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질 성장의 미래 변화 예측을 위한 정보변수
Information Variables for the Predictability of Future Changes in Real Growth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2, 2013년, pp.253 - 265  

김태호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정재화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김민정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특정 정책이나 전략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정부가 최종 목표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워서 정책수단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력만 발휘하게 되므로 최종 목표의 미래 동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변수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금리의 기간구조는 미래 경기 동향의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단기 금리차가 장기 시계에서 실질 성장의 누적변화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통계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interested in developing useful information variables that are able to predict the future movement of final objects to attain the specific policy and strategic target.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is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future business and economic activity, y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단기 금리차가 미래의 성장에 대한 정보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간구조를 적용시켜 이들이 미래의 성장에 대해 예측력을 갖는지, 얼마나 가까운 그리고 먼 미래에 대해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지 추정하고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앞의 표에서 사용된 장단기 금리차가 각각 실질 GDP의 누적변화에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 것은 다른 기간구조를 가진 변수들이 모형에 함께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이들의 성향이 갖는 정보가 사용된 변수에 내재된 결과 나타난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른 기간구조의 금리차를 함께 설명변수로 사용해도 현 설명변수가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지 아니면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기로 한다. 각각 사용될 때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 변수들이 함께 포함되어도 유의하다면 각 기간구조가 특유의 자체 예측력을 보유한다는 의미이다.
  • 특정 변수가 정보변수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유의한 선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예측력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실제의 장단기 금리차가 실질 성장에 예측력을 갖는지, 즉 장단기 금리차만으로도 미래의 성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를 검정한다. 시차별 회귀분석이 주로 종속변수의 한계변동에 대한 독립변수의 시차별 예측력을 추정하는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앞의 연구들을 참고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누적변동치에 대한 금리차의 예측력을 추정하며 아래와 같은 연률화된 누적변화율을 사용하기로 한다.
  • 미래의 실질 성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특정 금리차가 주는 정보에 더해 다른 성향의 금리차가 주는 추가적인 정보도 존재하는가 검정하기로 하며, 별도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의 비교가치를 판별해 보기로 한다. 따라서 원래의 회귀방정식에 아래와 같이 다른 금리차를 추가하여 두 변수가 다양한 예측시계에서 지속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수를 갖는지를 검정한다.
  • 장단기 금리차는 미래 경기동향의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경기 예측을 위한 선행지표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간구조를 가진 국내 장단기 금리차가 실질 성장의 누적변화에 대해 다양한 시계에서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지 통계적으로 검정해 보았다. 시차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장단기 금리차가 미래의 누적 성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검정되어 현 시점의 금리차가 미래의 성장 및 경기동향 예측에 유용한 정보 변수 임이 입증된다.
  • 장단기 금리차의 경기 예측력을 결정하는 데는 적절한 장단기 금리차의 선택과 필요한 시계열자료의 확보 등 여러 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단기 금리차가 미래의 성장에 대한 정보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간구조를 적용시켜 이들이 미래의 성장에 대해 예측력을 갖는지, 얼마나 가까운 그리고 먼 미래에 대해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지 추정하고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여기서 eit = (eit, · , eNt)′는 N × 1 교란항, 또 λi(L)과 β(L)은 다항시차이고 E(ϵt+1|ft, yt, xt, ft−1, yt−1, xt−1, . . .) = 0을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 예측의 중요성이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폐해가 모든 분야에 걸쳐 확산됨에 따라 경기 예측의 중요성이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특히 국내 경기순환의 주기가 전에 비해 짧아지고 불규칙해 예측이 어려워졌으며 이에 따라 현실 상황에 적합한 정책 목표의 달성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GDP성장률은 무엇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가? GDP는 가장 대표적인 실물경제지표로 전체 성장을 나타내는 참고변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GDP성장률은 경기변동과 단·장기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Moon, 2011; Baek과 Kim, 2012). GDP는 다른 복합경기지표 보다도 현실상황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료가 분기별로 발표되므로 관측값이 충분하지 않거나 월 변동을 분석할 때는 통계청의 월간 산업동향에서 발표되는 산업생산지수나 경기동행지수 등을 대체지표로 흔히 사용한다.
장단기 금리차만으로도 미래의 성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를 검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정 변수가 정보변수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유의한 선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예측력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실제의 장단기 금리차가 실질 성장에 예측력을 갖는지, 즉 장단기 금리차만으로도 미래의 성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를 검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k, M. and Kim, W. (2012). Investigation on Granger causality between economic growth and demand for electricity in Korea: Using quarterly dat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5, 89-99. 

  2. Boldin, M. D. (1994). Dating turning points in the business cycle, Journal of Business, 67, 97-131. 

  3. Estrella, A. and Mishkin, F. S. (1996). The yield curve as a predictor of U.S. recession, Current Issues in Economics and Finance, 2, 1-6. 

  4. Estrella, A. and Mishkin, F. S. (1998). Predicting U.S. recessions: Financial variables as leading indicator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 45-61. 

  5. Granger, C. W. J. (1986). Development in the study of cointegrated economic variable,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8, 213-228. 

  6. Harvey, C. R. (1988). The real term structure and consumption growth,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2, 305-333. 

  7. Kim, J., Kim, D. and Jung, I. (2011). Analyzing factors of changes in interest rate term structure, BOK Economy Brief, Bank of Korea, 2011-2. 

  8. Kim, T. H. and Song, D. S. (2009). The term structure and predicting the domestic recession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2, 249-260. 

  9. Kim, Y., Park, Y. S. and Lee, J.-J. (2004). An empirical test on the effectiveness of market timing strategies based on term premiums, Korea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33, 135-173. 

  10. Lee, H.-S. (2010). A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economy by the long and short term interest spread of KRW interest rate swap,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3, 3247-3269. 

  11. Lee, M. H. (1996). Role of long and short-run interest rate in monetary policy, The Bank of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conomic Papers, 2, 107-132. 

  12. Moon, H. (2011). Construction of an economic sentiment indicator for the Korean econom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745-758. 

  13. Newey, W. K. and West, K. D. (1987). A Simple positive semi-definite, heterosk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consistent covariance matrix, Econometrica, 55, 703-708. 

  14. Oh, J. (1997). Interest rate spreads and monetary policy in Korea, The Bank of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conomic Papers, 3, 1-46. 

  15. Resnick, B. G. and Shoesmith, G. L. (2002). Using the yield curve to time the stock market, Financial Analysts Journal, 58, 82-90. 

  16. Rudebusch, G. D., Sack, B. P. and Swanson, E. T. (2007). Macro-economic implications of changes in the term premium,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view, 89, 241-269. 

  17. Smith, J. and Naylor, R. (2001). Determining of degree performance in UK universitie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1993 student cohort,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 29-60. 

  18. Stock, J. H. and Watson, M. W. (1996). Evidence on structural instability in macroeconomic time series relations,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14, 11-30. 

  19. Stock, J. H. and Watson, M. W. (2002a). Macroeconomic forecasting using diffusion indexes,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20, 147-162. 

  20. Stock, J. H. and Watson, M. W. (2002b). Forecasting using principal components from a large number of predictor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7, 1167-1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