 동작을 관찰할 때에도 활성화되는 거울과 같은 특성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원숭이 실험에서 처음 발견되었다(이문교와 김종만, 2011; Rizzolatti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종만, 양병일, 이문규(2010).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7(2), 17-24. 

  2. 김훈주(2009).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강제유도운동치료(CIMT)와 인지 -지각 훈련의 병행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3. 방대혁, 강태우, 오덕원(2012).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동작에 동작관찰훈련과 과제지향훈련의 효과 비교. 디지털 정책연구, 10(9), 409-416. 

  4. 박종한, 권용철(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의 표준화 연구- 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28(3), 508-513. 

  5. 방요순(2003). 과제 지향적 활동에 의한 뇌성마비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변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2), 87-99. 

  6. 유수전, 황기철, 김희정 등(2011). 거울매개 치료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2), 25-37. 

  7. 이문규, 김종만(2011).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물물리치료학회지, 18(2), 27-34. 

  8. 이택영, 김장환(2001). 뇌졸중 환자의 일상 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자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9(1), 25-36. 

  9. 정재훈(2009).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정한영, 박병규, 신희석 등(2007). 한글판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 283-297. 

  11. Blennerhassett J, Dite W(2004). Additional task-related practice improves mobility and upper limb function early after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 J Physiother, 50(4), 21-224. 

  12. Buccino G, Binkofaski F, Fink GR, et al (2001). Action observation activates premotor and parietal areas in a somatotopic manner: an fMRI study. Euro J Neurosci, 13(2), 400-404. 

  13. Carr JH, Shepherd RB(2003). Stroke Rehabilitation. London, Butteworth Heinemann. 

  14. Celnik P, Webster D, Glasser M, et al(2008).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on physical training after stroke. Stroke, 39, 1814-1820. 

  15. Dombovy ML(2004). Understanding strok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current and emerging approaches. Curr Neurol Neurosci Rep, 4, 31-35. 

  16. Dromerick AW, Edwards DF, Hahn M (2000). Does the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during acute rehabilitation reduce arm impairment after ischemic stroke? stroke, 31(12), 2984-2988. 

  17. Ertelt D, Small S, Solodkin A, et al (2007).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36, 164-173. 

  18. Fogassi L, Ferrari PF, Gesierich B, et al(2005). Parietal lobe: From action organization to intention under -standing. Science, 308(5722), 662-667. 

  19. Grezes J, Decety J(2001). Functional anatomy of execution, mental simulation, observation, and verb generation of actions: A meta -analysis. Human Brain Mapping, 12(1), 1-19. 

  20. Lacourse MG, Orr EI, Cramer SC, et al(2005). Brain activation during execution and motor imagery of novel and skilled sequential hand movements. NeuroImage, 27(3), 505-519. 

  21. Pedretti LW, Pendleton HM, Schultz KW (2006).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 Missouri, Mosby. 

  22. Rizzolatti G, Fadiga L, Gallese V, et al (1996). Premotor cortex and the recognition of motor actions. Brain Res Cogn Brain Res, 3(2), 131-141. 

  23. Small SL, Buccino G, Solodkin A (2012).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reatment of stroke. Dev Psychobiol, 54(3), 293-310. 

  24. Timmermans AA, Spooren AI, Kingma H, et al(2010). Influence of task-oriented training content on skilled arm-hand performance in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 and Neural Repair, 24(9), 858-870. 

  25. Trombly CA, Ma HI(2002). A synthesis of the a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I: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Am J Occup Ther, 56(3), 250-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