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로부터 Phytate 분해 유산균 선별 및 현미에서 반응특성
Selection of Phytate-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Reaction Properties in Brown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627 - 632  

박성희 (세계김치연구소) ,  양소영 (세계김치연구소) ,  이종희 (세계김치연구소) ,  강미란 (세계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hytate를 myo-inositol과 무기태인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인 phyt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현미의 phytate 저감 최적 온도 및 pH에 관한 것이다. 먼저 phytase 활성 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phytase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및 선발하고 내산성과 내열성 실험으로 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당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sequence 분석으로 L. sakei가 동정되어 이 균주를 L. sakei Wikim001으로 명명하였다. L. sakei Wikim001에 의한 현미의 phytate 분해능을 확인하였으며, L. sakei Wikim001의 현미의 phytate 분해의 적정반응 pH는 5.0~6.5이며 온도는 $30{\sim}40^{\circ}C$.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levels of an extracellular phytase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found to be produced from a bacterial strain of Lactobacillus sakei (designated as L. sakei Wikim001). Phytase activity was measured from liberated inorganic phosphate obtained by a modification of the ammonium molybdate metho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최근 웰빙(well-being)과 함께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현미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현미에 김치에서 분리한 phytase 활성 우수Lactobacillus(L.) sakei wikim001 균주 첨가를 통한 발효에 의한 현미의 phytate 함량 변화 및 적정 발효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phytate를 myo-inositol과 무기태인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인 phyt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현미의 phytate 저감 최적 온도 및 pH에 관한 것이다. 먼저 phytase 활성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phytase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및 선발하고 내산성과 내열성 실험으로 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당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sequence분석으로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ytase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식품에서 phytate의 제거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하며, phytase를 사용하여 식품 중의 phytate 함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1). Phytase는 phytate를 분해하여 myo-inositol과 무기태인을 형성하게 하는 효소로서 식품, 동물의 장관 및 미생물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곡류에 인의 주요 저장 형태는 무엇이 존재하는가? 곡류에는 인의 주요 저장 형태로 inositol에 6개의 인산기가 결합된 인산 ester 구조의 phytate(myo-inositol hexakisphosphate)가 존재한다. Phytate는 킬레이트 활성에 의하여 중금속 제거, 항암작용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도 보고되어 있으나, 호소(湖沼)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물질이며 생체 내에서 Mg, Ca, Fe, Zn 등의 무기질이나 영양 성분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항영양인자(antinutrient)로도 작용한다.
식품에서 phytate의 제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곡류에는 인의 주요 저장 형태로 inositol에 6개의 인산기가 결합된 인산 ester 구조의 phytate(myo-inositol hexakisphosphate)가 존재한다. Phytate는 킬레이트 활성에 의하여 중금속 제거, 항암작용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도 보고되어 있으나, 호소(湖沼)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물질이며 생체 내에서 Mg, Ca, Fe, Zn 등의 무기질이나 영양 성분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항영양인자(antinutrient)로도 작용한다. 그러므로 식품에서 phytate의 제거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하며, phytase를 사용하여 식품 중의 phytate 함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In MJ, Choi SY, Kim HR, Park DB, Oh NS, Kim DC. 2009. Acid production and phytase degradation using a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strain in saccharified-rice suspension. J Appl Biol Chem 52: 33-37. 

  2. Lee SH, Kwon HS, Koo KT, Kang BH, Kim TY. 2006.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coagulans IDCC 1201.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8-34. 

  3. De Angelis M, Gallo G, Corbo MR, McSweeney PL, Faccia M, Giovine M, Gobbetti M. 2003. Phytase activity in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hytase from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CB1. Int J Food Microbiol 87: 259-270. 

  4. Wodzinski RJ, Ullah AH. 1996. Phytase. Adv Appl Microbiol 42: 263-302. 

  5. Kim SJ.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0: 337-340. 

  6. Kong CS, Kim DK, Rhee SH, Rho CW, Hwang HJ, Choi KL, Park KY. 2005.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11-316. 

  7. Shirai K, Revah-Moiseev S, Garcia-Garibay M, Marshall VM. 1994. Ability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to degrade phytic acid. Lett Appl Microbiol 19: 366-369. 

  8. Yang SY, Song MD, Kim CW, Yu JH, Chung KC. 2001. Isolation and application of phytate-hydrolysing lactic acid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195-200. 

  9. Moore RJ, Veum TL. 1983. Effect of source and level of dietary yeast product on phytate phosphorus utilization by rats fed low phosphorus diets. Nutr Rep Intl 27: 1267-1275. 

  10. In MJ, Seo SW, Oh NS. 2008. Fermentativ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cid phyta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Y strain. Afr J Biotechnol 7: 3115-3120. 

  11. Nahashon SN, Nakaue HS, Mirosh LW. 1994. Phytase activity, phosphorus and calcium retention, and performance of single comb White Leghorn layers fed diets containing two levels of available phosphorus and supplemented with direct-fed microbials. Poult Sci 73: 1552-1562. 

  12. Kim EY, Kim YH, Rhee MH, Song JC, Lee KW, Kim KS, Lee SP, Lee IS, Park SC. 2007. Selection of Lactobacillus sp. PSC101 that produces active dietary enzymes such as amylase, lipase, phytase and protease in pigs. J Gen Appl Microbiol 53: 111-117. 

  13. Reale A, Konietzny U, Coppola R, Sorrentino E, Greiner R. 2007. The impor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hytate degradation during cereal dough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55: 2993-2997. 

  14. Huang LS, Sok DE, Kim HC, Yoon WK, Kim HM, Kim MR. 2006. Phytate determination in various cultivars of Korean rice. J Food Sci Nutr 11: 67-72. 

  15. Yang Y, Tao WY, Liu YJ, Zhu F. 2008.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by lactic acid bacteria stater cultures in rice fermentation. Food Control 19: 159-161. 

  16. Quan C, Zhang L, Wang Y, Ohta Y. 2001. Production of phytase in a low phosphate medium by a novel yeast Candida krusei . J Biosci Bioeng 92: 154-160. 

  17. Shimizu M.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subtilis (natto) N-77. Biosci Biotechnol Biochem 56: 1266-1269. 

  18. Oh BC, Choi WC, Park S, Kim YO, Oh TK. 2004. Biochemical properties and substrate specificities of alkaline and histidine acid phytas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362-372. 

  19. Seo SW, In MJ, Oh NS. 2005. Production and reaction properties of phyta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Y strai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28-232. 

  20. Lee SH, Yang EH, Kwon HS, Kang JH, Kang BH. 2008.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 isolated from infant fec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121-127. 

  21. Sandine WE, Muralidhara KS, Elliker PR, England DC. 1972.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and health: a re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as well as certain enteric diseases and their treatment with antibiotics and lactobacilli. J Milk Food Technol 35: 691-702. 

  22. Kim HJ, Chang HC.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23. Gilliland SE. 1990.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from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Rev 7: 175-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