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선택적 과제지향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tient-Sele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2, 2014년, pp.213 - 222  

최성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신원섭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tient-sele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0 stroke subject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 스스로가 중재 방법을 선택하여 훈련을 위한 중재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재활훈련 과정에서 환자 스스로 중요하게 평가한 우선순위에 따른 과제훈련을 시행함으로써, 그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과제지향훈련 시 환자 스스로 과제를 선택하고, 훈련을 위한 중재를 제공한 경우일상생활동작 수행,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0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선택적 과제지향훈련군의 대상자들은 환자선택적 과제지향 훈련을, 전통적 과제지향훈련군의 대상자들은 전통적 과제지향훈련을 시행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뇌졸중 환자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과제지향훈련이 적절히 활용 될 수 있고, 환자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훈련을 적용함에 있어 과제를 환자 스스로가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한 과제를 수행하는 훈련을 통해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삶의 질,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선택적 과제지향훈련이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삶의 질, 우울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 각자 개개인의 요구에 따라 훈련한 환자는 보다 의욕적이고, 이것은 훈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한다(Duff 등, 2004; Siegert 등,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참여 의지를 높이기 위하여 환자 스스로가 중재 방법을 선택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 결과 우울감이 감소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중재 이후에도 우울감의 측정값이 평균 15점으로 가벼운 우울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중심의 치료적 중재란 무엇인가? 따라서 어떤 과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때 환자 개개인이 희망하는 요구를 반영한 환자중심의 접근법이 고려되어질 수 있다(Donnelly 등, 2004; Spooren 등, 2009). 환자중심의 치료적 중재는 환자의 가치관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환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치료방향 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Paek, 2010). 치료 적 중재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것은 의미 있고 목적 있는 과제를 통해 개인의 기능을 회복하거나 유지하여 자신이 처한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점이다(Fisher, 1998).
뇌졸중을 진단받은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제한은 삶의 질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로 사용된다(King, 1996). 또한, 뇌졸중을 진단 받은 18∼78%의 환자가 급성기 또는 회복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은 우울증이다(Singh 등, 2000). 우울증은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가져오고 기타 질병으로의 이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파악 되고 있다(Jung 등, 2010).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적 접근을 시행하는데 한계점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적 접근은 기능회복과 신경재구성을 목적으로 일상생활활동의 다양한 기능적 활동들을 과제로 구성하여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Carr와 Shepherd, 2003; Liepert 등, 2001). 그러나 과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해진 치료시간에 다양한 활동과제와 기능훈련을 모두 수행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어떤 과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때 환자 개개인이 희망하는 요구를 반영한 환자중심의 접근법이 고려되어질 수 있다(Donnelly 등, 2004; Spooren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ck AT, Ward CH, Mendelson M, et al.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 4(6):561-71. 

  2.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New York. Butterworth-Heinemann. 2003. 

  3. Choi EJ.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on Poststroke Pati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2. 

  4. Darrab J, Battlett D. Dynamic Systems Theory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resolved Issues. Infants and Young Children. 1995;8(1):52-9. 

  5.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6. Donnelly C, Eng JJ, Hall J, et al. Client-Centred Assessment and the Identification of Meaningful Treatment Goals for Individuals with a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2004;42(5):302-7. 

  7. Duff J, Evans MJ, Kennedy P. Goal Planning: A Retrospective Audit of Rehabilitation Process and Outcome. Clin Rehabil. 2004;18(3):275-86. 

  8. Fisher AG. Uniting Practice and Theory in an Occupational Framework. Am J Occup Ther. 1998;52(7):509-21. 

  9.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54. 

  10. Hafen K, Jastrebow J, Nubling R, et al. Development of a Patient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2001;40(1):3-11. 

  11. Hahn HM, Yum TH, Shin YW,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3):487-502. 

  12. Holmqvist LW, von Koch L. Environmental Fa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BMJ. 2001;322(7301):1501-2. 

  13. Jankowski LW, Sullivan SJ. Aerobic and Neuromuscular Training: Effect on the Capacity, Efficiency, and Fatigability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ies. Arch Phys Med Rehabil. 1990;71(7):500-4. 

  14. Jenkinson C, Coulter A, Wright L. Short Form 36 (SF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Normative Data for Adults of Working Age. BMJ. 1993;306(6890): 1437-40. 

  15. Joo MJ.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Depression and Motor Function in Stroke.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16. Jung SM, Park RJ, Ro HL. Correlation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J Kor Soc Phys Ther. 2010;22(2):31-8. 

  17. Kim BR. The Effects of After-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2. 

  18. King RB.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96;27(9): 1467-72. 

  19. Lee DJ, Shim JK, An SH. A Comparison of Different Depression Instruments for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1;23(2):69-76. 

  20. Liepert J, Uhde I, Graf S, et al. Motor Cortex Plasticity During Forced-Use Therapy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J Neurol. 2001;248(4):315-21. 

  21. Paek YS. The Transition fr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after Client Centered Occupation Therapy Intervention.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22. Park HS. Effects of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Praining on Functional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CVA Patients.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5. 

  23. Park KB, Kim ZS, Shin MS. The Cut-Off Score for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3;12(1):71-81. 

  24. Pedretti LW.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5th ed). St. Louis. Mosby. 2001. 

  25. Rensink M, Schuurmans M, Lindeman E, et al. Task-Oriented Training in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J Adv Nurs. 2009;65(4):737-54. 

  26. Siegert RJ, McPherson KM, Taylor WJ.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Goal-Setting in Rehabilitation: Is Self-Regulation Theory a Key Step?. Disabil Rehabil. 2004;26(20):1175-83. 

  27. Singh A, Black SE, Herrmann N, et al. Functional and Neuroanatomic Correlations in Poststroke Depression: The Sunnybrook Stroke Study. Stroke. 2000;31(3):637-44. 

  28. Spooren AI, Janssen-Potten YJ, Kerckhofs E, et al. Evaluation of a Task-Oriented Client-Centered Upper Extremity Skilled Performance Training Module in Persons with Tetraplegia. Spinal Cord. 2011;49(10):1049-54. 

  29. Spooren AI, Janssen-Potten YJ, Kerckhofs E, et al. Outcome of Motor Training Programmes on Arm and Hand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the ICF: A Systematic Review. J Rehabil Med. 2009;41(7): 497-505. 

  30. Suh MJ.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Acad of Nurs. 1990;20(1):88-117. 

  31. Ware JE, Kosinski M, Dewey JE, et al.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s :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001. 

  32. Williams LS, Weinberger M, Harris LE, et al.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1999;30(7):1362-69. 

  33. Won CW, Rho YG, Sunwoo D, et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 Korean Geriatr Soc. 2002;6(4): 273-80. 

  34. Yoon SH. A Study on the Outlook of Caregivers for CVA Patients with Apoplexy on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System. Kyunghe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