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골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운동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Various Exercises for Scapular Stabiliz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 no.3, 2013년, pp.51 - 62  

김명진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유진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지혁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배원식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of 20 healthy male subjects by applying various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to compared Serratus anterior and lower trapezius is change in ultrasound images. METHOD : Thirty healthy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Ultrasound imaging was recorded from the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대 정상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푸쉬 업 플러스, 벽 미끄럼,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 중 어느 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근육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푸쉬 업 플러스, 벽 미끄럼,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 중 어떤 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30명의 오른손잡이 남성을 대상으로, 모든 운동을 독립적으로 실시하여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각 근육의 운동방법에 따른 휴식 시와 운동 시 근두께 평균값과, 각 운동 시 각각의 근육 두께 차이값의 평균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운동방법에 따른 휴식 시와 운동 시 근두께의 평균값은 전거근과 하부승모근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푸쉬 업 플러스 운동과 벽 미끄럼 운동은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보다 그 두께가 낮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운동 중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방법처럼 근수축이 최대로 일어나는 지점에서 초음파 영상을 측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각각의 운동 후 근피로를 회복하기 위하여 각 운동간 휴식시간은 2분 미만으로 적용하였다(이현옥과 박두진, 2012; 전혜선 등, 2007; Nancy &Dexter, 2013).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실시간 초음파 영상을 통한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강화훈련 시 가장 효과적인 운동은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으로 나타났으며 견관절의 안정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에 대한 선택적 근력강화 방법으로서의 객관적 기준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푸쉬 업 플러스 운동과 벽 미끄럼 운동,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운동에 3 파운드의 저항을 추가한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을 동일한 사람에게 적용하여 초음파 영상장비로 견갑골 안정화에 작용하는 전거근, 하부승모근을 측정 및 비교하여 어떠한 운동이 더욱 더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강화훈련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벽 미끄럼 운동보다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근두께가 두꺼워 질 것이다.
  • 둘째, 푸쉬 업 플러스 운동보다 벽 미끄럼 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근두께가 두꺼워 질 것이다.
  • 셋째, 푸쉬 업 플러스 운동보다 견갑골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이 전거근과 하부승모근의 근두께가 두꺼워 질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쉬 업 플러스, 벽 미끄럼, 견갑골 면을 따라 움직이는 견관절 외전 저항운동 시 각각의 근 두께 평균값은 휴식시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깨 통증과 기능장애는 누구에 의해 중재되는 문제인가? 어깨 통증과 기능장애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중재되는 가장 흔한 정형의학적 문제 중의 하나이다(Oliveira 등, 2008). 인체에서 견관절은 가장 큰 움직임을 가진 관절이자 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관절이다(Morrery 등, 1998).
견관절은 인체에서 어떤 관절인가? 어깨 통증과 기능장애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중재되는 가장 흔한 정형의학적 문제 중의 하나이다(Oliveira 등, 2008). 인체에서 견관절은 가장 큰 움직임을 가진 관절이자 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관절이다(Morrery 등, 1998). Matsen과 Arntz(1990)는 어깨 불안정성이란 관절와에 대한 상완골두의 원하지 않는 병진운동을 나타내는 임상적 상태로 견관절의 기능과 안정화에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ultrasound imaging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에 초음파 영상(ultrasound imaging)은 근육의 형태를 정량화하고 근육의 수축을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어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김창용 등, 2011). 근육의 기능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근전도 측정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근육간의 선택적인 분리가 어렵고(O'Sullivan 등, 2007), 수축기에 근두께 변화를 확인하는데 초음파 영상이 보다 유용하다고 보고되고 있다(Hudges 등, 2003). 또한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비용도 다른 영상장비에 비하여 비교적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Stokes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선엽, 송우리, 장현정(2012). 하승모근 등척성 운동방법에 따른 근두께 변화량 비교 및 초음파 영상의 신뢰도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3), 31-39. 

  2. 김지혁, 이건철, 박준혁 등(2010). 지지면에 따른 Push-up plus 운동이 견갑골 안정화 근육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강과학학회지, 7(1), 1-11. 

  3. 김창용, 최종덕, 김선엽 등(2011). 외복사근과 다열근에 대한 초음파 영상과 표면 근전도 측정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1), 37-46. 

  4. 김철용, 조성현(2012). 팔굽혀펴기 운동시 안정지지면과 불안정지지면에 따른 정상 성인의 어깨 주위근육의 근화성도 비교. 대한건강과학학회지, 9(1), 1-10. 

  5. 박수경, 이현옥, 김종순 등(2005).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펴기 운동시 견갑골 주위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11(2), 71-82. 

