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우의(雨衣) 연구
A Study on Raincoats in Jose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3, 2013년, pp.124 - 137  

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d to ge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ncoats in Joseon by searching through historic records: the Annals of Joseon(朝鮮王朝實錄), personal or official records, paintings, etc.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covers the entire period of Joseon. There were two prime ty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유삼은 어떻게 만든 것을 부르는 말인가? 유삼은 종이나 목면 바탕에 기름을 먹여서 만들며, 종이로 만든 것은 지유삼(紙油衫), 목면으로 만든 것은 목유삼(木油衫)이라고 했다. 지유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고급에 속하는 목면유삼은 청색 목면으로 만들었다.
눈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 착용하는 장비는 조선 시대 문헌에 어떠한 용어들로 표현되었는가? 눈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 착용하는 장비는 조선 시대 문헌에 우장(雨裝), 우비(雨備), 우구(雨具), 우의(雨衣), 우복(雨服), 우모(雨帽) 등 ‘비[雨]’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었다. 이런 용어들이 때로는 사람이 착용하는 복식 외에 가마, 깃발, 무기 등을 위한 장비를 지칭하기도 했는데, 비 올 때 착용하는 것이라는 용도를 짐작할 수 있을 뿐 재료나 형태는 알 수 없다.
18세기 이전 조선왕조실록에서 유삼 착용과 관련된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8세기 이전 조선의 문헌 자료에서 유삼 착용과 관련된 사례를 찾기 어려운데, 『조선왕조실록』에서 2건의 기록을 볼 수 있다. 1521(중종 16)년의 기록 중 세자 책봉의 칙서를 가져온 명(明) 사신과 관련된 내용에 유삼이 나타났다. 부사(副使)가 이동 중에 비가 와서 우구(雨具)를 찾았으나 유삼을 가진 사람이미처 듣지 못하여 가져오는 것이 늦은 일이 있었는데, 이것으로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죄를 묻지 말도록 당부했다. 그리고 1627(인조 5)년에는 비변사(備邊司)에서 금(後金:淸)의 사신 유해(劉海)가 조선에 요청한 물품을 준비하는 상황에 대해 아뢰는 장면에서 언급되었다. 이 때 붕사(硼砂), 주종립(朱鬃笠), 필묵(筆墨), 사향(麝香) 등은 각각 상의원, 호조, 내의원을 통해 준비할 것이나 유삼은 얻을 곳이 없으니 부응할 수 없다[油衫則無得處, 不得應副矣]고 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한글학회 (1992), 우리말 큰사전 2권, 서울: 어문각, p. 2079, p. 3239. 

  2.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7-623. 

  3.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4-190. 

  4.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5. 

  5. 中宗實錄, 16년(1521) 6월 19일 

  6. 仁祖實錄, 5년(1627) 2월 12일. 

  7. 典客司日記, 第5, 효종 2년(1651) 8월 16일. 

  8.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20-621. 

  9. 金昌業, 老稼齋燕行日記, 卷之一, 숙종 38년(1712) 11월 17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0. 金正中, 燕行錄, 燕行日記, 上伯氏書,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1. 申維翰, 海游錄, 附聞見雜錄,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2. 曹命采, 奉使日本時聞見錄, 영조 24년(1748) 5월 8일, 6월 1일,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13. 徐榮輔, 沈象奎(1808), 萬機要覽, 財用編五, 信使, 盤纏; 金健瑞, 增正交隣志, 卷之五, 志, 京外路需. 

  14. 承政院日記, 숙종 36년(1710) 윤7월 25일. 

  15. 備邊司謄錄, 숙종 45년(1719) 12월 22일. 

  16. 日省錄, 정조 2년(1778) 윤6월 6일. 

  17. 日省錄, 정조 17년(1793) 11월 20일. 

  18. 徐榮輔, 沈象奎(1808),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兵器械; 軍政編二, 附龍虎營, 軍器; 軍政編二, 訓鍊都監, 軍器; 軍政編三, 禁衛營, 軍器; 軍政編三, 摠戎廳, 軍器. 

  19. 日省錄, 정조 8년(1784) 3월 25일. 

  20.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21. 高宗實錄, 19년(1882) 6월 10일. 

  22. 지규식 (2007), 荷齋日記二, 이종덕 역,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73. 

  23. 本間九介(1894), 조선잡기, 최혜주 역, 파주: 김영사, p. 88. 

  24. 신병주 (2011), 조선평전, 파주: 글항아리, p. 433. 

  25.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pp. 415-416. 

  26.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之六十一, ?葉記八, 笠弊.,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27. 正祖實錄, 19년(1795) 윤2월 22일. 

  28. 井筒雅風(1983), 原色日本服飾史, 東京: 光琳社, pp. 230-231. 

  29.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6. 

  30. 景宗實錄, 2년(1722) 4월 20일. 

