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재가 암환자의 암증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자기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Program on Cancer Symptom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Empowerment in Home-based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1, 2013년, pp.50 - 63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정 (계명문화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Method: We developed an 8-week empowerment program to decrease cancer symptoms and increas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empowerment. This program includes aspects concerning self-knowledg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이 재가 암환자의 암증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역량 강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암환자를 위한 총 8주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재가암환자의 암 증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자기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인 재가암환자들의 자기역량을 강화시켜 자기건강관리 능력의 증진과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재가암환자의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암 증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자기역량 강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최종 개발된 재가 암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은 자신과 질병 알기,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웃음치료, 자기옹호(스트레스 관리, 대인관계 능력 함양), 자원연계, 자조집단 구성 및 확장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에 있는 1개 보건소를 선정하여 담당공무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로 등록된 저소득층 재가암환자 중에서 방문간호사가 방문간호 시에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때는 언제든지 철회 할 수 있음을 공지한 뒤, 참여하고자 희망하는 대상자에 한해 서명 동의를 받았다.
  •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인 저소득층 재가암환자들이 가진 다양한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의 증진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상자들이 작성한 행동체크리스트에 대해 칭찬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동료 간의 지지와 격려 등의 내용들이 포함되었지만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부족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4가지 자원 즉,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신체적·정신적 각성 중에서 자기효능감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원이 성취경험이므로(Bandura, 1997), 저소득층 재가암환자를 위한 자기 역량강화프로그램에 성취경험의 자원을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인 재가 암환자들을 위한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함으로써 재가 암환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사업 대상인 저소득층 재가 암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재가 암환자에게 적용한 후 암증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자기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재가 암환자의 사회복귀 및 삶의 질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발된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저소득층 재가암환자를 위한 총 8주의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 적용 후 재가 암환자의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으나 암 증상, 자기효능감과 자기역량 강화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가암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에 암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역량 강화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보완한 재연구와 자기역량강화프로그램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적정 중재기간에 대한 추후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기역량 강화란? 자기역량 강화는 대상자가 가진 문제와 결핍을 확인하고 다루는 것보다는 대상자의 가능성과 강점을 언급하는 긍정적인 개념이며 대상자의 무력감과 무능력감을 극복하여 힘을 가진 상태로 이동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Sigurdardotti & Jonsdottir, 2007). 특히 자기역량 강화는 만성질환자들의 내적 동기화를 자극하는 전략으로 대상자의 질병관리에 대한 동기를 증진시키고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Lee, Choi & Hwang, 2003).
만성질환자들에게 자기역량 강화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자기역량 강화는 대상자가 가진 문제와 결핍을 확인하고 다루는 것보다는 대상자의 가능성과 강점을 언급하는 긍정적인 개념이며 대상자의 무력감과 무능력감을 극복하여 힘을 가진 상태로 이동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Sigurdardotti & Jonsdottir, 2007). 특히 자기역량 강화는 만성질환자들의 내적 동기화를 자극하는 전략으로 대상자의 질병관리에 대한 동기를 증진시키고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Lee, Choi & Hwang, 2003). 자기역량이 강화된 만성질환자들은 질병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증진되고 치료에 책임감을 가지고 치료 목적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Varekamp,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Kim, K. Y., Kim, G. Y., & Song, H. Y. (2010).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health quality of life,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are competency, and reasonable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low income wome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ublic Health Nursing, 24(2), 237-248. 

  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3. Brown, C., Bornstein, E., & Wilcox, C. (2012). Partnership and empowerment program: a model for patient-centered, comprehensive, and cost-effectiv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1), 15-17. 

  4. Cha, J. E. (1996).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hang, A. K., & Park, Y. H. (2012).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the adjustment of old adults to nursing home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4), 559-567. 

  6. Falk-Rafael, A. (2001). Empowerment as a process of evolving consciousness: a model of empowered caring. Advanced Nursing Science, 24(1), 1-16. 

  7. Ha, J. S., & Bae, K. E. (2008).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o promote empowerment and self-advocacy of the mentally disabled person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1(1), 73-83. 

  8. Hwang, S. Y., Park, B. W., & Lee, K. S. (2001). A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61(4), 357-363. 

  9.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 ability. Yonsei Nonchang, 1, 107-130. 

  10. Kim, A. Y. (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1-19. 

  11. Kim, H. M. (2005). The effect of the solution focu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low-incom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1), 5-12. 

  12. Ko, K. H., Yang, S. H., Kim, Y. A., Kwon, M. S., Bang, S. H., Lee, J. M., Jeon, H. H., & Ahn, H. N. (2008).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for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on their empowerment and internalized stigm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4), 491-499. 

  13. Kong, H. K., & Lee, H. J. (2008).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3), 406-417. 

  14. Kwak, J. Y. (2005). The study on the empowerment process in disabl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Lee, B. Y., Jo, H. S., & Kwon, M. S. (2010).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ublic Health Nursing, 24(1), 49-60 

  16. Lee, E. N., Choi, E. O., & Hwang, E. J. (2003). The effects of a self-help empowerment strategy program on the empowerment and health statu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3), 393-401. 

  17. Lee, S. H., & Jun, S. S. (2012).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4), 311-320.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The guidance of tailor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eoul : Author.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January).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Web site: http://www.index.go.kr/egams/ 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 idx_cd2770 

  20. Ohem, M. S. (2003).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the urban poor through self-advocacy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1. Park, H. M., & Lee, H. S. (2010).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self-efficacy, self-care agency, self-care activitie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3(2), 151-160. 

  22.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ublic Health Nursing, 26(3), 491-503. 

  23. Parsons, R. J. (1994). Empowerment based social work practice: a study of process and outcome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41st annual program meeting,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San Diego, CA.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Pena-Purcell, N., Boggess, M., & Jimenez, N. (2011). An empowerment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hispanic/latinos. The Diabetes Educator, 37(6), 770-779. 

  26. Sigurdardotti, A. S., & Jonsdottir, H. (2007). Empowerment in diabetes care: towards measuring empowerment.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2(2), 284-291. 

  27. Stang, I., & Mittekmark, M. (2009). Learning as an empowerment process in breast cancer self help group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14), 2049-2057. 

  28. Tanner, E. K. (2005). Recognizing late-life depression: why is this important for nurses in the home setting? Geriatric Nursing, 26(3), 145-149. 

  29. Varekamp, I., Heutink, A., Landman, S., Koning, C. E., Vries, G., & Dijk, F. H. (2009). Facilitating empowerment in employees with chronic diseas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cess of change.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9, 398-408. 

  30. Yang, S. J. (2009).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empowerment,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