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소비자가 근무 시 착용하는 의복에 대한 만족과 직업 만족도
Correlation between Work Atti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Male Consumer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3, 2013년, pp.166 - 175  

이지인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ttire of businessperson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ocial status and career. In accordance with the norms of the work place, the types of office attire are diversifi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role of men and their attire, and how sat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무복 만족 요인과 근무복 유형별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았다.
  • 연구문제2. 근무복 만족도와 직업 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본다.
  • 연구문제1. 근무복 만족요인과 근무복 만족에 대하여 알아본다.
  • 1-1. 근무복 만족요인이 근무복 만족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 근무복 만족도가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근무복의 만족도와 직업의 만족도는 단일 문항으로 두 변수 사이에 영향력이 있는지 살펴 보았다. 근무복 만족도가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t=2.
  • 근무복의 유형별로 근무복 만족도가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역할과 의복과의 관계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직장 내 규범에 따라 나눈 집단의 근무복 만족요인이 근무복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근무복의 만족도가 직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 근무복 만족요인은 상징성, 품질 만족성, 역할 기능성, 심미성으로 유형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제복을 입는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직장인과 자유복을 입는 직장인과는 직업복과 만족도의 측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근무복 만족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은 경향이 직장복 규제 유형에 따라 어떻게 차이 나는가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 집단 별 근무복의 만족요인이 근무복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상징성, 품질 만족성, 역할기능성, 심미성을 독립 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제시하였다. 전체 집단의 근무복 만족요인이 근무복 만족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을 집단 별로 살펴 보고자 하였다. 유니폼 집단은 상징성(t=3.

가설 설정

  • 법과 같은 구속성은 없지만 이와 같은 것을 간접적인 규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의복 행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3) 보통 사회생활을 하는 개인에게는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집단인 직장의 문화에 따라 적용되는 간접규제가 있을 것이다. 직장이라는 조직에 속한 직장인들에게는 사회생활에 있어 직장 내 의복 규범 준수 문제는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의복행동이 달라진다.
  • 5) 직업에 있어서 역할을 잘 수행하는가 하는 것은 특정 역할과 관련된 의복행동을 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기도 하다.6) 개인이 역할을 잘 수행했는가 아닌가는 역할의복에 주어진 기대를 잘 충족했는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직업 의복행동으로 적절한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것도 직업에 대한 적응이나 능력의 일부가 되며 사회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측면이라 할 수 있겠다.
  • 따라서 의복행동에 대한 명시적 혹은 암묵적 규칙을 알면서도 이를 일부러 지키지 않는다면 사회적 기대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지각될 것이다.7) 직업역할은 성별처럼 생득적인 것이 아니어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삶의 단계별 주기를 거쳐 혹은 직업의 이동과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무복이 착용자에게 직업역할 수행에 몰입하게 해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근무복을 적절하게 입는 것은 역할의 수행을 원만하게 하기 때문에 조직의 입장에서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착용자는 의복과 자신을동일시하기 때문에 직업역할 수행에 몰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즉기능적인 목적을 가지고 착용되는 것이 근무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복장인 경우도 있고,타율적으로 강제된 복장도 있다.
직업만족도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직업만족도란 임금이나 관리, 직업 내용 등 직무조건에 대한 심리적, 정서적 반응으로써직장생활의 품질과 비슷한 개념이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업무에 대해 내리는 평가로, 업무에 대한 태도로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상태 이다.
이인자는 의복이 승진에 관련이 있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인자9)는 직업적 역할 연구에서 대인관계에 있어서는 외모를 단정하게 해야 하며, 근무시 착용하는 의복을 통해 일치성과 쾌적성을 가지게 된다고 하였다. 의복은 일 처리 능력에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지각되기 때문에 승진에도 관련 있다고 하였으며 직업에 잘 맞는 옷차림은 인내력과 수용성을 가진 사람이라는 판단을 하게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획일한 의복을 입지 않는 것은, 목적이 같더라도 여러 방법으로 의복을 착용하기 때문이다10)즉 착용자 특성을 배제하고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임정은, 이명희 (1999), 직장 남성의 성격 특성과 의복 디자인 선호도와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7(5), pp. 752-764. 

  2.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Boston. MA: Houghton Mifflin 

  3. 이인자 (2006),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4. 김정은 (2008), 성인남성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른 의복 추구혜택과 의복구매 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Cliffor, M. M., & Walster, E. (1973), The effect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teacher expectations, Sociology of Education, 46, pp. 248-258. 

  6. Kaiser, S. B. (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Mac- Millan. 

  7. Leahy, R. L. (1976), Developmental trends in qualified inferences and descriptions of self and 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12, pp. 546-547. 

  8. Kaiser, S. B., Ruby, M., & Byfield, P. (1985), The role of clothing in sex role socialization: Person perceptions versus overt behaviors, Child Study Journal, 15, pp. 83-97. 

  9. 이선재 (1998), 의상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10. 김광경, 강혜원 (1992), 남성적.여성적 의복이 직장여성의 직업특성과 직업 적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I): Suit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2), pp. 1- 20. 

  1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12. 한명숙 (2003), "-답다"에 내재된 한국 복식 문화의 속성: 의복에 표현된 성역할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1(1), pp. 88-102. 

  13. 박사학위논문정미실 (1991), 규범적 및 정보적 영향에 의한 의복동조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민주 (2008),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 만족도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리나 (2001), 한국 호텔 종사원의 유니폼 만족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5), pp. 687-699. 

  16. Bickman, L. (1974). The social power of a uniform.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1), pp. 47-61. 

  17. 황정순, 서미아 (1998), 우리나라 관공서 여직원의 유니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6(4), pp. 1-12. 

  18. 이형룡, 하인주, 이종직 (2003), 호텔직원의 유니폼이 직무만족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15(1), pp. 201-218. 

  19. Singer, M. S., & Singer, A. E. (1985), The effect of police uniform on interpersonal perception, Journal of Psychology, 119, pp. 157-161. 

  20. 정선화 (2003), 은행여직원 유니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종직 (2003), 호텔 직원의 유니폼 만족도가 고객지 향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황정순 (1997), 우리나라 관공서 여직원의 유니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Judge, T. A., Thoresen, C. J., Bono, J. E., & Patton, G. K. (2001),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27(3), pp. 376-407. 

  24. Behling, D. & Williams, E. A. (1991), Influence of dress on perception of intelligence of scholastic achievement, Clothing Textiles Research Journal, 9, pp.1-7. 

  25. 이지민, 이정란, 구영석 (2009), 중고등학생의 교복 착용 실태와 만족도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5), pp. 753-763. 

  26. 정현주, 목혜은, 한유정 (2002), 우리 옷 교복 착용 여고생의 교복 만족도와 의복행동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6(5), pp. 654-662. 

  27. 김순화 (1992), 교복 착용이 학생의 자아개념과 의복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이상희 (1996), 남녀 고등학생의 신체 이미지와 교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남녀공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Snyther, M. (1987), Public appearances, private realities: The psychology of self-monitoring, New York: W.H. Freeman & Company. 

  30. Joseph, N. (1986), Uniforms and nonuniforms: Communication through clothing, New York: Greenwoo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