  31. 洪大容, 湛軒書, 外集卷八, 燕記, 沿路記略, 자료검색일 2010. 5. 14, http://db.itkc.or.kr. 

  32. 농촌진흥청 (2004), 고농서국역총서6 증보산림경제, 수원: 농촌진흥청, pp. 310-311. 

  33. 온양민속박물관 (2005), 우리 민속 오백년의 모습,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p. 102. 

  34.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15-23. 

  35. 顧炳(1603), 顧氏歷代名人畵譜; 顧氏畵譜第4冊. 

  36. 한정희 (1999), 한국과 중국의 회화, 서울: 학고재, p. 230. 

  37. 호암미술관 (1998), 조선후기국보전, 서울: 삼성문화재단, p. 35. 

  38. 송희경 (2001), 조선시대 기려도의 유형과 자연관, 미술사학보, 15, pp. 21-22. 

  39. 최완수 (2007), 우암(尤庵) 당시의 그림과 글씨, 澗松文華, 72, p. 118. 

  40.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41. 

  4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 143 

  42.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5), 澗松文華, 68, p. 111. 

  43.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9. 

  44. 世宗實錄, 29년(1447) 윤4월20일 

  45. 世祖實錄, 11년(1465) 2월21일 

  46. 光海君日記, 5년(1613) 6월 13일 

  47. 英祖實錄, 36년(1760) 7월 19일. 

  48. 世宗實錄, 4년(1422) 3월 1일 

  49. 世祖實錄, 3년(1457) 5월 10일 

  50. 睿宗實錄, 1년(1469) 4월 14일 

  51. 成宗實錄, 4년(1473) 6월 13일, 6년(1475) 8월 6일, 10년(1479) 12월 24일, 20년(1489) 9월 21일, 21년(1490) 9월 9일, 22년(1491) 8월 18일/24일/28일, 9월 4일/6일 

  52. 燕山君 日記9년(1503) 7월 13일 

  53. 中宗實錄, 4년(1509) 4월 29일/6월 9일, 7년(1512) 6월 17일. 

  54. 世祖實錄, 3년(1457) 4월 23일, 5년(1459) 6월 28일, 11년(1465) 6월 1일 

  55. 中宗實錄, 33년(1538) 4월 20일. 48) 世祖實錄, 10년(1464) 6월 6일. 

  56. 世祖實錄, 2년(1456) 5월 21일, 3년(1457) 5월 11일/6 월 15일, 5년(1459) 3월 15일, 10년(1464) 6월 10일, 13년(1467) 9월 14일/10월 9일, 14년(1468) 4월 12일 /7월 13일 

  57. 成宗實錄, 1년(1470) 5월 25일, 7월 7일 /18일, 7년(1476) 2월 10일, 10년(1479) 윤10월 2일 /12일, 12년(1481) 8월 3일/11일, 14년(1483) 8월 11 일/27일, 10월 2일, 25년(1494) 12월 7일. 

  58. 世祖實錄, 9년(1463) 9월 26일. 

  59. 世宗實錄, 2년(1420) 3월 3일 

  60. 燕山君日記, 9년(1503) 7월 13일. 

  61. 太宗實錄, 13년(1413) 6월 28일. 

  62.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5일/27일. 

  63. 中宗實錄, 37년(1542) 5월 12일. 

  64. 宣祖實錄, 36년(1603) 5월 27일. 

  65. 世宗實錄, 14년(1432) 7월 5일 

  66. 文宗實錄, 1년(1451) 11월 24일/25일. 

  67. 世祖實錄, 10년(1464) 5월 17일. 

  68. 成宗實錄, 2년(1471) 4월 27일. 

  69. 中宗實錄, 7년(1512) 5월 10일, 37년(1542) 5월 12일. 

  70. 世宗實錄, 27년(1445) 7월 11일 

  71. 世祖實錄, 3년(1457) 6월 22일. 

  72. 卞季良, 春亭集, 卷一詩, 十三- 十四,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db.itkc.or.kr. 

  73. 英祖實錄, 30년(1754) 8월 24일 

  74. 高宗實錄, 31년(1894) 9월 15일. 

  75. 備邊司謄錄, 헌종 10년 2월 17일. 

  76. 英祖實錄, 41년(1765) 3월 25일, 43년(1767) 2월 29일 /5월 2일. 

  77. ?崇義, 三禮圖集注卷十八九. 

  78. 王圻(1607), 三才圖會, 衣服三卷?二. 

  79. 박춘순 (2004), 중국 고대 우의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pp. 618-619. 

  80. 인병선 (1991), 풀문화, 서울: 대원사, p. 40. 

  8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澗松文華, 66, pp. 139-140. 

  82. 자료검색일 2012. 9. 1,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menuID001005002001&relicID1107&relicDetailID4425 

  83. 삼성미술관Leeum (2008), 삼성미술관 Leeum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II), 서울: 삼성문화재단, p. 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