  6. 이현옥, 박두진(2012). 네발기기 자세에서 PNF 후방흔듬 운동 시 견갑골 안정근의 근활성도.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10(3), 1-6. 

  7. 전혜선, 권오윤, 박준상(2007). 푸시업플러스 운동 시 견갑골 익상유무에 따른 어깨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2), 44-52. 

  8. Arlotta M, Lovasco G, McLean L(2011). Selective recruitment of the lower fibers of the trapezius muscle. J Electromyogr Kinesiol, 21(3), 403-410. 

  9. Bagg SD, Forrest WJ(1998). A biomechanical analysis of scapular rotation during arm abduction in the scapular plane. Am J Phys Med Rehabil, 67(6), 238-245. 

  10. Bagg SD, Forrest WJ(1986).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scapular rotators during arm abduction in the scapular plane. Am J Phys Med Rehabil, 65(3), 111-124. 

  11. Chang YW, Su FC, Wu HW, et al(1999). Optimum length of muscle contraction. Clin Biomech, 14(8), 537-542. 

  12. Chester R, Smith TO, Hooper L, et al(2010). The impact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on muscle activity patterns of the shoulder complex: A Systemic review of electromyographic studies. BMC Musculoskelet Disord, 11(1), 45. 

  13. Decker MJ, Hintermeister RA, Faber KJ, et al(1999).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during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 Am J Sports Med, 27(6), 784-791. 

  14. Ekstrom RA, Donatelli RA, Soderberg GL(2003).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s for the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J Orthop Sports Phys Ther, 33(5), 247-258. 

  15. Ellenbecker TS(2004). Clinical examination of the shoulder. St. Louis, Elsevier Saunders. 

  16. Hardwick DH, Beebe JA, McDonnell MK, el al(2006). A comparison of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ation during a wall slide exercise and other traditional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36(12), 903-910. 

  17. Hislop HJ, Montgomery J(2002).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Techniques of manual examination. Philadelphia, WB Saunders, 73-75. 

  18. Hudges PW, Pengel LH, Herbert RD, et al(2003).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Nerve, 27(6), 682-692. 

  19. Inman VT, Saunders JB, Abbott LC(1996). Observations of the function of the shoulder joint. Clin Orthop Relat Res, 330(9), 3-12. 

  20. Lear LJ, Gross MT(1998). An eletromyographical analysis of the scapular stabilizing synergists during a push-up progress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28(3), 146-157. 

  21. Lin JJ, Wu YT, Wang SF, et al(2005). Trapezius muscle imbalance in individuals suffering from frozen shoulder syndrome. Clin Rheumatol, 24(6), 569-575. 

  22. Ludewig PM, Cook TM(2000). Alterations in shoulder kinematics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symptoms of shoulder impinge ment. Phys Ther, 80(3), 276-291. 

  23. Ludewig PM, Hoff MS, Osowski EE, et al(2004). Relative balance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during push-up exercise. AM J Sports Med, 32(2), 484-493. 

  24. Matsen FA, Arntz CT(1990). Subacromial impingement.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5. McClure PW, Bialker J, Neff N, et al(2004). Shoulder function and 3-dimensional kinematics in people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before and after a 6-week exercise program. Phys Ther, 84(9), 832-848. 

  26. Morrery BF, Itoi E, An KA(1998). Biomechanics of the shoulder. Philadelphia, WB Saunders. 

  27. Moseley JJ, Jobe FW, Pink M, et al(1992). EMG analysis of the scapular muscles during a shoulder rehabilitation program. Am J sports med, 20(2), 128-134. 

  28. Mottram, SL(1997). Dynamic stability of the scapula. Man Ther, 2(3), 123-131. 

  29. Nancy RT, Dexter WW(2013). Ultrasound imaging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t rest and during contraction. Clin Physiol Funct Imaging, 33(3), 192-200. 

  30. Oliveira AS, Morais CM, Brum DP(2008). Activation of the shoulder and arm muscles during axial load exercises on a stable base of support and on a medicine ball. J Electromyogr Kinesiol, 18(3), 472-479. 

  31. O'Sullivan C, Bentman S, Bennett K, et al(2007).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Technical description and relia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37(10), 620-626. 

  32. Stokes M, Hides J, Elliort J, et al(2007).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of the posterior paraspinal muscle. J Orthop Sports Phys Ther, 37(10), 581-595. 

  33. Tucker WS, Armstrong CW, Gribble PA, et al(2010). Scapular muscle activity in overhead athletes with symptoms of secondary shoulder impingement during closed chai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91(4), 550-5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