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벼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뛰어나고 항산화력이 우수한 품종인 홍진주벼와 흑광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력 향상을 위한 열처리법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큰눈벼와 대조품종인 화성벼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홍진주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0^{\circ}C$의 열처리 조건에서 $6.50{\pm}0.32$ mg GAE/g(대조군의 약 23%)으로 가장 높았고, 흑광벼는 $40^{\circ}C$$180^{\circ}C$의 열처리 조건에서 각각 6.57 mg GAE/g(대조군의 약 14%)과 6.89 mg GAE/g(대조군의 약 20%)의 높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처리를 실시한 시료에 대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는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서도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와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열처리에 따른 반응은 식물의 종류 및 열처리 방법에 따라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열처리 방법을 통하여 홍진주벼 및 흑광벼의 항산화력이 상당히 증가되었던 연구 결과는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본 실험에서 확인된 열처리 효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열처리 방식, 온도 및 열처리 시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한다면 더욱 효율적으로 유리형의 폴리페놀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색미식품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phenolic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rious rice cultivars (from Hwaseongbyeo, Keunnunbyeo, Hongjinjubyeo, and Heugkwangbyeo) were investigated. Each brown rice cultivar was heated at six temperatures (40, 60, 90, 120, 15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유색미를 대상으로 가열처리 온도를 다르게 하여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벼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뛰어나고 항산화력이 우수한 품종인 홍진주벼와 흑광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력 향상을 위한 열처리법 개발을 위하여 수행 되었으며,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큰눈벼와 대조품종인 화성벼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홍진주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0°C의 열처리 조건에서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 호분층에 폴리페놀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적갈색 및 흑자색 계통의 유색미의 특징은? )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아프리카 및 미주지역에서 오랫동안 주요 에너지 공급원으로써 소비되어지고 있는 주요 작물이며 최근에는 쌀의 미강 및 배아에 phenolic acid, tocopherol, phytic acid, oryzanol 등의 유용한 성분들이 분포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쌀을 도정하지 않은 현미(whole grain)의 형태로 소비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미 호분층에 폴리페놀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적갈색과 흑자색 계통의 유색미는 일반미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미보다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종자의 바깥층을 싸고 있는 껍질 부분은 색을 나타낼 뿐 아니라 세균, 농약, 포식자로부터 방어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페놀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2), 식물체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을 환원시켜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암 및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열처리 가공법이 과채류의 비타민 C를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이유는? 열처리 가공법은 과채류의 vitamin C 함량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지만 식품의 저장수명을 연장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열처리가 일어나는 동안 식물체 내의 이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페놀성 화합물이 증가된다는 연구 결과(5)가 보고됨에 따라 현재에는 다양한 소재에 대하여 열처리가 시도되고 있다(6-8). Turkmen 등 (9)에 따르면 7가지 녹색채소를 대상으로 boiling, steaming, microwaving 등의 다양한 열처리를 하였을 때 채소의 종류 및 열처리 방법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르게 변화하였으며, 증가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항산화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유색미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현미 호분층에 폴리페놀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적갈색과 흑자색 계통의 유색미는 일반미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미보다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종자의 바깥층을 싸고 있는 껍질 부분은 색을 나타낼 뿐 아니라 세균, 농약, 포식자로부터 방어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페놀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2), 식물체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을 환원시켜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암 및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따라서 근래에는 쌀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이 강화된 유색미의 수요가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유색미의 산업적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소화를 돕고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발아현미를 이용한 항산화 작용 관련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i HC, Oh SK. 1996.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Korean J Crop Sci 41: 1-9. 

  2. Hartley RD, Morrison WH, Himmelsbach DS, Borneman WS. 1990. Cross-linking of cell wall phenolics to arabinoxylans in graminaceous plants. Phytochemistry 29: 3705-3709. 

  3. Temple NJ. 2000. Antioxidants and disease: More questions than answers. Nutr Res 20: 449-459. 

  4. Kim DJ, Oh SK, Yoon MR, Chun AR, Choi IS, Lee DH, Lee JS, Yu KW, Kim YK. 2011. The change in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81-789. 

  5.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6.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7. Woo KS, Hwang IG, Noh YH,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89-695. 

  8. Chandrasekara N, Shahidi F. 2011. Effect of roasting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ole cashew nuts, kernels, and testa. J Agric Food Chem 59: 5006-5014. 

  9.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2005.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 713-718. 

  10.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11.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2.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3. Tepe B, Sokmen M, Akpulat HA, Sokmen A. 2006.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six Salvia species from Turkey. Food Chem 95: 200-204. 

  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5.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6. Kim DJ, Oh SK, Yoon MR, Chun AR, Hong HC, Lee JS, Kim YK.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67-473. 

  17. Sellappan S, Akoh CC, Krewer G. 2002.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eorgia-grown blueberries and blackberries. J Agric Food Chem 50: 2432-2438. 

  18. Sohn HY, Kwon CS, Son KH, Kwon GS, Kwon YS, Ryu HY, Kum EJ. 2005.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brand of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93-598. 

  19. Lee SC, Kim JH, Jeong SM, Kim DR, Ha JU, Nam KC, Ahn DU.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20. Francisco MLLD, Resurreccion AVA. 2009.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heat-treated peanut skins. J Food Compos Anal 22: 16-24. 

  21. Ross CF, Hoye C Jr, Fernandez-Plotka VC. 2011. Influence of heating on the poly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flour. J Food Sci 76: C884-C890. 

  22. Kim WM, Lee YS. 2007.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3: 178-185. 

  23. Hong MJ, Lee GD, Kim HK, Kwon JH. 1998.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13-418. 

  24. Rye KC, Chung HW, Lee GD, Kwon JH. 1997. Color changes and optimization of organoleptic properties of roasted Polygonatum odoratum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831-837. 

  25. Yu JS, Woo KS, Kwang IG, Chang YD, Jeong JH, Lee CH, Jeong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panfir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47-652. 

  26. Woo KS, Song SB, Oh BG, Seo MC, Ko JY, Lee JS, Kang JR, Nam MH, Jeong H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with pretreatm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79-1283. 

  27. Xu B, Chang SKC. 2009. Total phenolic, phenolic acid, anthocyanin, flavan-3-ol, and flavonol profil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into and black beans (Phaseolus vulgaris L.) as affected by thermal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57: 4754-4764. 

  28. Woo KS, Jang KI, Kim KY, Lee HB, Jeong HS.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55-360. 

  29.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Influence of applied pressure and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leaves from Achillea alpin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Korean J Plant Res 23: 123-130. 

  30. Choi Y, Kim M,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31. Lee SH, Lee YR,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Jeong H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ough rice tea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time and leaching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86-391. 

  32. Shin SH, Chung NJ. 2011. Vari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ull and bran extracts in different colored rices. Kor J Breed Sci 43: 218-224. 

  33. Duh PD, Yen GC, Yen WJ, Chang LW. 2001.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barley (Hordeum vulgare L.) prepared under different roasting temperatures. J Agric Food Chem 49: 1455-14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